"세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파노라마) |
(→파노라마)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안태 연월일1=1438.03<small>이봉</small> | |안태 연월일1=1438.03<small>이봉</small> | ||
|안태 연월일2=1462.09.14<small>가봉</small> | |안태 연월일2=1462.09.14<small>가봉</small> | ||
− | |안태지 | + | |안태지 기록=성주(星州) 북쪽 20리 선석산(禪石山) <small>세종실록</small> |
− | + | |안태지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월향면 인촌동 산8번지(선석사 뒤) | |
|안태지 좌표(위도)=36°01'43.7"N | |안태지 좌표(위도)=36°01'43.7"N | ||
|안태지 좌표(경도)=128°29'50.1"E | |안태지 좌표(경도)=128°29'50.1"E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이안 연월일=1929.05(추정) | |이안 연월일=1929.05(추정) | ||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
− | | | + | |이안지 좌표(위도)=37°66'45.61"N, |
− | |이안지 좌표(경도)= | + | |이안지 좌표(경도)=126°86'06.29"E |
|지문=明永樂十五年丁酉,九月二十四日生,晋陽大君講琉胎,正統三年戊午三月□,十日藏 | |지문=明永樂十五年丁酉,九月二十四日生,晋陽大君講琉胎,正統三年戊午三月□,十日藏 | ||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 }} | ||
− | ==''' | + | =='''내용'''== |
− | + | 조선 제7대 국왕 세조의 태실이다. | |
+ | |||
+ | 본래 문종을 제외한 세종의 여러 아들들의 태실은 성주 선석산에 위치했다. 계유정난 이후 세조가 즉위한 이후 1458년(세조 4) 예조에서는 단종과 안평대군의 태실이 세조의 태실과 함께 있으니 다른 곳을 정해 가봉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단종의 태실을 다른 곳으로 옮겼으며, 안평대군의 태실의 중동석을 없애고 비석을 파괴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조 태실 역시 다른 가봉 석물은 보이지 않고 가봉비만 입석하는 것으로 간략하게 가봉되었다. | ||
+ | |||
+ | 세조는 아버지 세종의 뜻에 따라 국왕은 물론 왕세자, 원손의 태실에 석난간을 설치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후 국왕의 태실에는 석난간이 설치되는 것으로 보아 잘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 ||
=='''관련 기록'''== | =='''관련 기록'''== | ||
101번째 줄: | 105번째 줄: | ||
於赫仙李, 本支萬葉。 棣華交暎, 獨秀曄曄。 龍飛御天, 海宇淸寧。 巍乎神功, 制度備明。 顧惟聖胎, 仍舊不移, 禮官上請, 願遵往規, 謙光不允, 險德彌昭。 龜趺卓立, 億載之標。 禪山峩峩, 秘厥英粹, 天長地久, 克昌以熾。|출처=『세조실록』29권, 세조 8년(1462) 9월 14일 을사(乙巳) 1번째 기사}} | 於赫仙李, 本支萬葉。 棣華交暎, 獨秀曄曄。 龍飛御天, 海宇淸寧。 巍乎神功, 制度備明。 顧惟聖胎, 仍舊不移, 禮官上請, 願遵往規, 謙光不允, 險德彌昭。 龜趺卓立, 億載之標。 禪山峩峩, 秘厥英粹, 天長地久, 克昌以熾。|출처=『세조실록』29권, 세조 8년(1462) 9월 14일 을사(乙巳) 1번째 기사}} | ||
+ | |||
+ | ====『연산군일기』41권, 연산군 7년(1501) 9월 28일 계묘(癸卯) 1번째 기사==== | ||
+ | {{Blockquote|《상참을 받고 경연에 나오다》 | ||
+ | |||
+ | 상참을 받고 경연에 납시었다. 사간 박중간(朴仲幹)이 아뢰기를, | ||
+ | |||
+ | "근래에 천변이 자주 일어나니, 전하는 진실로 마땅히 두려워하고 수양 반성하여 대신들을 자주 만나서 치도(治道)를 물으시고, 무릇 형벌을 삼가하고 원통한 일을 펴주며 백성들의 괴로움을 풀어주는 일들을 모두 강구하여 하늘의 견책에 보답하셔야 합니다." | ||
+ | |||
+ | 하였다. | ||
+ | |||
+ | 장령 정인인(鄭麟仁)이 아뢰기를, | ||
+ | |||
+ | "신은 듣건대, 선왕조(先王朝)에 있어서는 여덟 대군(大君)의 태(胎)를 한 곳에 같이 묻었는데, 세조(世祖)께서 즉위하시자 그 태를 다른 곳에 묻기를 청하니, 세조께서 이르시기를 ‘옮기지 말라. 본래 형제는 태를 같이 하였으니, 같이 묻는 것이 무엇이 해롭겠느냐. 표석(標石)을 없애고 지석(誌石)을 묻어서 구별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또한 이 예에 따라 여러 군(君)들의 태를 한곳에 같이 묻기를 청합니다." | ||
+ | |||
+ | 하였다. | ||
+ | |||
+ | |출처=『연산군일기』41권, 연산군 7년(1501) 9월 28일 계묘(癸卯) 1번째 기사}}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108번째 줄: | 130번째 줄: | ||
===파노라마=== | ===파노라마=== | ||
− | |||
−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 | +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6/PC00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
− | |||
− | |||
− | |||
− | |||
</html> | </html> | ||
===스틸샷 갤러리=== | ===스틸샷 갤러리=== | ||
<gallery> | <gallery> | ||
− | File:SSNPC_Sejo01.JPG|서삼릉 태실 | + | File:SSNPC_Sejo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세조 태실 전면 |
− | File:SSNPC_Sejo02.JPG|서삼릉 태실 | + | File:SSNPC_Sejo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세조 태실 후면 |
− | File:OGPC_Sejo_panorama.JPG|성주 | + | File:OGPC_Sejo_panorama.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태실 초안지 전경 |
− | File:OGPC_Sejo_Gabongbi_Front.JPG|성주 | + | File:OGPC_Sejo_Gabongbi_Front.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전면 |
− | File:OGPC_Sejo_Gabongbi_left_side.JPG|성주 | + | File:OGPC_Sejo_Gabongbi_left_side.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좌측면 |
− | File:OGPC_Sejo_Gabongbi_right_side.JPG|성주 | + | File:OGPC_Sejo_Gabongbi_right_side.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우측면 |
− | File:OGPC_Sejo_Gabongbi_back.JPG|성주 | + | File:OGPC_Sejo_Gabongbi_back.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후면 |
− | File:OGPC_Sejo_Gabongbi_Yisu.JPG|성주 | + | File:OGPC_Sejo_Gabongbi_Yisu.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귀부 |
− | File:OGPC_Sejo_biseok_Front.JPG|성주 | + | File:OGPC_Sejo_biseok_Front.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진양대군태실비 전면 |
− | File: | + | File:OGPC_Sejo_Tashil_side.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태실 전면 |
− | File: | + | File:OGPC_Sejo_Tashil_back.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태실 후면 |
+ | </gallery> | ||
+ | |||
+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SSNPC_Sejo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세조 태실 전면 | ||
+ | File:SSNPC_Sejo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세조 태실 후면 | ||
+ | File:OGPC_Sejo_panorama.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태실 초안지 전경 | ||
+ | File:OGPC_Sejo_Gabongbi_Front.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전면 | ||
+ | File:OGPC_Sejo_Gabongbi_left_side.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좌측면 | ||
+ | File:OGPC_Sejo_Gabongbi_right_side.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우측면 | ||
+ | File:OGPC_Sejo_Gabongbi_back.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후면 | ||
+ | File:OGPC_Sejo_Gabongbi_Yisu.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가봉태실비 귀부 | ||
+ | File:OGPC_Sejo_biseok_Front.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진양대군태실비 전면 | ||
+ | File:OGPC_Sejo_Tashil_side.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태실 전면 | ||
+ | File:OGPC_Sejo_Tashil_back.JPG|성주 세종대왕자태실 세조 태실 후면 | ||
</gallery> | </gallery> | ||
− | |||
=='''전자지도'''== | =='''전자지도'''== | ||
152번째 줄: | 179번째 줄: | ||
<body> | <body> | ||
− | <div id="map" style="width: | + | <div id="map" style="width:100%;height:800px;" align="center"></div> |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dapi.kakao.com/v2/maps/sdk.js?appkey=89916f622dee27781f9dd08224b875a1"></script> |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dapi.kakao.com/v2/maps/sdk.js?appkey=89916f622dee27781f9dd08224b875a1"></script> | ||
158번째 줄: | 185번째 줄: | ||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 ||
mapOption = { | mapOption = { | ||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 |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015777, 128.299120), // 지도의 중심좌표 |
− | level: | + | level: 4// 지도의 확대 레벨 |
}; | }; | ||
206번째 줄: | 233번째 줄: | ||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
− | ' <a href="http://dh.aks.ac.kr/ |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06/PC006.htm" target="_blank">' + |
− | ' <span class="title"> | + | ' <span class="title">세조 태실 초안지</span>' + |
' </a>' + | ' </a>' + | ||
'</div>'; | '</div>'; | ||
213번째 줄: | 240번째 줄: | ||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015777, 128.299120);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6.015777, 128.29912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2020년 9월 1일 (화) 11:07 기준 최신판
세조 태실(世祖 胎室) | |
식별자 | PC006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세조 태실 |
한자명 | 世祖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Sejo |
피안자 명칭 | 세조(世祖) |
피안자 이칭 | 이유(李瑈)·자(字) 수지(粹之)·수양대군(首陽大君)·광릉(光陵)·영창전(永昌殿) |
피안자 부 | 세종(世宗) |
피안자 모 |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417.09.24 |
피안자 몰년월일 | 1468.09.08 |
안태지 기록 | 성주(星州) 북쪽 20리 선석산(禪石山) 세종실록 |
안태지 좌표(위도) | 36°01'43.7"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29'50.1"E |
안태지 주소 | 경상북도 성주군 월향면 인촌동 산8번지(선석사 뒤) |
문화재 지정여부 | 사적 444호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
이안 연월일 | 1929.05(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明永樂十五年丁酉,九月二十四日生,晋陽大君講琉胎,正統三年戊午三月□,十日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세조 태실 가봉비 |
태항아리 | 세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내용[편집]
조선 제7대 국왕 세조의 태실이다.
본래 문종을 제외한 세종의 여러 아들들의 태실은 성주 선석산에 위치했다. 계유정난 이후 세조가 즉위한 이후 1458년(세조 4) 예조에서는 단종과 안평대군의 태실이 세조의 태실과 함께 있으니 다른 곳을 정해 가봉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단종의 태실을 다른 곳으로 옮겼으며, 안평대군의 태실의 중동석을 없애고 비석을 파괴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조 태실 역시 다른 가봉 석물은 보이지 않고 가봉비만 입석하는 것으로 간략하게 가봉되었다.
세조는 아버지 세종의 뜻에 따라 국왕은 물론 왕세자, 원손의 태실에 석난간을 설치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후 국왕의 태실에는 석난간이 설치되는 것으로 보아 잘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록[편집]
조선왕조실록[편집]
『세조실록』13권, 세조 4년(1458) 7월 8일 계사(癸巳) 2번째 기사[편집]
『세조실록』29권, 세조 8년(1462) 8월 17일 기묘(己卯) 1번째 기사[편집]
『세조실록』29권, 세조 8년(1462) 8월 22일 갑신(甲申) 2번째 기사[편집]
『세조실록』29권, 세조 8년(1462) 9월 14일 을사(乙巳) 1번째 기사[편집]
『연산군일기』41권, 연산군 7년(1501) 9월 28일 계묘(癸卯) 1번째 기사[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