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 녀 복억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Button|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Bokeok_Front_View01.JPG |사진출처=강원 삼...)
 
잔글 (→‎상세)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Bokeok_Front_View01.JPG
+
|사진=OGPC_Bokeok_Front_View01.jpg
 
|사진출처=강원 삼척시 자원동의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터 전경
 
|사진출처=강원 삼척시 자원동의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터 전경
 
|식별자=PC032
 
|식별자=PC032
39번째 줄: 39번째 줄:
 
}}
 
}}
  
=='''정의'''==
+
=='''내용'''==
조선 10대 왕 연산군의 왕녀, 복억의 안태지(安胎地).
+
연산군의 옹주이나 누구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
《태봉》에 따르면 복억의 태실은 강원도 삼척에 위치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태실지에서 그 흔적을 찾기는 힘들다. 이 지역에서 편찬된 자료에서 태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
 +
=='''상세'''==
 +
복억(福億)은 연산군의 왕녀이나 모친이 확인되지 않으며 『연산군일기』 , 『선원계보기략』 등의 기록상에도 그 존재가 나타나지 않아 조졸한 것으로 추정된다.
 +
 +
태지석에 의하면 복억은 1499년에 태어났으며 같은 해 5월 9일에 삼척군 삼척면에 안태한 사실을 알 수 있다.<ref>『翁主福億胎誌石』, 1929, 弘治十二年己未生 翁主福億胎 弘治十二年己未五月九日 藏于三陟郡三陟面 昭和四年 月 日移藏.</ref>
 +
 +
복억 태실의 초안지는 강원도 삼척시 자원동 산56으로 바로 아래 민가가 인접해있으며 정상부에 인위적인 구덩이가 확인되어 태실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
 +
1995년 관동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삼척군지(三陟郡誌)』(1916), 『진주지(眞州誌)』(1963), 『삼척군지』(1984)의 기록을 통해 자지동(紫芝洞, 1995년 紫園洞으로 개칭) 서쪽에 태봉산(157.3cm)이 자리하고 있으며 연산군의 공주 태실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현지조사를 진행하지 못하여 정확한 현상을 파악하지 못하였다.<ref>관동대학교 박물관, 『三陟의 歷史와 文化遺蹟』, 삼척시, 1995, 165쪽.</ref>
 +
 +
이렇게 구전으로만 태실의 존재가 전해지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태실비가 현장 조사로 발견되면서 태실이 실존함을 확인하였다.
 +
 +
하지만 현재 태실비는 사라져 행방을 알 수 없으며 태실비의 명문만 확인된다. 앞면은 ‘王女福億阿只氏胎室’이라 새겼으며 뒷면은 ‘弘治十二年己未五月九日巳時立’으로 전한다. <ref>삼척시지발간위원회, 『삼척시지』, 삼척시, 1997, 924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
===계보도 지식 관계망===
{{NetworkGraph | title=복억_태실.lst}}
+
{{NetworkGraph | title=복억_계보도.lst}}
 
 
  
 
=='''시각자료'''==
 
=='''시각자료'''==
 
===파노라마===
 
===파노라마===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32/P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
<gallery>
 +
File:SSNPC032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전면
 +
File:SSNPC032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후면
 +
File:OGPC032_001.jpg|삼척 자원동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
File:OGPC032_002.jpg|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초안지 태봉산 전경
 +
File:OGPC032_003.jpg|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초안지 전경
 +
</gallery>
  
 +
<gallery mode="slideshow">
 +
File:SSNPC032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전면
 +
File:SSNPC032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후면
 +
File:OGPC032_001.jpg|삼척 자원동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초안지 공중 전경
 +
File:OGPC032_002.jpg|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초안지 태봉산 전경
 +
File:OGPC032_003.jpg|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초안지 전경
 +
</gallery>
  
 
=='''수치지형도'''==
 
=='''수치지형도'''==

2020년 9월 11일 (금) 23:39 기준 최신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燕山君 王女 福億 胎室)
강원 삼척시 자원동의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터 전경
식별자 PC032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한자명 燕山君 王女 福億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Bokeok
피안자 명칭 복억(福億)
피안자 이칭 이복억(李福億)
피안자 부 연산군(燕山君)
피안자 모 미상
피안자 생년월일 1499
피안자 몰년월일 미상
안태 연월일 1499.05.09 『복억옹주 태지석』
안태지 기록 강원 삼척군 삼척면 『서삼릉 복억 태실 후면 각자』
안태지 좌표(위도) 37°43'99.07"N
안태지 좌표(경도) 129°13'89.47"E
안태지 주소 강원도 삼척시 자원동 산56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추정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66'45.61"N,
이안지 좌표(경도) 126°86'06.29"E
지문 弘治十二年己未生,翁主福億胎,弘治十二年己未,五月,九日,藏于三陟郡三陟面,昭和四年,月,日移藏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태항아리 복억옹주 태지석 및 내항아리와 외항아리 몸체 일부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내용[편집]

연산군의 옹주이나 누구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태봉》에 따르면 복억의 태실은 강원도 삼척에 위치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태실지에서 그 흔적을 찾기는 힘들다. 이 지역에서 편찬된 자료에서 태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상세[편집]

복억(福億)은 연산군의 왕녀이나 모친이 확인되지 않으며 『연산군일기』 , 『선원계보기략』 등의 기록상에도 그 존재가 나타나지 않아 조졸한 것으로 추정된다.

태지석에 의하면 복억은 1499년에 태어났으며 같은 해 5월 9일에 삼척군 삼척면에 안태한 사실을 알 수 있다.[1]

복억 태실의 초안지는 강원도 삼척시 자원동 산56으로 바로 아래 민가가 인접해있으며 정상부에 인위적인 구덩이가 확인되어 태실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1995년 관동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삼척군지(三陟郡誌)』(1916), 『진주지(眞州誌)』(1963), 『삼척군지』(1984)의 기록을 통해 자지동(紫芝洞, 1995년 紫園洞으로 개칭) 서쪽에 태봉산(157.3cm)이 자리하고 있으며 연산군의 공주 태실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현지조사를 진행하지 못하여 정확한 현상을 파악하지 못하였다.[2]

이렇게 구전으로만 태실의 존재가 전해지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태실비가 현장 조사로 발견되면서 태실이 실존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현재 태실비는 사라져 행방을 알 수 없으며 태실비의 명문만 확인된다. 앞면은 ‘王女福億阿只氏胎室’이라 새겼으며 뒷면은 ‘弘治十二年己未五月九日巳時立’으로 전한다. [3]

지식 관계망[편집]

계보도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스틸샷 갤러리[편집]

수치지형도[편집]

전자지도[편집]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편집]

주석[편집]

  1. 『翁主福億胎誌石』, 1929, 弘治十二年己未生 翁主福億胎 弘治十二年己未五月九日 藏于三陟郡三陟面 昭和四年 月 日移藏.
  2. 관동대학교 박물관, 『三陟의 歷史와 文化遺蹟』, 삼척시, 1995, 165쪽.
  3. 삼척시지발간위원회, 『삼척시지』, 삼척시, 1997, 9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