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신공주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전자지도)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조사카드 | {{조사카드 | ||
− | |사진= | + | |사진=SSNRT_SookShin01.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
− | |식별자= | + | |식별자=RT005 |
|분류=분묘 | |분류=분묘 | ||
|한글명=숙신공주 묘 | |한글명=숙신공주 묘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피장자 몰년월일=1637 | |피장자 몰년월일=1637 | ||
|초장 연월일=미상 | |초장 연월일=미상 | ||
− | |초장지 기록 | + | |초장지 기록=고양 청담촌 <small>선원계보기략</small> |
− | + | |초장지 기록1=고양 서산(西山) <small>경기도감영장계등록</small> | |
− | |초장지 | + | |초장지 기록2=고양군 신도면 지축리 <small>능원묘천봉안</small> |
− | |초장지 | ||
− | |||
|좌표(위도)= | |좌표(위도)= | ||
|좌표(경도)= | |좌표(경도)= | ||
26번째 줄: | 24번째 줄: | ||
|이장 연월일=1936.05.17 | |이장 연월일=1936.05.17 | ||
|이장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장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
− | |이장지 좌표(위도)= | + | |이장지 좌표(위도)=37°66'49.51"N |
− | |이장지 좌표(경도)= | + | |이장지 좌표(경도)=126°85'95.20"E |
|1차 이장 연월일= | |1차 이장 연월일= | ||
|이장지1 기록= | |이장지1 기록= | ||
41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 | + | =='''내용'''== |
− | 조선의 제17대 왕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의 장녀인 숙신공주 | + | 조선의 제17대 왕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의 장녀인 숙신공주(1635~1637) 묘 이다. |
+ | |||
+ | 1769년(영조 45) 3월 사당을 중건하였다. 초장지는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으로, 1936년 5월에 서삼릉 경내로 이장하였다. | ||
=='''관련 기록'''== | =='''관련 기록'''== | ||
===조선왕조실록=== | ===조선왕조실록=== | ||
====『정조실록』49권, 정조 22년(1798) 9월 7일 정묘(丁卯) 2번째 기사==== | ====『정조실록』49권, 정조 22년(1798) 9월 7일 정묘(丁卯) 2번째 기사==== | ||
− | {{Blockquote|예조가 아뢰기를, "내수사(內需司)가 보고해 온 데 따라 인성 대군(仁城大君)의 묘소에 한식(寒食) 제사를 드릴 때의 제품(祭品) 기수(器數)를 마련하여 별단(別單)으로 들입니다. 그런데 수진궁(壽進宮)의 등록(謄錄)을 가져다 보건대, 병신년 4월 전교하신 데 따라 본궁(本宮)에서 각 사판(祠版)에 대한 시향(時享)과 묘제(墓祭)를 행할 때의 찬품(饌品) 및 의절(儀節)을 고루 나누어 규정으로 만든 뒤 지금까지 준행해 오고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사판에 대한 시향은 2월과 8월 중순의 정일(丁日)에 행하고 묘제는 매년 한식에 행하는 등 모두가 예(禮)의 뜻에 맞았고, 제품의 기수를 정해놓은 것도 늘리거나 줄일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명선 공주(明善公主)와 명혜 공주(明惠公主)의 경우 사판에 대해 시향을 드릴 때와 묘제를 올릴 때의 찬품에 약간 차이가 있는 만큼 한 가지 예로 거행하는 것이 마땅할 듯합니다만, 이것이 어디까지나 전교하신 데 따라 준행해 온 것인 이상 아래에서 감히 바꾸자고 경솔하게 의논드릴 수 없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향(祀享)하는 의절(儀節)을 궁속(宮屬)에게 상세히 물어 보았더니, 대군(大君)·왕자(王子)·공주(公主)·옹주(翁主)의 사판에 시향을 드릴 때는 애당초 내시(內侍)가 제사 일을 맡는 예가 없이 본궁의 궁인(宮人) 스스로가 거행해 왔고, 대군·왕자·귀인(貴人)의 묘제를 행할 때는 내시가 그곳에 나아가 제사 일을 맡았다고 하였습니다. 똑같은 사향인데 내시가 어떤 때는 맡고 어떤 때는 맡지 않는 것은 예제(禮制)에 흠이 되는 일인 듯싶고, 또 정해진 규정도 없으니, 이 뒤로는 사판에 대한 시향이든 아니면 묘소에서 지내는 절향(節享)이든 간에 모두 내시를 차정(差定)해 거행하도록 하소서." 하였다. 【수진궁에서 담당하는 궁내의 사판 및 산소(山所)의 제품(祭品)·제의(祭義)·제일(祭日)에 관한 별단은 다음과 같다. 1. 5묘(廟)에서 15위(位)의 사판을 봉안(奉安)하고 있는데, 평원 대군(平原大君)·강령 부부인(江寧府夫人)·제안 대군(齊安大君)·상산 부부인(商山府夫人)·영창 대군(永昌大君)·용성 대군(龍城大君) 이상 6위를 1묘에 봉안하고, 의창군(義昌君)·양천 군부인(陽川郡夫人)·평선군(平善君)·동원 군부인(東原郡夫人) 이상 4위를 1묘에 봉안하고, 숙신 공주(淑愼公主) 1위를 1묘에 봉안하고, 명선 공주(明善公主)·명혜 공주(明惠公主) 이상 2위를 1묘에 봉안하고, 귀인(貴人) 김씨(金氏), 소의(昭儀) 유씨(劉氏) 이상 2위를 1묘에 봉안하고 있다. 이상은 모두 봄 가을의 가운데 달 가운데 정일에 시향을 거행한다. 2. 묘소에 20위를 봉안하고 있다. 평원 대군·강령 부부인·제안 대군·상산 부부인·영창 대군·명선 공주·명혜 공주 이상 7위의 묘소는 광주(廣州)에 있고, 용성 대군·의창군·양천 군부인 이상 3위의 묘소는 풍양(豊壤)에 있고, 낙선군(樂善君)·동원 군부인 이상 2위의 묘소는 청송(靑松)에 있고, 숙신 공주의 묘소는 서산(西山)에 있고, 귀인 김씨의 묘소는 망우리(忘憂里)에 있고, 소의 유씨의 묘소는 진관(津寬)에 있는데, 매년 한식에 묘소에서는 한 번만 제사를 지낸다. 대군 아지씨(大君阿只氏)의 묘소는 광주에 있고, 숙의(淑儀) 나씨(羅氏)의 묘소는 서산에 있고, 숙원(淑媛) 장씨(張氏)의 묘소는 연서(延曙)에 있고, 명빈(明嬪) 김씨(金氏)의 묘소는 아차산(峩嵯山)에 있고, 증 경빈(慶嬪) 이씨(李氏)의 묘소는 풍양에 있는데, 이상은 매년 한식에 제사를 설행한다.】 | + | {{Blockquote|예조가 아뢰기를, "내수사(內需司)가 보고해 온 데 따라 인성 대군(仁城大君)의 묘소에 한식(寒食) 제사를 드릴 때의 제품(祭品) 기수(器數)를 마련하여 별단(別單)으로 들입니다. 그런데 수진궁(壽進宮)의 등록(謄錄)을 가져다 보건대, 병신년 4월 전교하신 데 따라 본궁(本宮)에서 각 사판(祠版)에 대한 시향(時享)과 묘제(墓祭)를 행할 때의 찬품(饌品) 및 의절(儀節)을 고루 나누어 규정으로 만든 뒤 지금까지 준행해 오고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사판에 대한 시향은 2월과 8월 중순의 정일(丁日)에 행하고 묘제는 매년 한식에 행하는 등 모두가 예(禮)의 뜻에 맞았고, 제품의 기수를 정해놓은 것도 늘리거나 줄일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명선 공주(明善公主)와 명혜 공주(明惠公主)의 경우 사판에 대해 시향을 드릴 때와 묘제를 올릴 때의 찬품에 약간 차이가 있는 만큼 한 가지 예로 거행하는 것이 마땅할 듯합니다만, 이것이 어디까지나 전교하신 데 따라 준행해 온 것인 이상 아래에서 감히 바꾸자고 경솔하게 의논드릴 수 없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향(祀享)하는 의절(儀節)을 궁속(宮屬)에게 상세히 물어 보았더니, 대군(大君)·왕자(王子)·공주(公主)·옹주(翁主)의 사판에 시향을 드릴 때는 애당초 내시(內侍)가 제사 일을 맡는 예가 없이 본궁의 궁인(宮人) 스스로가 거행해 왔고, 대군·왕자·귀인(貴人)의 묘제를 행할 때는 내시가 그곳에 나아가 제사 일을 맡았다고 하였습니다. 똑같은 사향인데 내시가 어떤 때는 맡고 어떤 때는 맡지 않는 것은 예제(禮制)에 흠이 되는 일인 듯싶고, 또 정해진 규정도 없으니, 이 뒤로는 사판에 대한 시향이든 아니면 묘소에서 지내는 절향(節享)이든 간에 모두 내시를 차정(差定)해 거행하도록 하소서." 하였다. 【수진궁에서 담당하는 궁내의 사판 및 산소(山所)의 제품(祭品)·제의(祭義)·제일(祭日)에 관한 별단은 다음과 같다. 1. 5묘(廟)에서 15위(位)의 사판을 봉안(奉安)하고 있는데, 평원 대군(平原大君)·강령 부부인(江寧府夫人)·제안 대군(齊安大君)·상산 부부인(商山府夫人)·영창 대군(永昌大君)·용성 대군(龍城大君) 이상 6위를 1묘에 봉안하고, 의창군(義昌君)·양천 군부인(陽川郡夫人)·평선군(平善君)·동원 군부인(東原郡夫人) 이상 4위를 1묘에 봉안하고, '''숙신 공주(淑愼公主) 1위를 1묘에 봉안하고''', 명선 공주(明善公主)·명혜 공주(明惠公主) 이상 2위를 1묘에 봉안하고, 귀인(貴人) 김씨(金氏), 소의(昭儀) 유씨(劉氏) 이상 2위를 1묘에 봉안하고 있다. 이상은 모두 봄 가을의 가운데 달 가운데 정일에 시향을 거행한다. 2. 묘소에 20위를 봉안하고 있다. 평원 대군·강령 부부인·제안 대군·상산 부부인·영창 대군·명선 공주·명혜 공주 이상 7위의 묘소는 광주(廣州)에 있고, 용성 대군·의창군·양천 군부인 이상 3위의 묘소는 풍양(豊壤)에 있고, 낙선군(樂善君)·동원 군부인 이상 2위의 묘소는 청송(靑松)에 있고, '''숙신 공주의 묘소는 서산(西山)에 있고''', 귀인 김씨의 묘소는 망우리(忘憂里)에 있고, 소의 유씨의 묘소는 진관(津寬)에 있는데, 매년 한식에 묘소에서는 한 번만 제사를 지낸다. 대군 아지씨(大君阿只氏)의 묘소는 광주에 있고, 숙의(淑儀) 나씨(羅氏)의 묘소는 서산에 있고, 숙원(淑媛) 장씨(張氏)의 묘소는 연서(延曙)에 있고, 명빈(明嬪) 김씨(金氏)의 묘소는 아차산(峩嵯山)에 있고, 증 경빈(慶嬪) 이씨(李氏)의 묘소는 풍양에 있는데, 이상은 매년 한식에 제사를 설행한다.】 |
禮曹啓言: "因內需司所報, 仁城大君墓寒食祭祭品器數, 磨鍊別單以入。 而取見壽進宮謄錄, 則丙申四月因傳敎, 本宮各祠版時享墓祭饌品儀節, 分排定式, 至今遵行。 祠版時享, 則行於二八月中丁, 墓祭行於每年寒食, 儘合禮意, 而祭品精約, 無可增損。 至於明善、明惠兩公主祠版時享墓祭饌品, 略有同異, 似宜一例, 而此是因傳敎遵行, 自下有不敢輕議變改。 祀享儀節, 詳問宮屬, 則大君、王子、公主、翁主祠版時享, 初無內侍將事之例, 而自本宮宮人擧行, 大君、王子、貴人墓, 則內侍進去將事云。 同是祀享, 而內侍將事, 或行或否, 似欠禮制, 亦無定規, 此後則無論祠版時享及墓所節享, 請皆以內侍差定擧行。 【壽進宮所在宮內祠版及山所祭品、祭儀、祭日別單。 一, 五廟奉安十五位祠版, 平原大君、江寧府夫人、齊安大君、商山府夫人、永昌大君、龍城大君以上六位一廟奉安, 義昌君、陽川郡夫人、平善君、東原郡夫人以上四位一廟奉安, 淑愼公主一位一廟奉安, 明善公主、明惠公主以上二位一廟奉安, 貴人 金氏、昭儀 劉氏以上二位一廟奉安。 以上春秋仲朔中丁日設行。 一, 墓所奉安二十位。 平原大君、江寧府夫人、齊安大君、商山府夫人、永昌大君、明善公主、明惠公主以上七位墓在廣州, 龍城大君、義昌君、陽川郡夫人以上三位墓在豐壤, 樂善君、東原郡夫人以上二位墓在靑松, 淑眞公主墓在西山, 貴人 金氏墓在忘憂里, 昭儀 劉氏墓在津寬, 一只祭每年寒食墓所。 大君阿只氏墓在廣州, 淑儀 嚴氏墓在西山, 淑媛張氏墓在延曙, 明嬪 金氏墓在峩嵯山, 贈慶嬪 李氏墓在豐壤, 以上每年寒食祭設行。】|출처=『정조실록』49권, 정조 22년(1798) 9월 7일 정묘(丁卯) 2번째 기사}} | 禮曹啓言: "因內需司所報, 仁城大君墓寒食祭祭品器數, 磨鍊別單以入。 而取見壽進宮謄錄, 則丙申四月因傳敎, 本宮各祠版時享墓祭饌品儀節, 分排定式, 至今遵行。 祠版時享, 則行於二八月中丁, 墓祭行於每年寒食, 儘合禮意, 而祭品精約, 無可增損。 至於明善、明惠兩公主祠版時享墓祭饌品, 略有同異, 似宜一例, 而此是因傳敎遵行, 自下有不敢輕議變改。 祀享儀節, 詳問宮屬, 則大君、王子、公主、翁主祠版時享, 初無內侍將事之例, 而自本宮宮人擧行, 大君、王子、貴人墓, 則內侍進去將事云。 同是祀享, 而內侍將事, 或行或否, 似欠禮制, 亦無定規, 此後則無論祠版時享及墓所節享, 請皆以內侍差定擧行。 【壽進宮所在宮內祠版及山所祭品、祭儀、祭日別單。 一, 五廟奉安十五位祠版, 平原大君、江寧府夫人、齊安大君、商山府夫人、永昌大君、龍城大君以上六位一廟奉安, 義昌君、陽川郡夫人、平善君、東原郡夫人以上四位一廟奉安, 淑愼公主一位一廟奉安, 明善公主、明惠公主以上二位一廟奉安, 貴人 金氏、昭儀 劉氏以上二位一廟奉安。 以上春秋仲朔中丁日設行。 一, 墓所奉安二十位。 平原大君、江寧府夫人、齊安大君、商山府夫人、永昌大君、明善公主、明惠公主以上七位墓在廣州, 龍城大君、義昌君、陽川郡夫人以上三位墓在豐壤, 樂善君、東原郡夫人以上二位墓在靑松, 淑眞公主墓在西山, 貴人 金氏墓在忘憂里, 昭儀 劉氏墓在津寬, 一只祭每年寒食墓所。 大君阿只氏墓在廣州, 淑儀 嚴氏墓在西山, 淑媛張氏墓在延曙, 明嬪 金氏墓在峩嵯山, 贈慶嬪 李氏墓在豐壤, 以上每年寒食祭設行。】|출처=『정조실록』49권, 정조 22년(1798) 9월 7일 정묘(丁卯) 2번째 기사}} | ||
− |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 4년(1911) 12월 2일 (양력) 1번째 기사==== |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 4년(1911) 12월 2일 (양력) 1번째 기사==== | ||
147번째 줄: | 146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노라마===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RT/RT005/RT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현재의 묘역==== | ====현재의 묘역==== | ||
160번째 줄: | 156번째 줄: | ||
====초장 추정지==== | ====초장 추정지==== | ||
+ | ===갤러리=== | ||
− | + | <gallery> | |
+ | File:SSNRT005_01.jpg|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전면 | ||
+ | File:SSNRT005_02.jpg|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후면 | ||
+ | File:SSNRT005_03.jpg|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묘표석 후면 | ||
+ | </gallery> | ||
+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SSNRT005_01.jpg|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전면 | ||
+ | File:SSNRT005_02.jpg|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후면 | ||
+ | File:SSNRT005_03.jpg|서삼릉 왕자공주 분묘 집장지 숙신공주 묘 묘표석 후면 | ||
+ | </gallery> | ||
===동영상=== | ===동영상=== | ||
− | |||
=='''전자지도'''== | =='''전자지도'''== |
2020년 7월 18일 (토) 04:28 기준 최신판
숙신공주 묘(淑愼公主 墓) | |
식별자 | RT005 |
---|---|
분류 | 분묘 |
한글명 | 숙신공주 묘 |
한자명 | 淑愼公主 墓 |
영문명 | Tomb of Princess SookShin |
피장자 명칭 | 숙신공주(淑愼公主) |
피장자 이칭 | 미상 |
피장자 부 | 효종(孝宗) |
피장자 모 |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張氏) |
피장자 생년월일 | 1635 |
피장자 몰년월일 | 1637 |
초장 연월일 | 미상 |
초장지 기록 | 고양 청담촌 선원계보기략 |
초장지 기록1 | 고양 서산(西山) 경기도감영장계등록 |
초장지 기록2 | 고양군 신도면 지축리 능원묘천봉안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장 연월일 | 1936.05.17 |
이장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장지 좌표(위도) | 37°66'49.51"N |
이장지 좌표(경도) | 126°85'95.20"E |
지문 | 淑愼公主之墓 |
지문 찬자 |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지문 소장처 | 조선왕릉 서부지구관리소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272책 (탈초본 14책) 숙종 5년(1679) 8월 3일 을축(乙丑) 7/15 기사
- 2.2.2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6일 갑인(甲寅) 24/27 기사
- 2.2.3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9일 정사(丁巳) 26/29 기사
- 2.2.4 『승정원일기』 1178책 (탈초본 65책) 영조 36년(1760) 2월 17일 임진(壬辰) 12/12 기사
- 2.2.5 『승정원일기』 1195책 (탈초본 66책) 영조 37년(1761) 7월 9일 을사(乙巳) 9/12 기사
- 2.2.6 『승정원일기』 1227책 (탈초본 69책) 영조 40년(1764) 2월 13일 을미(乙未) 37/46 기사
- 2.2.7 『승정원일기』 1240책 (탈초본 69책) 영조 41년(1765) 윤 2월 18일 계해(癸亥) 23/23 기사
- 2.2.8 『승정원일기』 1286책 (탈초본 71책) 영조 44년(1768) 11월 30일 갑인(甲寅) 20/21 기사
- 2.2.9 『승정원일기』 1290책 (탈초본 72책) 영조 45년(1769) 3월 11일 갑오(甲午) 17/17 기사
- 2.2.10 『승정원일기』 1344책 (탈초본 75책) 영조 49년(1773) 10월 6일 신축(辛丑) 15/19 기사
- 2.3 비변사등록
- 2.4 경기도감영장계등록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전자지도
- 6 참고 자료
- 7 주석
내용[편집]
조선의 제17대 왕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의 장녀인 숙신공주(1635~1637) 묘 이다.
1769년(영조 45) 3월 사당을 중건하였다. 초장지는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으로, 1936년 5월에 서삼릉 경내로 이장하였다.
관련 기록[편집]
조선왕조실록[편집]
『정조실록』49권, 정조 22년(1798) 9월 7일 정묘(丁卯) 2번째 기사[편집]
『순종실록부록』2권, 순종 4년(1911) 12월 2일 (양력) 1번째 기사[편집]
승정원일기[편집]
『승정원일기』 272책 (탈초본 14책) 숙종 5년(1679) 8월 3일 을축(乙丑) 7/15 기사[편집]
傳于安如石曰, 淑愼公主·羅淑儀兩墓, 今方改莎草云。令本官, 役軍一百名定給, 使之二日赴役事, 分付該道。 | ||
출처: 『승정원일기』 272책 (탈초본 14책) 숙종 5년(1679) 8월 3일 을축(乙丑) 7/15 기사 |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6일 갑인(甲寅) 24/27 기사[편집]
李喆輔, 以宗親府郞廳, 以有司堂上意啓曰, 淑寧翁主, 今方遷葬云。本府乃是接待衙門, 取考禮曹謄錄, 則曾在戊申年。貞愼翁主遷葬時及甲子年貞淑翁主遷葬時, 皆有啓稟之例, 則今番不可異同, 臣等旣有所聞, 惶恐敢啓。傳曰, 其令該曹, 一依淑愼公主例擧行。 | ||
출처: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6일 갑인(甲寅) 24/27 기사 |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9일 정사(丁巳) 26/29 기사[편집]
又以戶曹言啓曰, 因宗親府草記, 淑寧翁主遷葬時, 一依淑愼公主例擧行事, 命下矣。取考謄錄, 則曾無淑愼公主遷葬可據之例, 何以爲之? 敢稟。傳曰, 擔持軍, 其令該道題給, 葬需參酌, 自本曹顧助。上同。 | ||
출처: 『승정원일기』 1018책 (탈초본 55책) 영조 23년(1747) 7월 29일 정사(丁巳) 26/29 기사 |
『승정원일기』 1178책 (탈초본 65책) 영조 36년(1760) 2월 17일 임진(壬辰) 12/12 기사[편집]
上曰, 洪相殷若來詣, 則使之入來, 可也。臣煜承命出, 引司禦洪相殷入。上曰, 汝家有己卯年明文, 而淑愼公主, 序居第二乎? 相殷曰, 臣考見家中文書, 則臣之高祖母, 本無入瀋之事, 而淑愼公主, 序居第二矣。上曰, 其爲壽進宮也, 明矣。汝則退去, 相殷先退。 | ||
출처: 『승정원일기』 1178책 (탈초본 65책) 영조 36년(1760) 2월 17일 임진(壬辰) 12/12 기사 |
『승정원일기』 1195책 (탈초본 66책) 영조 37년(1761) 7월 9일 을사(乙巳) 9/12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227책 (탈초본 69책) 영조 40년(1764) 2월 13일 을미(乙未) 37/46 기사[편집]
戶曹判書具允明曰, 龍城大君房, 淑愼公主房祭需, 甲申條纔已輸送於內司矣。乙酉丙戌兩年條預下事, 自內司手本判下, 而翌年條, 其勿請得事, 辛巳年有特敎, 何以爲之乎? 上曰, 其時下敎, 予忘之而判下, 依前傳敎, 勿施, 可也。 | ||
출처: 『승정원일기』 1227책 (탈초본 69책) 영조 40년(1764) 2월 13일 을미(乙未) 37/46 기사 |
『승정원일기』 1240책 (탈초본 69책) 영조 41년(1765) 윤 2월 18일 계해(癸亥) 23/23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286책 (탈초본 71책) 영조 44년(1768) 11월 30일 갑인(甲寅) 20/21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290책 (탈초본 72책) 영조 45년(1769) 3월 11일 갑오(甲午) 17/17 기사[편집]
上命運維書傳敎曰, 淑愼公主祠宇重建, 故有手本請得者, 而其數太多, 此等處, 例有該曹顧助之事, 特遣郞廳所入之物, 該曹顧助米布郞廳, 計其入量, 與兵曹顧助, 畢重建後, 亦令該曹修理。出傳敎。 | ||
출처: 『승정원일기』 1290책 (탈초본 72책) 영조 45년(1769) 3월 11일 갑오(甲午) 17/17 기사 |
『승정원일기』 1344책 (탈초본 75책) 영조 49년(1773) 10월 6일 신축(辛丑) 15/19 기사[편집]
因命書傳敎曰, 今見壽進宮傳香, 予懷一倍, 淑愼公主贈號, 今日知焉。義昌君·樂善君, 建宇後只聞而已, 三昨拜慶運宮, 予心, 若何? 明日當詣壽進宮, 入見而來。 | ||
출처: 『승정원일기』 1344책 (탈초본 75책) 영조 49년(1773) 10월 6일 신축(辛丑) 15/19 기사 |
비변사등록[편집]
『비변사등록』118책, 영조 23년(1747) 7월 30일 무오(戊午)[편집]
경기도감영장계등록[편집]
『경기도감영장계등록(京畿道監營狀啓謄錄)』4, 장계(狀啓)[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현재의 묘역[편집]
초장 추정지[편집]
갤러리[편집]
동영상[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서
- 인성대군 효소공 묘 치유문(仁城大君孝昭公墓致侑文)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인성대군묘소북역조사(仁城大君墓所北域調査)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능원묘천봉안(陵園墓遷奉案)』, 1929 ~ 194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