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경공주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새 문서: {{Button|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조사카드 |사진=tomb.png |사진출처=사진출처 |식별자=PC039-2 |분...) |
잔글 (→시각자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utton|[[서삼릉 위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 {{Button|[[서삼릉 위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 ||
− | {{ | + | {{태실조사카드 |
− | |사진= | + | |사진=OGPC_Sookmyung_Sky_View.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경북 김천 지례면 궁을산(弓乙山) 숙경공주 태실 터 공중 전경 |
− | |식별자=PC039 | + | |식별자=PC039 |
|분류=왕자공주 태실 | |분류=왕자공주 태실 | ||
|한글명=숙경공주 태실 | |한글명=숙경공주 태실 | ||
|한자명=淑敬公主 胎室 | |한자명=淑敬公主 胎室 | ||
|영문명=Placenta Chamber of Princess SookGyeong | |영문명=Placenta Chamber of Princess SookGyeong | ||
− | | | + | |피안자 명칭=숙경공주(淑敬公主) |
− | | | + | |피안자 이칭=미상 |
− | | | + | |피안자 부=효종(孝宗) |
− | | | + | |피안자 모=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張氏) |
− | | | + | |피안자 생년월일=1648.01.29 |
− | | | + | |피안자 몰년월일=1671.01.09 |
− | | | + | |안태 연월일=1660.10.02 |
− | | | + | |안태지 기록=경상도 지례<small>태봉등록</small> |
− | | | + | |안태지 기록1= |
− | |좌표(위도)= | + | |안태지 기록2= |
− | |좌표(경도)= | + | |안태지 기록3= |
+ | |안태지 좌표(위도)=35°96'24.5"N | ||
+ | |안태지 좌표(경도)=128°02'6.5"E | ||
+ | |안태지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관덕리 산52 |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 ||
− | | | + | |이안 연월일=1930.05 |
− | | | + |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 | | | + | |이안지 좌표(위도)=37°39'52.9"N |
− | | | + | |이안지 좌표(경도)=126°51'38.0"E |
− | |||
− | |||
− | |||
− | |||
− | |||
− | |||
− | |||
− | |||
|지문=淑敬公主阿只氏胎室,順治十七年十月日 | |지문=淑敬公主阿只氏胎室,順治十七年十月日 | ||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 |지문 찬자=조선 예조(禮曹) | ||
|지문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지문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
+ | |석물=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주희(金柱熙) 묘 석물<small>추정</small> | ||
|유물1=『숙경공주녹패(淑敬公主祿牌)』<small>국사편찬위원회 소장</small> | |유물1=『숙경공주녹패(淑敬公主祿牌)』<small>국사편찬위원회 소장</small> | ||
|유물2=『숙경공주사패교지(淑敬公主賜牌敎旨)』<small>국사편찬위원회 소장</small> | |유물2=『숙경공주사패교지(淑敬公主賜牌敎旨)』<small>국사편찬위원회 소장</small> | ||
+ | |유물3= | ||
|태항아리=효종 왕녀 숙경공주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효종 왕녀 숙경공주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
|태항아리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태항아리 소장처=국립고궁박물관 | ||
}} | }} | ||
− | ==''' | + | =='''내용'''== |
− | + | 효종과 인선왕후 사이의 소생이다.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麟)에게 하가했다. | |
+ | |||
+ | 효종의 다른 여러 공주들과 함께 안태의 논의가 있었다. 1660년(현종 1) 3월 18일 처음 태봉 조성에 대한 내용이 보이는데 왕자군과 동일하게 삼망(三望) 중 한 곳을 낙점하고 있다. 다만 출생한 해에 따라 조성 시점을 달리 잡고 있다. 숙경공주는 숙명공주와 같은 때 태실을 조성하는 것으로 되었다. | ||
+ | |||
+ | 이같은 이유로 숙명공주와 숙경공주는 같은 지역에 태실이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시에 태실을 조성하는데 소용되는 물력이 과도하다는 문제제기가 있었고 현종은 이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이것이 공주의 태실을 조성하는 것이기에 제기된 문제인지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 ||
=='''관련 기록'''== | =='''관련 기록'''== | ||
===조선왕조실록=== | ===조선왕조실록=== | ||
− | ==== | + | ====『현종실록』19권, 현종 12년(1671) 1월 9일 신유(辛酉) 3번째 기사==== |
− | {{Blockquote| | + | {{Blockquote|숙경 공주(淑敬公主)가 죽었다. 공주가 대내(大內)에 뵈러 나아갔다가 갑자기 마마를 앓아 그의 집으로 돌아갔는데 그대로 일어나지 못하였다. 상이 백관을 거느리고 숭문당(崇文堂)에서 거애(擧哀)하였다. 이때 상이 편찮았으므로 거애하는 일을 멈출 것을 약방(藥房)이 세 번이나 아뢰어 청하였으나, 따르지 않았다. |
− | + | 淑敬公主卒。 公主進見于內, 猝患痘疾, 出歸其第, 因不起。 上率百官, 擧哀于崇文堂。 時上候未寧, 擧哀一節, 藥房三啓請停而不從。|출처=『현종실록』19권, 현종 12년(1671) 1월 9일 신유(辛酉) 3번째 기사}} | |
===승정원일기=== | ===승정원일기=== | ||
123번째 줄: | 124번째 줄: | ||
|출처=『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술(庚戌, 1670) 9월 21일}} | |출처=『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술(庚戌, 1670) 9월 21일}} | ||
+ | |||
+ | ===개인문집류=== | ||
+ | ====『창하집(蒼霞集)』권9, 행장(行狀)==== | ||
+ | {{Blockquote|《조비숙경공주행장(祖妣淑敬公主行狀)》 | ||
+ | |||
+ | 惟我祖妣淑敬公主。神聖王第五女。新豐府院君張文忠公維外孫。崇禎戊子正月二十九日生。辛丑十二月十一日行吉禮。辛亥正月九日以痘痂卒。享年二十四。只有一女。未笄而夭。初葬坡州。癸亥。移于驪州遁村牛頭山麓乙坐辛向之原。與祖考同墳。祖考諱夢鱗。成祿大夫興平尉。甲寅三月十七日卒。享年二十七。平安道觀察使諱萬里長子。廣州府尹諱斗樞孫。知中樞府事原溪君忠肅公諱裕男曾孫。吏曹參判李公時楷外孫。觀察公本生考諱斗杓。左議政原平府院君忠翼公。原州元氏。顯于高麗。知門下省事諱弘弼。寔我鼻祖。先君都尉公弟縣監諱夢翼長子。過房而紹厥嗣。以朝命也。嗚呼。先君嘗詔不肖曰。吾生也後。未及躬事先妣。淑德懿行。何以詳記焉。今詔汝者。特十之一二。此又沉泯不傳。余甚懼焉。小子念哉。先妣天姿。溫雅貞順。養于莊烈大妃殿。幼而誦小學內訓。寡言愼行。嫺於禮度。宮中稱之。及下嫁。事夫子順。事舅姑敬。處妯娌娣妹睦。無間言。夙夜祗畏。恭執婦道。羅錦珠貝。遠而不玩。常服絹紬。昭其儉也。子孫儉約自守。不敢爲富貴容。繄我先妣遺法也。先君諱命龜。黃州牧使。三男一女。曰景夏。娶判書申思喆女。三男一女。仁孫,義孫。餘幼。曰景游。娶應敎申晳女。曰景輿。娶判官任適女。一女幼。女歸趙載浩。一男二女。皆幼。今不肖謹書先君攸敎。不敢溢焉。彤史無闕。庶可以徵斯而有傳也。 | ||
+ | |||
+ | |출처=『창하집(蒼霞集)』권9, 행장(行狀)}}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NetworkGraph | title=숙경공주_태실.lst}}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gallery> | <gallery> | ||
− | File: | + | File:SSNPC_SookGye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경공주 태실 전경 |
− | File: | + | File:SSNPC_SookGye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경공주 태실 후면 |
− | File: | + | File:OGPC_Sookmyung_Front_panorama1.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壙地) 전경 ① |
− | File: | + | File:OGPC_Sookmyung_Front_panorama2.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 전경 ② |
+ | File:OGPC_Sookmyung_side_close.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 근경 ① | ||
+ | File:OGPC_Sookmyung_Front.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 근경 ②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Tomb.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전경 <small>태실 석물 추정 소재지</small>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Tomb_Sangseok.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상석 <small>태실 석물 추정</small>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East.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서편 망주석 <small>태실 석물 추정</small>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West.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동편 망주석 <small>태실 석물 추정</small> | ||
+ | </gallery> | ||
+ | |||
+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SSNPC_SookGye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경공주 태실 전경 | ||
+ | File:SSNPC_SookGye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숙경공주 태실 후면 | ||
+ | File:OGPC_Sookmyung_Front_panorama1.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壙地) 전경 ① | ||
+ | File:OGPC_Sookmyung_Front_panorama2.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 전경 ② | ||
+ | File:OGPC_Sookmyung_side_close.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 근경 ① | ||
+ | File:OGPC_Sookmyung_Front.JPG|김천 지례면 궁을산 숙경공주 태실 초안지 광지 근경 ②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Tomb.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전경 <small>태실 석물 추정 소재지</small>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Tomb_Sangseok.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상석 <small>태실 석물 추정</small>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East.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서편 망주석 <small>태실 석물 추정</small> | ||
+ | File:OGPC_Sookmyung_seokmul_West.JPG|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계희 묘 동편 망주석 <small>태실 석물 추정</small>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노라마=== |
−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 | +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39/P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 | |||
=='''전자지도'''== | =='''전자지도'''== | ||
220번째 줄: | 239번째 줄: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
' <a href="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target="_blank">' + | ' <a href="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target="_blank">' + | ||
− | ' <span class="title"> | + | ' <span class="title">숙경공주 태실 초장지</span>' + |
' </a>' + | ' </a>' + | ||
'</div>'; | '</div>'; | ||
255번째 줄: | 274번째 줄: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
' <a href="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target="_blank">' + | ' <a href="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target="_blank">' + | ||
− | ' <span class="title">서삼릉 | + | ' <span class="title">서삼릉 숙경공주 태실</span>' + |
' </a>' + | ' </a>' + | ||
'</div>'; | '</div>'; | ||
282번째 줄: | 301번째 줄: |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
+ | *원경하(元景夏), 『창하집(蒼霞集)』, 편저시기 미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국립중앙도서관 등 소장. | ||
2020년 1월 13일 (월) 08:18 기준 최신판
숙경공주 태실(淑敬公主 胎室) | |
식별자 | PC039 |
---|---|
분류 | 왕자공주 태실 |
한글명 | 숙경공주 태실 |
한자명 | 淑敬公主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SookGyeong |
피안자 명칭 | 숙경공주(淑敬公主) |
피안자 이칭 | 미상 |
피안자 부 | 효종(孝宗) |
피안자 모 |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張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648.01.29 |
피안자 몰년월일 | 1671.01.09 |
안태 연월일 | 1660.10.02 |
안태지 기록 | 경상도 지례태봉등록 |
안태지 좌표(위도) | 35°96'24.5"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02'6.5"E |
안태지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관덕리 산52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30.05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39'52.9"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51'38.0"E |
지문 | 淑敬公主阿只氏胎室,順治十七年十月日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김천 지례면 관덕리 활람마을 내 김주희(金柱熙) 묘 석물추정 |
유물1 | 『숙경공주녹패(淑敬公主祿牌)』국사편찬위원회 소장 |
유물2 | 『숙경공주사패교지(淑敬公主賜牌敎旨)』국사편찬위원회 소장 |
태항아리 | 효종 왕녀 숙경공주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2 승정원일기
- 2.3 태봉등록
- 2.3.1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정월(正月) 초5일(初五日)
- 2.3.2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3월 19일
- 2.3.3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7월 19일
- 2.3.4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7월 21일
- 2.3.5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8월 초8일(初八日)
- 2.3.6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8월 22일
- 2.3.7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술(庚戌, 1670) 8월 15일
- 2.3.8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술(庚戌, 1670) 9월 21일
- 2.4 개인문집류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전자지도
- 6 참고 자료
- 7 주석
내용[편집]
효종과 인선왕후 사이의 소생이다.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麟)에게 하가했다.
효종의 다른 여러 공주들과 함께 안태의 논의가 있었다. 1660년(현종 1) 3월 18일 처음 태봉 조성에 대한 내용이 보이는데 왕자군과 동일하게 삼망(三望) 중 한 곳을 낙점하고 있다. 다만 출생한 해에 따라 조성 시점을 달리 잡고 있다. 숙경공주는 숙명공주와 같은 때 태실을 조성하는 것으로 되었다.
이같은 이유로 숙명공주와 숙경공주는 같은 지역에 태실이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시에 태실을 조성하는데 소용되는 물력이 과도하다는 문제제기가 있었고 현종은 이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이것이 공주의 태실을 조성하는 것이기에 제기된 문제인지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관련 기록[편집]
조선왕조실록[편집]
『현종실록』19권, 현종 12년(1671) 1월 9일 신유(辛酉) 3번째 기사[편집]
승정원일기[편집]
『승정원일기』 161책 (탈초본 8책) 현종 1년(1660) 3월 18일 계유(癸酉) 7/28 기사[편집]
『승정원일기』 161책 (탈초본 8책) 현종 1년(1660) 3월 18일 계유(癸酉) 27/28 기사[편집]
태봉등록[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정월(正月) 초5일(初五日)[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3월 19일[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7월 19일[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7월 21일[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8월 초8일(初八日)[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자(庚子, 1660) 8월 22일[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술(庚戌, 1670) 8월 15일[편집]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술(庚戌, 1670) 9월 21일[편집]
![]() |
태실 보토[胎室補土]
경상감사 계본에 지례에 있는 두 곳 태실의 무너진 곳에 흙을 보충하는 일은 이달 초 l0일에 공사를 완료하였습니다 라고 하였다.
|
![]() |
출처: 『태봉등록』 현종조(顯宗朝) 경술(庚戌, 1670) 9월 21일 |
개인문집류[편집]
『창하집(蒼霞集)』권9, 행장(行狀)[편집]
지식 관계망[편집]
시각자료[편집]
파노라마[편집]
전자지도[편집]
참고 자료[편집]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편집]
1.고문헌
- 조선 예조(禮曹), 『가례등록(嘉禮謄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원경하(元景夏), 『창하집(蒼霞集)』, 편저시기 미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국립중앙도서관 등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김일근, 「언간의 연구-자료의 고증·분석과 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학술지』13, 건국대학교 학술연구원, 1972.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편집]
1.디지털콘텐츠
- 디지털김천문화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