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흥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222.119.249.18 (토론)의 2639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
(→파노라마) |
||
215번째 줄: | 215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 | |||
− | |||
− |
2019년 12월 16일 (월) 01:12 판
인흥군 태실(仁興君 胎室) | |
식별자 | PC036 |
---|---|
분류 | 왕자공주 태실 |
한글명 | 인흥군 태실 |
한자명 | 仁興君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Prince Inheung |
피안자 명칭 | 인흥군(仁興君) |
피안자 이칭 | 이영(李瑛) · 자(字) 가온(可韞) · 호(號) 취은(醉隱), 월창(月窓) ·정효공(靖孝公) |
피안자 부 | 선조(宣祖) |
피안자 모 | 정빈 민씨(靜嬪閔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604.02.07 |
피안자 몰년월일 | 1651.11.25 |
안태 연월일 | 1608.11.07 |
안태지 좌표(위도) | 38°14'72.06"N |
안태지 좌표(경도) | 128°58'49.12"E |
안태지 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皇明萬曆三十二年,二月初七日生,王子阿只氏胎,萬曆三十六年,十一月初七日藏 |
지문 찬자 | 미상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유물1 | 인흥군 부속유물(동전)(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유물2 | 인흥군 신도비 및 묘비 탁본(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태항아리 | 선조 왕자 인흥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정의
조선의 14대 왕 선조(宣祖)과 정빈 민씨(靜嬪閔氏)소생으로, 선조의 12남인 인흥군 태실에 관한 종합 정보 페이지.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갤러리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박세당(朴世堂), 『정효공연보(靖孝公年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 『선군유권(先君遺卷)』,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낭선군 이우, 『정효공가승(靖孝公家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인흥군 이영, 『월창야화(月窓夜話)』,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인흥군 이영, 『백인당유권(百忍堂遺卷)』,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편저미상, 『종반행적(宗班行蹟)』,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신영주, 「인흥군 이영의 일상과 『월창야화』」, 『동방한문학』32, 동방한문학회, 2007.
- 양승민, 「인흥군 영과 <취은몽유록> : 인흥군 문학의 종합적 소개를 겸하여」, 『고소설연구』5, 한국고소설학회,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