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파노라마) |
잔글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태실조사카드 | {{태실조사카드 | ||
− | |사진= | + | |사진=OGPC009_02.jpg |
|사진출처=경기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의 중종 태실 전경 | |사진출처=경기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의 중종 태실 전경 | ||
|식별자=PC009 | |식별자=PC009 | ||
106번째 줄: | 106번째 줄: | ||
===스틸샷 갤러리=== | ===스틸샷 갤러리=== | ||
+ | <gallery> | ||
+ | File:SSNPC009_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중종 태실 전면 | ||
+ | File:SSNPC009_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중종 태실 후면 | ||
+ | File:OGPC009_01.jpg|가평 태봉산 전경 | ||
+ | File:OGPC009_02.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전경 | ||
+ | File:OGPC009_03.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
+ | File:OGPC009_04.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비 전경 | ||
+ | File:OGPC009_05.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비신 전면 | ||
+ | File:OGPC009_06.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비신 후면 | ||
+ | File:OGPC009_07.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이수 전면 | ||
+ | File:OGPC009_08.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이수 후면 | ||
+ | File:OGPC009_09.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귀부 전면 | ||
+ | File:OGPC009_10.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귀부 후면 | ||
+ | File:OGPC009_11.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아기태실비 전면 | ||
+ | File:OGPC009_12.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아기태실비 후면 | ||
+ | File:OGPC009_13.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아기태실비 비수 | ||
+ | File:OGPC009_14.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석물 유구-1 | ||
+ | File:OGPC009_15.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석물 유구-2 | ||
+ | File:OGPC009_16.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난간석 유구 | ||
+ | File:OGPC009_17.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난간석 | ||
+ | File:OGPC009_18.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동자석 | ||
+ | File:OGPC009_19.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죽석 | ||
+ | File:OGPC009_20.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태석함 | ||
+ | </gallery> | ||
+ | |||
+ | <gallery mode="slideshow"> | ||
+ | File:SSNPC009_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중종 태실 전면 | ||
+ | File:SSNPC009_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중종 태실 후면 | ||
+ | File:OGPC009_01.jpg|가평 태봉산 전경 | ||
+ | File:OGPC009_02.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전경 | ||
+ | File:OGPC009_03.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
+ | File:OGPC009_04.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비 전경 | ||
+ | File:OGPC009_05.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비신 전면 | ||
+ | File:OGPC009_06.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비신 후면 | ||
+ | File:OGPC009_07.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이수 전면 | ||
+ | File:OGPC009_08.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이수 후면 | ||
+ | File:OGPC009_09.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귀부 전면 | ||
+ | File:OGPC009_10.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귀부 후면 | ||
+ | File:OGPC009_11.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아기태실비 전면 | ||
+ | File:OGPC009_12.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아기태실비 후면 | ||
+ | File:OGPC009_13.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아기태실비 비수 | ||
+ | File:OGPC009_14.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석물 유구-1 | ||
+ | File:OGPC009_15.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석물 유구-2 | ||
+ | File:OGPC009_16.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난간석 유구 | ||
+ | File:OGPC009_17.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난간석 | ||
+ | File:OGPC009_18.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동자석 | ||
+ | File:OGPC009_19.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가봉태실 죽석 | ||
+ | File:OGPC009_20.jpg|가평 태봉산 중종 태실 초안지 태석함 | ||
+ | </gallery> | ||
=='''수치지형도'''== | =='''수치지형도'''== |
2019년 12월 15일 (일) 22:24 판
중종 태실(中宗 胎室) | |
식별자 | PC009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중종 태실 |
한자명 | 中宗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Jungjong |
피안자 명칭 | 중종(中宗) |
피안자 이칭 | 이역(李懌)·자(字) 낙천(樂天)·공희대왕(恭僖大王)·정릉(靖陵) |
피안자 부 | 성종(成宗) |
피안자 모 |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尹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488.04.16 |
피안자 몰년월일 | 1544.11.29 |
안태 연월일 | 1492.09.07 『중종 태지석』 |
안태지 기록 | 경기 가평현(加平縣) 『중종실록』 |
안태지 기록1 | 가평(加平) 서면(西面) 『정조실록』 |
안태지 기록2 | 경기 가평군 군내면 『서삼릉 중종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7°80'45.20"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47'84.62"E |
안태지 주소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 산112 |
문화재 지정여부 | 가평군 향토유적 제6호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皇明弘治元年,三月,初五日,丑時生,大君仇等隱金伊阿只氏胎,弘治五年,九月,初七日,亥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朝鮮 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중종 가봉태실 태석함이 노출된 상태로 복원 |
태항아리 | 중종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정의
조선 9대 왕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 소생의 조선 11대 왕, 중종(中宗)의 안태지(安胎地).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2권, 중종 2년(1507) 4월 22일 을미(乙未) 1번째 기사
『중종실록』4권, 중종 2년(1507) 10월 16일 병술(丙戌) 5번째 기사
![]() |
《경기 가평현을 올려 군으로 삼고, 현감 유면을 체임시키다》
경기 가평현(加平縣)을 올려 군(郡)으로 삼고, 현감(縣監) 유면(柳沔)을 체임시켰으니, 이 곳은 주상(主上)의 태실(胎室)이 있는 곳이다. 陞京畿 加平縣爲郡, 仍遞縣監柳沔, 蓋以主上胎室所在也。 |
![]() |
출처: 『중종실록』4권, 중종 2년(1507) 10월 16일 병술(丙戌) 5번째 기사 |
『중종실록』4권, 중종 2년(1507) 10월 25일 을미(乙未) 1번째 기사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