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Layou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includeonly>
 
<includeonly>
<table class="Info" style="width:100%;" cellspacing="20px">
+
<table class="Info" style="width:70%;" cellspacing="20px">
 
{{#if:{{{원문0|}}} | <tr>
 
{{#if:{{{원문0|}}} | <tr>
 
<td style="width:40%;" cellpadding="30px" valign="top">{{{원문0|}}}</td>
 
<td style="width:40%;" cellpadding="30px" valign="top">{{{원문0|}}}</td>
864번째 줄: 864번째 줄:
 
=='''예시'''==
 
=='''예시'''==
 
{{layout
 
{{layout
|원문1=<八月二十九日 曖依村莊宴集 席上賦贈朝鮮修信使金宏集> <br/>喜君萬里駐文旗, 設宴村莊慰客思。<br/>泉石離城足幽趣, 園林經雨送涼颸。<br/>晉秦構難非今日, 韓魏連和是此時。<br/>紛紜旣往鬩墻事, 付與吟筵酒一巵。
+
|원문1=辛未
|원문2=<送嚴世永崔成大歸朝鮮> <br/>同敎同文情好親, 相逢不似異邦人。<br/>檀君開國國源遠, 箕氏化民民俗醇。<br/>探水討山經萬里, 觀風察政滯三旬。<br/>一朝送別尤惆悵, 再會難期海外賓。
+
|원문2=王女卒于宮內, 年十三。 停朝市三日, 輟肉膳, 設禮葬、造墓兩都監, 命副正尹碩主喪。
|번역문1=<애의촌장(曖依村莊)에서 연회를 열어 석상에서 조선 수신사 김굉집(金宏集)께 시를 지어 드리다> <br/>기쁘게도 그대 만리를 와서 문학의 기 세우니, 촌장에서 연회 열어 객수 위로한다오.<br/>산수는 성과 떨어져 그윽한 정취 있고, 원림엔 비 내려 서늘한 바람 부누나.<br/>지금은 진진(晉秦)처럼 싸울 때가 아니요, 이런 때엔 한위(韓魏)처럼 연합해야 한다오.<br/>이전에 어지럽게 형제끼리 싸우던 일은, 시 짓는 자리에서 한 잔 술에 부쳐 보내게.
+
|번역문1=『세종실록』 23권, 세종 6년 2월 25일 신미
|번역문2=<조선으로 돌아가는 엄세영(嚴世永)과 최성대(崔成大)를 송별하며> <br/>같은 가르침과 문자로 정분이 친밀하여, 서로 만나니 전혀 이방 사람 같지 않다오.<br/>단군(檀君)이 나라 열었으니 역사가 오래되었고, 기자(箕子)가 백성 교화했으니 풍속이 순박하네.<br/>물과 산을 찾고 찾아 만리를 돌아다녔고, 풍속과 정사 살피느라 한 달을 머물렀네.<br/>하루아침에 송별하게 되어 더욱 서글프니, 바다 밖 손님 이제는 재회하기 어려우리.
+
|번역문2=왕녀(王女)가 궁중에서 졸()하였으니, 나이 13세였다. 3일 동안 조회와 저자를 정지하고 육선(肉膳)도 철수하였다. 예장(禮葬)·조묘(造墓) 두 도감(都監)을 설치하여 부정윤(副正尹) 이석(李碩)이 상례를 주장하게 하였다.
 
}}
 
}}
  
 
</noinclude>
 
</noinclude>

2019년 8월 12일 (월) 19:16 기준 최신판



사용법[편집]

{{layout
|원문1=
|원문2=
|원문3=
|번역문1=
|번역문2=
|번역문3=
}}

예시[편집]

辛未 『세종실록』 23권, 세종 6년 2월 25일 신미
王女卒于宮內, 年十三。 停朝市三日, 輟肉膳, 設禮葬、造墓兩都監, 命副正尹碩主喪。 왕녀(王女)가 궁중에서 졸(卒)하였으니, 나이 13세였다. 3일 동안 조회와 저자를 정지하고 육선(肉膳)도 철수하였다. 예장(禮葬)·조묘(造墓) 두 도감(都監)을 설치하여 부정윤(副正尹) 이석(李碩)이 상례를 주장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