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ple)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
대표명칭 | 승정원일기 |
---|---|
한자표기 | 承政院日記 |
저술시기 | 조선 |
시대 | 조선 |
크기 | 41.2cmx29.4cm |
지정번호 | 국보 제303호 |
지정일 | 1999년 04월 09일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처리한 업무일지이다.
내용
개괄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처리한 왕명 출납과 제반 행정 사무, 의례적 사항 등을 기록한 일기이다. 현재 인조 1623년(인조 원년) 3월부터 1910(순종 융희 4) 8월까지의 기록이 3,243책의 필사본으로 남아있다. 국보 제303호로 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1년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에 등재되었다.[1]
작성방식
승정원의 직제는 도승지 이하 정3품의 승지 6인과 정7품의 주서(注書) 2인이며, 주로 주서가 맡아 작성했다. 주서는 매일 국왕이 정사를 보는 앞에서 사관(史官)과 함께 신하들과 국정을 논의하는 과정을 기록한 초책(草冊;속기록)을 하루치씩 정리하고, 상소(上疏)나 서계(書啓)와 같이 문자로 된 문건은 서리에게 베끼게 했다. 이 두 가지를 합쳐서 그날의 일기가 만들어진다. 이를 한 달 또는 반달 치씩 묶어 표지에 연월일을 적어 승지에게 제출하여 승정원에 보관하게 하였다.[2]
의의
승정원일기는 이괄의 난, 왜란 등에 휩쓸리면서 수차례 소실과 개수를 반복했지만 정치, 경제, 외교, 문화, 법제, 사회, 자연 현상, 인사, 국왕과 관료의 동정, 국정 논의 등 광범위한 기록이 들어있어 가히 한국학 연구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국정에 관한 기본 사료로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등이 있다. 그러나 실록은 인조 이후부터의 기록이 부실하며, 『일성록』은 세도정치기간에 대해서는 실록에 비해 비교적 잘 작성되어 있지만 승정원일기에 비해 내용이 소략한 편이다. 뿐만 아니라 고종 이후에는 승정원일기가 근대사 분야의 공식기록이었으므로 자료적 가치는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매일 기록되는 날씨는 조선시대 자연현상에 대한 기초 자료로 천문학 등의 자연과학의 연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국왕의 진료기록 등은 의학사(醫學史)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3]
원문정보
원문소장처
규장각
장서각(高宗)
원문이미지
규장각
원문텍스트
온라인 자료제공처
지식 관계망
- 왕실 의복 반사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승정원일기 | 승정원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승정원일기 | 조선왕조실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승정원일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괄의 난 | 승정원일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992년 | 임진왜란으로 인해 승정원일기가 소실되었다 |
1623년 | 이괄의 난으로 인해 승정원일기가 소설되었다 |
주석
- ↑ "승정원일기의 작성", 승정원일기 소개,
『승정원일기』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승정원일기의 작성방식", 승정원일기 소개,
『승정원일기』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승정원일기의 사료적 가치", 승정원일기 소개,
『승정원일기』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고계영, 「《승정원일기》의 修納과 관리에 대한 고찰」, 『규장각』Vol.4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4.
- 이강욱, 「《承政院日記》를 통해 본 草記의 전면적 考察」, 『민족문화』Vol.34, 한국고전번역원, 2010.
- 김종수, 「《승정원일기》 편찬체제와 타 문헌과의 비교 검토」, 『인문학논의』vol.3, 국립7개대학공동논문간행위원회, 2003.
- 신병주, 「《承政院日記》의 자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 『朝鮮王朝實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규장각』vol.24,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