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제사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Contextual Relations)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제사 음식을 올려놓는 제상(祭床)이다. '좌변우두左籩右豆'라 하여 변은 좌측(동편)에, 두는 우측(서편)에 위치한다. 대나무로 만든 변에는 대조(大棗), 백병(白餠), 녹포(鹿脯) 등 마른 음식을 담기 때문에 음으로 분류되어 좌측에 위치한다. 나무를 파서 만든 두는 녹해(鹿醢), 청저(靑菹) 등 물기가 있는 음식을 담기 때문에 양으로 분류되어 우측에 위치한다. 종묘대제의 경우 제사상에는 모두 60여 종의 음식이 놓인다. 변과 두가 제사상의 동서쪽에, 보궤는 다음 줄에 놓는데, 이는 곡식들로서 주식인 밥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고깃국인 등형 다음에 놓였다. 땅에서 자란 음의 산물이므로 짝수로 진설하였다. 조(俎)에는 희생을 담아 올린다. 익힌 고기는 소생갑에 담아 두 옆에 놓는다. 그 옆에는 모혈반이 놓이고 그 반대편에는 간료등이 놓인다. 양성 앞에는 폐비가 놓이고, 그 앞 좌우에 향합과 향로가 자리한다. 제상 제일 앞줄에는 작(爵) 여섯이 놓이고, 그 왼쪽으로 축판이 있다. 작이 여섯인 것은 국왕과 왕비에게 올리는 3헌의 작이 차례로 놓이기 때문이다.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제사 음식을 올려놓는 제상(祭床)이다. '좌변우두左籩右豆'라 하여 변은 좌측(동편)에, 두는 우측(서편)에 위치한다. 대나무로 만든 변에는 대조(大棗), 백병(白餠), 녹포(鹿脯) 등 마른 음식을 담기 때문에 음으로 분류되어 좌측에 위치한다. 나무를 파서 만든 두는 녹해(鹿醢), 청저(靑菹) 등 물기가 있는 음식을 담기 때문에 양으로 분류되어 우측에 위치한다. 종묘대제의 경우 제사상에는 모두 60여 종의 음식이 놓인다. 변과 두가 제사상의 동서쪽에, 보궤는 다음 줄에 놓는데, 이는 곡식들로서 주식인 밥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고깃국인 등형 다음에 놓였다. 땅에서 자란 음의 산물이므로 짝수로 진설하였다. 조(俎)에는 희생을 담아 올린다. 익힌 고기는 소생갑에 담아 두 옆에 놓는다. 그 옆에는 모혈반이 놓이고 그 반대편에는 간료등이 놓인다. 양성 앞에는 폐비가 놓이고, 그 앞 좌우에 향합과 향로가 자리한다. 제상 제일 앞줄에는 작(爵) 여섯이 놓이고, 그 왼쪽으로 축판이 있다. 작이 여섯인 것은 국왕과 왕비에게 올리는 3헌의 작이 차례로 놓이기 때문이다.
 +
󰡔국조오례서례󰡕 「찬실준뢰도설」을 보면, 변과 두가 제사상의 동서쪽에 각각 가로 6줄, 세로 2줄씩을 진설하는데, 음식의 수는 모두 24종이다. 변은 제상의 왼편에다 마른 음식이나 과일 등을 담아놓는 제기이다. 이 제기에는 분자(粉餈, 인절미), 구이(糗餌, 미싯가루떡), 흑병(黑餠, 수수떡), 백병(白餠), 녹포(鹿脯), 호도, 백자(잣), 연자(蓮子), 비자(榧子), 황율(黃栗), 건조(乾棗), 어숙(魚鱐), 형염(形鹽, 소금) 등을 담는다. 두는 제상의 오른편에다 떡, 고기, 김치, 젓갈 따위를 담아놓는 제기이다. 이 제기에는 삼식(糝食, 고기떡), 이식(酏食, 술떡), 돈박(豚拍, 돼지갈비), 비석(脾析, 소 천엽), 어해(魚醢, 물고기젓), 길경(桔梗, 도라지김치), 순저(筍菹, 대나무순김치), 치해(雉醢, 꿩고기젓), 근저(芹菹, 미나리김치), 녹해(鹿醢, 사슴고기젓), 청저(靑菹, 무김치), 탐해(醓醢, 소고기젓), 구저(韭菹, 부추김치) 등을 담는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2년 12월 3일 (토) 02:24 판

Definition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제사 음식을 올려놓는 제상(祭床)이다. '좌변우두左籩右豆'라 하여 변은 좌측(동편)에, 두는 우측(서편)에 위치한다. 대나무로 만든 변에는 대조(大棗), 백병(白餠), 녹포(鹿脯) 등 마른 음식을 담기 때문에 음으로 분류되어 좌측에 위치한다. 나무를 파서 만든 두는 녹해(鹿醢), 청저(靑菹) 등 물기가 있는 음식을 담기 때문에 양으로 분류되어 우측에 위치한다. 종묘대제의 경우 제사상에는 모두 60여 종의 음식이 놓인다. 변과 두가 제사상의 동서쪽에, 보궤는 다음 줄에 놓는데, 이는 곡식들로서 주식인 밥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고깃국인 등형 다음에 놓였다. 땅에서 자란 음의 산물이므로 짝수로 진설하였다. 조(俎)에는 희생을 담아 올린다. 익힌 고기는 소생갑에 담아 두 옆에 놓는다. 그 옆에는 모혈반이 놓이고 그 반대편에는 간료등이 놓인다. 양성 앞에는 폐비가 놓이고, 그 앞 좌우에 향합과 향로가 자리한다. 제상 제일 앞줄에는 작(爵) 여섯이 놓이고, 그 왼쪽으로 축판이 있다. 작이 여섯인 것은 국왕과 왕비에게 올리는 3헌의 작이 차례로 놓이기 때문이다. 󰡔국조오례서례󰡕 「찬실준뢰도설」을 보면, 변과 두가 제사상의 동서쪽에 각각 가로 6줄, 세로 2줄씩을 진설하는데, 음식의 수는 모두 24종이다. 변은 제상의 왼편에다 마른 음식이나 과일 등을 담아놓는 제기이다. 이 제기에는 분자(粉餈, 인절미), 구이(糗餌, 미싯가루떡), 흑병(黑餠, 수수떡), 백병(白餠), 녹포(鹿脯), 호도, 백자(잣), 연자(蓮子), 비자(榧子), 황율(黃栗), 건조(乾棗), 어숙(魚鱐), 형염(形鹽, 소금) 등을 담는다. 두는 제상의 오른편에다 떡, 고기, 김치, 젓갈 따위를 담아놓는 제기이다. 이 제기에는 삼식(糝食, 고기떡), 이식(酏食, 술떡), 돈박(豚拍, 돼지갈비), 비석(脾析, 소 천엽), 어해(魚醢, 물고기젓), 길경(桔梗, 도라지김치), 순저(筍菹, 대나무순김치), 치해(雉醢, 꿩고기젓), 근저(芹菹, 미나리김치), 녹해(鹿醢, 사슴고기젓), 청저(靑菹, 무김치), 탐해(醓醢, 소고기젓), 구저(韭菹, 부추김치) 등을 담는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종묘_제사상 Concept 의례 종묘제례 종묘_제사상(宗廟_祭祀床) 종묘_제사상 宗廟_祭祀床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종묘_제사상 2022:박지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종묘제례 종묘_제사상 hasPart
종묘_제사상 변-籩 goesWith
종묘_제사상 두-豆 goesWith
종묘_제사상 보-簠 goesWith
종묘_제사상 궤-簋 goesWith
종묘_제사상 등-登 goesWith
종묘_제사상 형-鉶 goesWith
종묘_제사상 생갑 goesWith
종묘_제사상 모혈반 goesWith
종묘_제사상 간료등 goesWith
종묘_제사상 폐비 goesWith
종묘_제사상 향합 goesWith
종묘_제사상 향로 goesWith
종묘_제사상 작-爵 goesWith
종묘_제사상 축판 goesWith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제기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005
그림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종묘제례자료실 제기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1.jsp&pageNo=76040000&siteCd=JM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 899515201X 단행본 종묘제례보존회, 『종묘 종묘제례』, 서울: 종묘제례보존회, 2005 https://www.nl.go.kr/NL/search/printMarcPop.do?viewKey=45621879&viewType=AH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