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簠
Definition
보(簠)는 제사 때 도(稻)와 양(梁)을 담아 놓는 제기이다.[1]
『세종실록오례』 ◎ 보(簠) :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보(簠)는 구리를 사용하여 주조하였는데, 뚜껑까지 아울러 무게가 13근 2냥이요, 뚜껑까지 전체의 높이는 7촌, 깊이는 2촌, 속의 너비는 8촌 1푼이며, 중복(中腹)의 직경 길이는 1척 1푼이다."고 하였다. 【지금 상고하건대, 후면(後面)에서 무릇 무게를 말하는 것은 모두 구리를 사용한 것이다. 】 ◎ 簠 : 《釋奠儀》云: "簠用銅鑄造, 幷蓋重一十三斤二兩。 通蓋高七寸深二寸, 闊八寸一分, 腹徑長一尺一分。" 【今按, 後凡言重者, 皆用銅。】[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보-簠 | Object | 물품 | 제기 | 보(簠) | 보 | 簠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보-簠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보-簠 |
이칭/별칭 | 보개구(簠蓋具) |
재질 | 銅 |
색상 | |
사용처 | 국가제사, 왕실제사, 사직제, 길례, 흉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세종실록오례 | 보-簠 | documents | |
국조오례의 | 보-簠 | documents | |
국조상례보편 | 보-簠 | documents | |
춘관통고 | 보-簠 | documents | |
종묘의궤 | 보-簠 | documents | |
사직서의궤 | 보-簠 | documents | |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 보-簠 | documents | |
경모궁의궤 | 보-簠 | documents | |
궤-簋 | 보-簠 | isRelatedTo | |
보-簠 | 사직제 | isUsedIn | |
보-簠 | 길례 | isUsedIn | |
보-簠 | 흉례 | isUsedIn | |
보-簠 | 도-稻 | goesWith | |
보-簠 | 양-粱 | goesWith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도설 | 조선왕조실록 | 세종실록 오례:보 | http://sillok.history.go.kr/id/wda_20002008_003 | |
도설 | 국조오례의 | 보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참고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보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506&category=A&sWord=簠 | |
참고 | 한국전통지식포탈 | 보 | http://www.cbd-chm.go.kr/home/rsc/rsc01003p_6.do?dt_gbn=TC&data_gbn_cd=BIO&cls_no=120000023992&cls_id=13392&pageIndex=33 | |
참고 | 역주조선왕조실록 | 보(簠) |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13375 | |
참고 | 민족문화대백과 | 보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보&ridx=3&tot=3505 | |
참고 | 실록사전 | 보(簠)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보(簠) | |
참고 | Encyves | 보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보(그릇) | |
도해 | 조선왕조실록 | 세종실록 오례:보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6a03.jpg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박수정, |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최순권, |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김종일, |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김종임, |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손명희, |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이귀영, |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Notes
- ↑ 이문주, "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보,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