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2-R4-0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Story)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
 
#Links
 
#Links
S0-503 E0-503A hasContextualElement
+
S2022-R4-02 E2022-R4-02A hasPart
S0-503 E0-503B hasContextualElement
+
S2022-R4-02 E2022-R4-02B hasPart
S0-503 E0-503C hasContextualElement
+
S2022-R4-02 E2022-R4-02C hasPart
S0-503 E0-503D hasContextualElement
+
S2022-R4-02 E2022-R4-02D hasPart
S0-503 E0-503E hasContextualElement
+
#End
 
-->
 
-->
  
11번째 줄: 11번째 줄:
  
 
==Story==  
 
==Story==  
[[관왕묘]](關王廟)는 중국 촉한의 장수 [[관우]]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중국은 명나라 초기부터 관왕묘를 건립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서울에는 남·동관왕묘가 남아 있으며 그중 동관왕묘(東關王廟)는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된 바 있다.
+
[[관왕묘]](關王廟)는 중국 촉한의 장수 [[관우]]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중국은 명나라 초기부터 관왕묘를 건립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임진왜란·정유재란을 기점으로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서울에는 남·동관왕묘가, 지방에는 강진·안동·성주·남원 등 네 곳에 관왕묘가 남아 있는데, 그중 동관왕묘(東關王廟)는 종로구 동묘앞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된 바 있다.
  
그런데 관왕묘가 조선에 유입된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국가적 차원에서 중국 무장(武將) 출신의 신(神)을 모시는 사당을 건축한 것은 무척 독특한 일이다. 이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선조실록』을 비롯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남아 있다. 1598년(선조 31) 서울 숭례문 밖에 남관왕묘(南關王廟)가 먼저 세워졌고, 바로 다음 해인 1599년, 또 하나의 관왕묘인 동관왕묘를 세울 계획이 수립되었다. 사헌부의 장계에 의하면 이는 명(明)의 종용에 의한 것이었다.
+
그런데 관왕묘가 조선에 유입된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국가적 차원에서 중국 무장(武將) 출신의 신(神)을 모시는 사당을 건축한 것은 무척 독특한 일이다.
  
조선인들의 반응은 대체로 어색했다. 명(明)의 장수 진유격(陳遊擊)의 '이 일은 우리를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귀국의 대사(大事)를 위하여 한 것이므로 그 뜻을 국왕께서도 꼭 아셔야 할 것이다.'(此事非爲我也, 正爲貴國大事。 此意國王不可不知。)<ref>조선왕조실록 중 "선조실록" 99권,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선조 31년 4월 25일 기묘 4번째, https://sillok.history.go.kr/id/kna_13104025_004.</ref>라는 말에 대한 접반관(接伴官) 이흘(李忔)의 반응은  '대체로 유격이 사당을 건립하는 일에 매우 열성이고 감독도 친히 하면서 관왕(關王)의 영험에 대한 말을 많이 하였는데, 말이 너무 허황되어 낱낱이 아뢸 수는 없으나'(大槪遊擊於立廟一事, 極其誠悃, 親自監董, 多言關王靈驗之事, 而涉於虛誕, 不敢一一陳達矣,)<ref>Ibid.</ref>였다.
+
실제로 관왕묘는 명(明)에 재조지은(再造之恩)을 입은 조선이 부득이 명의 요구를 받아들임으로써 처음 조선에 세워지게 되었다. 촉한을 지키지도 못하고 목숨을 다한 망국의 무장에 일국의 군주로서 어떻게 적절한 예를 표해야 하는지부터, 관왕묘와 신으로서 관우의 지위는 조선의 입장에서 대단히 까다로운 것이었다. 이러한 수동적 수용으로 인해 동관왕묘를 비롯한 관왕묘는 방치되기도 하나, 이후 몇몇 군주에 의해 각별히 여겨지기도 하며 한양 경계의 표징으로서 백성들에게 의미를 갖게 되기도 하였다. 이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선조실록』을 비롯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각종 문헌에 남아 있다.
 
 
동관왕묘의 공간적 의미
 
 
 
동묘공원 조성 그리고 되찾은 동관왕묘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8번째 줄: 24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S2022-R4-02]] || Story || Storyline ||  ||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  || What is Dongguan Wangmyo?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4-02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toryline.png"/></html>  
+
| [[S2022-R4-02]] || Story || Storyline ||  ||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 동관왕묘는 무엇일까?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4-02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storyline.png"/></html>  
 
|-
 
|-
 
|}
 
|}

2023년 5월 11일 (목) 00:47 기준 최신판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Story

관왕묘(關王廟)는 중국 촉한의 장수 관우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중국은 명나라 초기부터 관왕묘를 건립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임진왜란·정유재란을 기점으로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서울에는 남·동관왕묘가, 지방에는 강진·안동·성주·남원 등 네 곳에 관왕묘가 남아 있는데, 그중 동관왕묘(東關王廟)는 종로구 동묘앞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된 바 있다.

그런데 관왕묘가 조선에 유입된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국가적 차원에서 중국 무장(武將) 출신의 신(神)을 모시는 사당을 건축한 것은 무척 독특한 일이다.

실제로 관왕묘는 명(明)에 재조지은(再造之恩)을 입은 조선이 부득이 명의 요구를 받아들임으로써 처음 조선에 세워지게 되었다. 촉한을 지키지도 못하고 목숨을 다한 망국의 무장에 일국의 군주로서 어떻게 적절한 예를 표해야 하는지부터, 관왕묘와 신으로서 관우의 지위는 조선의 입장에서 대단히 까다로운 것이었다. 이러한 수동적 수용으로 인해 동관왕묘를 비롯한 관왕묘는 방치되기도 하나, 이후 몇몇 군주에 의해 각별히 여겨지기도 하며 한양 경계의 표징으로서 백성들에게 의미를 갖게 되기도 하였다. 이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선조실록』을 비롯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각종 문헌에 남아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S2022-R4-02 Story Storyline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동관왕묘는 무엇일까?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4-02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S2022-R4-02 E2022-R4-02A hasPart
S2022-R4-02 E2022-R4-02B hasPart
S2022-R4-02 E2022-R4-02C hasPart
S2022-R4-02 E2022-R4-02D hasPart
E2022-R4-02A E2022-R4-02B isPreviousInSequenceTo
E2022-R4-02B E2022-R4-02C isPreviousInSequenceTo
E2022-R4-02C E2022-R4-02D isPreviousInSequence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왕묘(關王廟)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948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



Digital Storytelling Asset

S2022-R4-02-As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