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3-05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Links | #Links | ||
− | E2022- | + | E2022-R3-05B 조선_세종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05B 조선_세조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05B 종묘제례악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05B 보태평지악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05B 보태평지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05B 세종실록악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05B 세조실록악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3-05B 악학궤범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3-05B 초헌례-종묘제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3-05B 보태평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3-05B 보태평_세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3-05B 보태평_세조 hasContextualElement | ||
+ | |||
+ | |||
#End | #End | ||
--> | --> | ||
− | ='''[[S2022-R3-05| S2022-R3-05: 세종 - 종묘제례악의 작곡자]] 》 | + | ='''[[S2022-R3-05| S2022-R3-05: 세종 - 종묘제례악의 작곡자]] 》 세종실록악보와 세조실록악보의 보태평'''= |
==Story== | ==Story== | ||
+ | |||
+ | 初, 上以《龍飛御天歌》被管絃, 調其縵急。 作《致和平》、《醉豐亨》、《與民樂》等樂, 皆有譜, 《致和平譜》五卷, 《醉豊亨》、《興民樂譜〔與民樂譜〕 》各二卷。 '''後又作文武二舞, 文曰《保太平》, 武曰《定大業》, 譜各一卷。''' 又取瑞應, 別作一舞, 號《發祥》, 有譜一卷。 又定俗樂, 以《桓桓曲》、《亹亹曲》、《維皇曲》、《維天曲》、《靖東方曲》、《獻天壽》、《折花》、《萬葉熾瑤圖》, 《唯子〔嗺子〕 》、《小抛毬樂》、《步虛子》 《破子》、《淸平樂》、《五雲開瑞朝》、《衆仙會》、《白鶴子》、《班賀舞》、《水龍吟》、《無㝵》、《動動》、《井邑》、《眞勺》、《履霜曲》、《鳳凰吟》、《滿殿春》等曲, 爲時用俗樂, 有譜一卷。 | ||
+ | |||
+ |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관현(管絃)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調節)하여 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豐亨)·여민락(與民樂) 등 음악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樂譜)가 있으니, 치화평(致和平)의 악보는 5권이고, 취풍형(醉豐亨)과 여민락(與民樂)의 악보는 각각 2권씩이었다. '''뒤에 또 문·무(文武) 두 가지 춤곡조를 제작하였는데, 문(文)은 ‘보태평(保太平)’ 이라 하고 무(武)는 ‘정대업(定大業)’ 이라 하여 악보가 각각 1권씩이고,''' 또 상서(祥瑞)의 감응된 바를 취재(取才)하여 따로 한 가지 곡조를 지었는데, 이름을 ‘발상(發祥)’ 이라 하여, 악보 1권이 있었다. 또 속악(俗樂)을 정하여 환환곡(桓桓曲)·미미곡(亹亹曲)·유황곡(維皇曲)·유천곡(維天曲)·정동방곡(靖東方曲)·헌천수(獻天壽)·절화(折花)·만엽치요도(萬葉熾瑤圖)·최자(嗺子)·소포구락(小抛毬樂)·보허자(步虛子)·파자(破子)·청평락(淸平樂)·오운개서조(五雲開瑞朝)·중선회(衆仙會)·백학자(白鶴子)·반하무(班賀舞)·수룡음(水龍吟)·무애(無㝵)·동동(動動)·정읍(井邑)·진작(眞勺)·이상곡(履霜曲)·봉황음(鳳凰吟)·만전춘(滿殿春) 등 곡조로써 평시에 쓰는 속악(俗樂)을 삼았는데, 악보 1권이 있다. <ref>[세종실록 116권, 세종 29년(1447) 6월 5일 (을축): 용비어천가,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 등을 공사간 연향에 모두 통용케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906005_001]</ref> | ||
+ | |||
+ | |||
+ | 세종 당시에 보태평 정대업은 연향음악으로 지어졌다. 세조때에 세종때에 지어진 신악(新樂)을 다듬어서 제례악을 삼게 되었다. 그 과정은 다음의 실록 내용에서 보여진다. | ||
+ | |||
+ | |||
+ | 上以'''世宗所制定大業、保太平樂舞、歌詞句數多。 凡祭數刻之間, 難以盡奏, 故師其意而略制之, 幷定郊天樂舞'''。 旣隷舞樂而無進饌、徹邊豆、送神之樂, 崔恒等請之, 上又制之, 命恒制其詞。 宗廟迎神, 熙文之曲: ~~ | ||
+ | |||
+ | 임금이 '''세종(世宗)이 지은 정대업(定大業) ·보태평(保太平) 의 악무(樂舞) 의 가사(歌詞) 자귀(字句) 숫자가 많아서 모든 제사를 지내는 몇 사람 사이에 다 연주(演奏)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그 뜻만 따라서 간략하게 짓고, 교천(郊天) 의 악무(樂舞)도 아울러 정(定)하였다.''' 이미 악무(樂舞)가 있었으나, 진찬(進饌)하거나 변(邊)·두(豆)를 거두거나 송신(送神)하는 악(樂)이 없었으므로, 최항(崔恒) 등이 청하니, 임금이 또 이를 지어서 최항에게 명하여 그 가사를 짓게 하였다. 종묘(宗廟)에 영신(迎神)하는 ‘희문(熙文)의 곡(曲)’은 이러하였다.~~<ref>[세조실록 31권, 세조 9년(1463) 12월 11일(을미) 최항에게 진찬하거나 변·두를 거두거나 송신하는 악의 가사를 짓게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ga_10912011_002]</ref> | ||
+ | |||
+ | 그런데 조선 성종에서 중종년간 사이에 편찬되었다고 추정되는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수록된 고려가요 몇몇의 곡들이 보태평 정대업의 선율과 유사한점이 발견되어 세종때에 신악이 지어질때에 향악과 고취악이 수용되었다는 실록의 기사<ref>[[S2022-R3-05| S2022-R3-05: 세종 - 종묘제례악의 작곡자]] [http://sillok.history.go.kr/id/wda_300080 세종실록_138권_樂譜_序文]참조.</ref>가 다시 재조명되었다. | ||
+ | 물론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고려가요가 고려시대나 조선 초와 동일한 곡이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나 이들 곡들의 선율과 장단 등의 비교로 그 DNA를 찾아보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가 되었다.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귀호곡.png| 490px|left |시용향악보의 귀호곡(가시리)]]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형광.png| 430px|right |세종실록악보의 형광(亨光)]]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파일:스크린샷(26906).png| 530px |형광과 귀호곡 비교역보]]<ref>이다원, 2022-2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악학과 <한국음악분석>수업 발표물, 고려가요와 보태평 비교(제출일: 2022. 10.27.)</ref>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시용향악보 !! 보태평_세종 !! 보태평_세조 !! | ||
+ | |- | ||
+ | | || 희문 || 희문_세조 || | ||
+ | |- | ||
+ | | || 계우 || 기명 || | ||
+ | |- | ||
+ | | || 의인 || 귀인 || | ||
+ | |- | ||
+ | | 귀호곡 || 형광 || 형가 || | ||
+ | |- | ||
+ | | 야심사 || 보예 || 집녕 || | ||
+ | |- | ||
+ | | 풍입송 || 융화 || 융화_세조 || | ||
+ | |- | ||
+ | | || 승강 || 현미 || | ||
+ | |- | ||
+ | | 사모곡 || 창휘 || 용광 || | ||
+ | |- | ||
+ | | 쌍화곡 || 정명 || 정명_세조 || | ||
+ | |- | ||
+ | | || 대동 || 대유 || | ||
+ | |- | ||
+ | | || [[역성]] || 역성_세조 || | ||
+ | |} | ||
+ | <시용향악보 => 보태평_세종=> 보태평_세조의 영향 관계>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24번째 줄: | 86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E2022-R3- | + | | [[E2022-R3-05B]] || Story || Episode || ||세종실록악보와 세조실록악보의 보태평 || ||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05B||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episode.png"/></html> |
|- | |- | ||
|} | |} | ||
50번째 줄: | 112번째 줄: | ||
| [[E2022-R3-05B]] || [[조선_세조]] || [[isRelatedTo]] || || | | [[E2022-R3-05B]] || [[조선_세조]]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 [[보태평]] || [[보태평_세종]] || [[hasVersion]] || || |
|- | |- | ||
− | | [[ | + | | [[보태평]] || [[보태평_세조]] || [[hasVersion]] || || |
|- | |- | ||
| [[보태평_세종]] || [[세종실록악보]] || [[isReferencedFrom]] || || | | [[보태평_세종]] || [[세종실록악보]] || [[isReferencedFrom]] || || | ||
108번째 줄: | 170번째 줄: | ||
| [[보태평_세조]] || [[형가]] || [[hasPart]] || || | | [[보태평_세조]] || [[형가]] || [[hasPart]] || || | ||
|- | |- | ||
− | | [[보태평_세조]] || [[ | + | | [[보태평_세조]] || [[집녕]] || [[hasPart]] || || |
|- | |- | ||
| [[보태평_세조]] || [[융화_세조]] || [[hasPart]] || || | | [[보태평_세조]] || [[융화_세조]] || [[hasPart]] || || | ||
201번째 줄: | 263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RISS:M3621523]]||단행본 ||(原本)樂章歌詞,大提閣, 1988 ||RISS || http://www.riss.kr/link?id=M3621523 | ||
+ | |- | ||
+ | | [[RISS:T15937215]]||논문 ||강혜진, 『시용향악보』 소재 향악곡의 선율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박사논문 ||RISS || http://www.riss.kr/link?id=T15937215 | ||
+ | |- | ||
+ | | [[RISS:T7875177]]||논문 ||조태원, 「時用鄕樂譜」所載 樂曲의 旋律構造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석사논문 ||RISS || http://www.riss.kr/link?id=T7875177 | ||
+ | |- | ||
+ | | [[RISS:T153413]]||논문 ||이소라, 「亨嘉·輯寧·龍光과 그 關聯曲 : 世祖實錄樂譜 및 時用鄕樂譜·琴合字譜·大樂後譜를 中心으로, 서울대대학교 대학원, 1983, 석사논문 ||RISS || http://www.riss.kr/link?id=T153413 | ||
+ | |- | ||
+ | | [[RISS:T15644466]]||논문 ||신별, 고려가요와 조선 전기 악장의 악곡적 수수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석사논문 ||RISS || http://www.riss.kr/link?id=T15644466 | ||
+ | |- | ||
+ | | [[RISS:A105441448]]||논문 ||윤아영, 『시용향악보』간행 배경 재고(再考), 동양음악 43권,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18 ||RISS || http://www.riss.kr/link?id=A105441448 | ||
+ | |- | ||
+ | | [[RISS:A104151504]]||논문 ||문숙희, 『시용향악보』 수록악곡의 음악양식 - 가사 및 장단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韓國音樂史學報 48권, 한국음악사학회, 2012, ||RISS || http://www.riss.kr/link?id=A104151504 | ||
+ | |- | ||
+ | | [[RISS:A30008536]]||논문 ||황준연, 『時用鄕樂譜』鄕樂曲의 年代,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4권,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RISS || http://www.riss.kr/link?id=A30008536 | ||
+ | |- | ||
+ | | [[RISS:A100476361]]||논문 ||김명준, 고려속요 작품군의 정리와 활용 방안, 우리文學硏究 37권, 우리문학회, 2012. ||RISS || http://www.riss.kr/link?id=A100476361 | ||
|- | |- | ||
|} | |} | ||
214번째 줄: | 294번째 줄: | ||
==Story Network Graph== | ==Story Network Graph== | ||
− | {{StoryGraph | key=E2022- | + | {{StoryGraph | key=E2022-R3-05B}}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2022:김은숙]]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Story]] [[분류:2022:김은숙]] |
2022년 12월 3일 (토) 17:10 기준 최신판
목차
S2022-R3-05: 세종 - 종묘제례악의 작곡자 》 세종실록악보와 세조실록악보의 보태평
Story
初, 上以《龍飛御天歌》被管絃, 調其縵急。 作《致和平》、《醉豐亨》、《與民樂》等樂, 皆有譜, 《致和平譜》五卷, 《醉豊亨》、《興民樂譜〔與民樂譜〕 》各二卷。 後又作文武二舞, 文曰《保太平》, 武曰《定大業》, 譜各一卷。 又取瑞應, 別作一舞, 號《發祥》, 有譜一卷。 又定俗樂, 以《桓桓曲》、《亹亹曲》、《維皇曲》、《維天曲》、《靖東方曲》、《獻天壽》、《折花》、《萬葉熾瑤圖》, 《唯子〔嗺子〕 》、《小抛毬樂》、《步虛子》 《破子》、《淸平樂》、《五雲開瑞朝》、《衆仙會》、《白鶴子》、《班賀舞》、《水龍吟》、《無㝵》、《動動》、《井邑》、《眞勺》、《履霜曲》、《鳳凰吟》、《滿殿春》等曲, 爲時用俗樂, 有譜一卷。
처음에 임금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관현(管絃)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調節)하여 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豐亨)·여민락(與民樂) 등 음악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樂譜)가 있으니, 치화평(致和平)의 악보는 5권이고, 취풍형(醉豐亨)과 여민락(與民樂)의 악보는 각각 2권씩이었다. 뒤에 또 문·무(文武) 두 가지 춤곡조를 제작하였는데, 문(文)은 ‘보태평(保太平)’ 이라 하고 무(武)는 ‘정대업(定大業)’ 이라 하여 악보가 각각 1권씩이고, 또 상서(祥瑞)의 감응된 바를 취재(取才)하여 따로 한 가지 곡조를 지었는데, 이름을 ‘발상(發祥)’ 이라 하여, 악보 1권이 있었다. 또 속악(俗樂)을 정하여 환환곡(桓桓曲)·미미곡(亹亹曲)·유황곡(維皇曲)·유천곡(維天曲)·정동방곡(靖東方曲)·헌천수(獻天壽)·절화(折花)·만엽치요도(萬葉熾瑤圖)·최자(嗺子)·소포구락(小抛毬樂)·보허자(步虛子)·파자(破子)·청평락(淸平樂)·오운개서조(五雲開瑞朝)·중선회(衆仙會)·백학자(白鶴子)·반하무(班賀舞)·수룡음(水龍吟)·무애(無㝵)·동동(動動)·정읍(井邑)·진작(眞勺)·이상곡(履霜曲)·봉황음(鳳凰吟)·만전춘(滿殿春) 등 곡조로써 평시에 쓰는 속악(俗樂)을 삼았는데, 악보 1권이 있다. [1]
세종 당시에 보태평 정대업은 연향음악으로 지어졌다. 세조때에 세종때에 지어진 신악(新樂)을 다듬어서 제례악을 삼게 되었다. 그 과정은 다음의 실록 내용에서 보여진다.
上以世宗所制定大業、保太平樂舞、歌詞句數多。 凡祭數刻之間, 難以盡奏, 故師其意而略制之, 幷定郊天樂舞。 旣隷舞樂而無進饌、徹邊豆、送神之樂, 崔恒等請之, 上又制之, 命恒制其詞。 宗廟迎神, 熙文之曲: ~~
임금이 세종(世宗)이 지은 정대업(定大業) ·보태평(保太平) 의 악무(樂舞) 의 가사(歌詞) 자귀(字句) 숫자가 많아서 모든 제사를 지내는 몇 사람 사이에 다 연주(演奏)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그 뜻만 따라서 간략하게 짓고, 교천(郊天) 의 악무(樂舞)도 아울러 정(定)하였다. 이미 악무(樂舞)가 있었으나, 진찬(進饌)하거나 변(邊)·두(豆)를 거두거나 송신(送神)하는 악(樂)이 없었으므로, 최항(崔恒) 등이 청하니, 임금이 또 이를 지어서 최항에게 명하여 그 가사를 짓게 하였다. 종묘(宗廟)에 영신(迎神)하는 ‘희문(熙文)의 곡(曲)’은 이러하였다.~~[2]
그런데 조선 성종에서 중종년간 사이에 편찬되었다고 추정되는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수록된 고려가요 몇몇의 곡들이 보태평 정대업의 선율과 유사한점이 발견되어 세종때에 신악이 지어질때에 향악과 고취악이 수용되었다는 실록의 기사[3]가 다시 재조명되었다. 물론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고려가요가 고려시대나 조선 초와 동일한 곡이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나 이들 곡들의 선율과 장단 등의 비교로 그 DNA를 찾아보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가 되었다.
시용향악보 | 보태평_세종 | 보태평_세조 | |
---|---|---|---|
희문 | 희문_세조 | ||
계우 | 기명 | ||
의인 | 귀인 | ||
귀호곡 | 형광 | 형가 | |
야심사 | 보예 | 집녕 | |
풍입송 | 융화 | 융화_세조 | |
승강 | 현미 | ||
사모곡 | 창휘 | 용광 | |
쌍화곡 | 정명 | 정명_세조 | |
대동 | 대유 | ||
역성 | 역성_세조 |
<시용향악보 => 보태평_세종=> 보태평_세조의 영향 관계>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E2022-R3-05B | Story | Episode | 세종실록악보와 세조실록악보의 보태평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05B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RISS:M3621523 | 단행본 | (原本)樂章歌詞,大提閣, 1988 | RISS | http://www.riss.kr/link?id=M3621523 |
RISS:T15937215 | 논문 | 강혜진, 『시용향악보』 소재 향악곡의 선율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박사논문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937215 |
RISS:T7875177 | 논문 | 조태원, 「時用鄕樂譜」所載 樂曲의 旋律構造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석사논문 | RISS | http://www.riss.kr/link?id=T7875177 |
RISS:T153413 | 논문 | 이소라, 「亨嘉·輯寧·龍光과 그 關聯曲 : 世祖實錄樂譜 및 時用鄕樂譜·琴合字譜·大樂後譜를 中心으로, 서울대대학교 대학원, 1983, 석사논문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3413 |
RISS:T15644466 | 논문 | 신별, 고려가요와 조선 전기 악장의 악곡적 수수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석사논문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644466 |
RISS:A105441448 | 논문 | 윤아영, 『시용향악보』간행 배경 재고(再考), 동양음악 43권,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18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5441448 |
RISS:A104151504 | 논문 | 문숙희, 『시용향악보』 수록악곡의 음악양식 - 가사 및 장단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韓國音樂史學報 48권, 한국음악사학회,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4151504 |
RISS:A30008536 | 논문 | 황준연, 『時用鄕樂譜』鄕樂曲의 年代,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4권,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 RISS | http://www.riss.kr/link?id=A30008536 |
RISS:A100476361 | 논문 | 김명준, 고려속요 작품군의 정리와 활용 방안, 우리文學硏究 37권, 우리문학회,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0476361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 [세종실록 116권, 세종 29년(1447) 6월 5일 (을축): 용비어천가,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 등을 공사간 연향에 모두 통용케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906005_001]
- ↑ [세조실록 31권, 세조 9년(1463) 12월 11일(을미) 최항에게 진찬하거나 변·두를 거두거나 송신하는 악의 가사를 짓게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ga_10912011_002]
- ↑ S2022-R3-05: 세종 - 종묘제례악의 작곡자 세종실록_138권_樂譜_序文참조.
- ↑ 이다원, 2022-2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악학과 <한국음악분석>수업 발표물, 고려가요와 보태평 비교(제출일: 2022. 10.27.)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