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3-20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Links | #Links | ||
− | E2022- | + | E2022-R3-20B 우주의_재질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우주의_글자들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종묘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우주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봉상시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제주의-題主儀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길유궁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신주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 | + | E2022-R3-20B 시호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3-20B 묘호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3-20B 존호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3-20B 제주-題主 hasContextualElement | ||
#End | #End | ||
--> | --> | ||
− | ='''[[S2022- | + | ='''[[S2022-R3-20 | 종묘의 주인 신주]] 》 우주(虞主)의 제작과 제주(題主)'''= |
==Story== | ==Story== | ||
22번째 줄: | 25번째 줄: | ||
제주가 끝나자마자, 전제(奠祭)를 올렸다. 혼령이 깃든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최초의 전제이다. 우주에는 백저건(白紵巾) 혹은 청저건을 덮고 그 뒤에 궤(几)를 놓았다. 이리하여 이때부터 영좌의 주인은 우주가 되며, 모든 전제는 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 제주가 끝나자마자, 전제(奠祭)를 올렸다. 혼령이 깃든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최초의 전제이다. 우주에는 백저건(白紵巾) 혹은 청저건을 덮고 그 뒤에 궤(几)를 놓았다. 이리하여 이때부터 영좌의 주인은 우주가 되며, 모든 전제는 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 ||
신주는 조상의 혼령이 깃든 나무패이다. 『오경이의(五經異義)』를 보면, “신주는 신상(神像)이다.” 하였다. 또 이 신주를 목주(木主)라 하고, 죽은 사람의 이름을 쓴 것을 사판(祠版)이라 한다고 했다. 신주는 신령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보통 위패, 위판, 사판, 신위판 등으로도 불린다. 『국조오례의』에서는 우주를 연제 뒤에는 신주라 한다고 하였다. 국왕의 경우에는 연주를 종묘에 모시고 동시에 궁궐 내에 설치된 사당에 별도로 신주를 모시니, 이것이 위판이다. 따라서 사서인은 위판이 따로 없다. 위판은 문소전과 같이, 원묘에 모시는 신주이다. 원묘는 왕의 사대조상을 모신 사당으로서, 종묘와는 별도로 궁궐 내에 설치하였다. 담제가 끝나고 나서 길일에 혼전 앞의 서계 위에 설치된 장막 안에서 제주하는데, 그 의절은 우주를 쓸 때와 같다. | 신주는 조상의 혼령이 깃든 나무패이다. 『오경이의(五經異義)』를 보면, “신주는 신상(神像)이다.” 하였다. 또 이 신주를 목주(木主)라 하고, 죽은 사람의 이름을 쓴 것을 사판(祠版)이라 한다고 했다. 신주는 신령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보통 위패, 위판, 사판, 신위판 등으로도 불린다. 『국조오례의』에서는 우주를 연제 뒤에는 신주라 한다고 하였다. 국왕의 경우에는 연주를 종묘에 모시고 동시에 궁궐 내에 설치된 사당에 별도로 신주를 모시니, 이것이 위판이다. 따라서 사서인은 위판이 따로 없다. 위판은 문소전과 같이, 원묘에 모시는 신주이다. 원묘는 왕의 사대조상을 모신 사당으로서, 종묘와는 별도로 궁궐 내에 설치하였다. 담제가 끝나고 나서 길일에 혼전 앞의 서계 위에 설치된 장막 안에서 제주하는데, 그 의절은 우주를 쓸 때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53번째 줄: | 44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E2022-R3-20B]] || [[ | + | | [[E2022-R3-20B]] || [[우주의_재질]] || [[isRelatedTo]] || || |
+ | |- | ||
+ | | [[E2022-R3-20B]] || [[우주의_글자들]] || [[isRelatedTo]] || || | ||
+ | |- | ||
+ | | [[E2022-R3-20B]] || [[제주의-題主儀]] || [[isRelatedTo]] || || | ||
+ | |- | ||
+ | | [[E2022-R3-20B]] || [[길유궁]] || [[isRelatedTo]] || || | ||
+ | |- | ||
+ | | [[우주의_글자들]] || [[시호]] || [[includes]] || || | ||
|- | |- | ||
− | | [[ | + | | [[우주의_글자들]] || [[묘호]] || [[includes]] || || |
|- | |- | ||
− | | [[ | + | | [[우주의_글자들]] || [[존호]] || [[includes]] || || |
|- | |- | ||
− | | [[ | + | | [[봉상시]] || [[제주의-題主儀]] || [[administrates]] || || |
|- | |- | ||
− | | [[ | + | | [[제주-題主]] || [[길유궁]] || [[isPerformedAt]] || || |
+ | |- | ||
+ | | [[우주]] || [[신주]] || [[type]] || || | ||
+ | |- | ||
+ | | [[종묘]] || [[신주]] || [[isStoredIn]] || || | ||
|- | |- | ||
− | | [[ | + | | [[제주-題主]] || [[우주]] || [[isDerivativeOf]] || || |
|- | |- | ||
− | | [[ | + | | [[우주의_재질]] || [[우주]] || [[isRelatedTo]] || || |
|- | |- | ||
|} | |} |
2022년 12월 21일 (수) 06:02 기준 최신판
목차
종묘의 주인 신주 》 우주(虞主)의 제작과 제주(題主)
Story
육신은 이제 땅으로 돌아갔으나, 혼령은 여전히 정처 없이 허공에서 떠돌고 있다. 효자는 안타까운 심정을 주체할 수 없어 혼령을 안돈시키고 마음을 의지할 방법을 찾아내야 했다. 그렇게 고안해낸 것이 우주(虞主)에 글씨를 쓰는 것이다. 신주에 글씨를 쓰는 것을 제주(題主)라 하는데, 제주는 국왕의 육신을 매장하고 난 직후에 길유궁 안에서 행하였다. 정처 없이 떠도는 혼령이 제주함으로써, 이 신주에 깃들게 된다는 기묘한 착상이다. 도교에서는 혼령이 떠돌다가 도착하는 목적지가 신선의 세계라고 하였다. 그들은 이곳에서 초연하게 불노장생의 삶을 산다. 옥같이 맑은 샘에서 갈증을 풀고 대추열매로 허기를 채운다. 천상 아래에서 높이 떠다니며 세상의 구석구석을 배회하고 명산 위를 다니면서 신령스런 풀을 캔다. 이와는 달리, 유교식에서는 허공을 방황하는 영혼을 작은 나무판에 깃들게 하여 한 공간에서 영생을 누리도록 하는 제도를 고안해냈다. 이 제도가 신주이며, 이 신주를 모신 곳이 사당이다. 제주가 끝나자마자, 전제(奠祭)를 올렸다. 혼령이 깃든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최초의 전제이다. 우주에는 백저건(白紵巾) 혹은 청저건을 덮고 그 뒤에 궤(几)를 놓았다. 이리하여 이때부터 영좌의 주인은 우주가 되며, 모든 전제는 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주는 조상의 혼령이 깃든 나무패이다. 『오경이의(五經異義)』를 보면, “신주는 신상(神像)이다.” 하였다. 또 이 신주를 목주(木主)라 하고, 죽은 사람의 이름을 쓴 것을 사판(祠版)이라 한다고 했다. 신주는 신령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보통 위패, 위판, 사판, 신위판 등으로도 불린다. 『국조오례의』에서는 우주를 연제 뒤에는 신주라 한다고 하였다. 국왕의 경우에는 연주를 종묘에 모시고 동시에 궁궐 내에 설치된 사당에 별도로 신주를 모시니, 이것이 위판이다. 따라서 사서인은 위판이 따로 없다. 위판은 문소전과 같이, 원묘에 모시는 신주이다. 원묘는 왕의 사대조상을 모신 사당으로서, 종묘와는 별도로 궁궐 내에 설치하였다. 담제가 끝나고 나서 길일에 혼전 앞의 서계 위에 설치된 장막 안에서 제주하는데, 그 의절은 우주를 쓸 때와 같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E2022-R3-20B | Story | Episode | 우주(虞主)의 제작과 제주(題主) | 우주(虞主)의 제작과 제주(題主)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20B | 2022:임민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E2022-R3-20B | 우주의_재질 | isRelatedTo | ||
E2022-R3-20B | 우주의_글자들 | isRelatedTo | ||
E2022-R3-20B | 제주의-題主儀 | isRelatedTo | ||
E2022-R3-20B | 길유궁 | isRelatedTo | ||
우주의_글자들 | 시호 | includes | ||
우주의_글자들 | 묘호 | includes | ||
우주의_글자들 | 존호 | includes | ||
봉상시 | 제주의-題主儀 | administrates | ||
제주-題主 | 길유궁 | isPerformedAt | ||
우주 | 신주 | type | ||
종묘 | 신주 | isStoredIn | ||
제주-題主 | 우주 | isDerivativeOf | ||
우주의_재질 | 우주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 서울지명사전 | 거둥고개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06348&cid=43722&categoryId=43722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