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1-50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Links E2022-R1-50A 조선_장종 hasContextualElement E2022-R1-50A 조선_정종 hasContextualElement E2022-R1-50A 조선_태조 hasContextualElement E2022-R1-50A 조선_순조...)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Links | #Links | ||
− | E2022-R1- | + | E2022-R1-50B 고종가상존호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금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금책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매안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명성황후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명성황후_금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명성황후_금책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문조추상존호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부묘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순조_추상존호_옥책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순조추상존호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신주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연제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연주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옥책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 | + | E2022-R1-50B 장조추상존호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E2022-R1-50B 정조추상존호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고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순조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순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익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장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정조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진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철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태조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_헌종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조선왕실_어보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종묘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진종추상존호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철종추상존호옥보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황제추봉 hasContextualElement | ||
+ | E2022-R1-50B 황후추봉 hasContextualElement | ||
+ | |||
#End | #End | ||
--> | --> | ||
− | ='''[[S2022-R1-50 | 고종 7대조의 | + | ='''[[S2022-R1-50 | 고종 7대조의 황제 추봉과 어진 모사]] 》 대한제국 성립 이후의 추숭의례와 황권'''= |
==Story== | ==Story== | ||
− | 고종은 황제로 즉위한 후, 군주권의 정통성을 체계화하기 위한 시도를 행하였다. 특진관 서상조가 장헌세자와 | + | 고종은 황제로 즉위한 후, 군주권의 정통성을 체계화하기 위한 시도를 행하였다. 특진관 서상조가 장헌세자와 정종(正宗, 훗날의 정조)의 추숭을 청하자, 해당 절차를 거쳐 장헌세자의 묘호를 장종(莊宗)이라 고치고 정종에게 존호를 추상하였다. 혈통상 고조인 장헌세자를 왕으로 추존하는 것은 왕통을 확립하려는 조치였다. 이 추존 뒤에 바로 4대조의 황제로서의 묘호와 칭호를 새로 정해 올릴 것을 지시했다. 그리하여 고종 36년(1899) 12월에 태조는 태조 고황제(高皇帝), 장종은 장조(莊祖) 의(懿)황제, 정종(正宗)은 정조(正祖) 선(宣)황제, 순조는 순조 숙(肅)황제, 익종은 문조 익(翼)황제로 추봉되었다. 태조는 원구단에 배천(配天)되었다. 1907년에 고종이 강제 퇴위를 당하고, 순종이 즉위하였다. 순종은 고종에게 태황제라는 칭호를 올리는 조칙을 발표하고, 또 수강(壽康)이라는 존호를 올렸다. 이듬해에는 진종과 헌종, 철종의 추봉을 단행하여 진종을 소(昭)황제, 헌종을 성(成)황제, 철종을 장(章)황제로 정하였다. 이로써 순종 원년에 이르러 황제국의 7묘제(廟制)에 따른 황제로서의 묘호추봉이 완성되어 황권의 정통성은 확립되었다.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44번째 줄: | 62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E2022-R1- | + | | [[E2022-R1-50B]] || [[묘호]] || [[isRelatedTo]] || || |
+ | |- | ||
+ | | [[E2022-R1-50B]] || [[조선_정조]] || [[isRelatedTo]] || || | ||
+ | |- | ||
+ | | [[E2022-R1-50B]] || [[조선_진종]] || [[isRelatedTo]] || || | ||
+ | |- | ||
+ | | [[E2022-R1-50B]] || [[조선_익종]] || [[isRelatedTo]] || || | ||
+ | |- | ||
+ | | [[E2022-R1-50B]] || [[대한제국]] || [[isRelatedTo]] || ||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태조]] || [[isRelatedTo]] || 태조→태조 고황제||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장종]] || [[isRelatedTo]] || 장헌세자→장종→장조 의황제||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정조]] || [[isRelatedTo]] || 정종→정조 선황제||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순조]] || [[isRelatedTo]] || 순조→순조 숙황제||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익종]] || [[isRelatedTo]] || 익종→문조 익황제||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진종]] || [[isRelatedTo]] || 진종→진종 소황제||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헌종]] || [[isRelatedTo]] || 헌종→헌종 성황제|| | ||
+ | |- | ||
+ | | [[황제추봉]] || [[조선_철종]] || [[isRelatedTo]] || 철종→철종 장황제|| | ||
+ | |- | ||
+ | | [[황후추봉]] || [[명성황후]] || [[isRelatedTo]] || || | ||
+ | |- | ||
+ | | [[조선_고종]] || [[황제추봉]] || [[leads]] || || | ||
|- | |- | ||
− | | [[ | + | | [[조선_순종]] || [[황제추봉]] || [[leads]] || || |
|- | |- | ||
− | | [[ | + | | [[조선_고종]] || [[황후추봉]] || [[leads]] || || |
+ | |- | ||
+ | | [[옥보]] || [[조선왕실_어보]] || [[type]] || || | ||
+ | |- | ||
+ | | [[금보]] || [[조선왕실_어보]] || [[type]] || || | ||
+ | |- | ||
+ | | [[옥보]] || [[옥책]] || [[goesWith]] || || | ||
+ | |- | ||
+ | | [[금보]] || [[금책]] || [[goesWith]] || || | ||
+ | |- | ||
+ | | [[장조추상존호옥보]] || [[조선_장종]] || [[isRelatedTo]] || || | ||
+ | |- | ||
+ | | [[정조추상존호옥보]] || [[조선_정조]] || [[isRelatedTo]] || || | ||
+ | |- | ||
+ | | [[순조추상존호옥보]] || [[조선_순조]] || [[isRelatedTo]] || || | ||
+ | |- | ||
+ | | [[순조_추상존호_옥책]] || [[조선_순조]] || [[isRelatedTo]] || || | ||
+ | |- | ||
+ | | [[문조추상존호옥보]] || [[조선_익종]] || [[isRelatedTo]] || || | ||
+ | |- | ||
+ | | [[진종추상존호옥보]] || [[조선_진종]] || [[isRelatedTo]] || || | ||
+ | |- | ||
+ | | [[헌종추상존호옥보]] || [[조선_헌종]] || [[isRelatedTo]] || || | ||
+ | |- | ||
+ | | [[철종추상존호옥보]] || [[조선_철종]] || [[isRelatedTo]] || || | ||
+ | |- | ||
+ | | [[고종가상존호옥보]] || [[조선_고종]] || [[isRelatedTo]] || || | ||
+ | |- | ||
+ | | [[명성황후_금보]] || [[명성황후]] || [[isRelatedTo]] || || | ||
+ | |- | ||
+ | | [[명성황후_금책]] || [[명성황후]] || [[isRelatedTo]] || || | ||
+ | |- | ||
+ | | [[장조추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정조추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순조추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순조_추상존호_옥책]] || [[옥책]] || [[isRelatedTo]] || || | ||
+ | |- | ||
+ | | [[문조추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진종추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헌종추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철종추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고종가상존호옥보]] || [[옥보]] || [[type]] || || | ||
+ | |- | ||
+ | | [[명성황후_금보]] || [[금보]] || [[type]] || || | ||
+ | |- | ||
+ | | [[명성황후_금책]] || [[금책]] || [[type]] || || | ||
|- | |- | ||
|} | |} | ||
67번째 줄: | 165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KCI:ART001162519 || 논문 || 임민혁, 「고·순종의 호칭에 관한 이론(異論)과 왕권의 정통성 -묘호(廟號)·존호(尊號)·시호(諡號)를 중심으로-」, 『사학연구』78, 한국사학회, 200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62519 | ||
|- | |- | ||
|} | |} |
2023년 2월 7일 (화) 15:59 기준 최신판
목차
고종 7대조의 황제 추봉과 어진 모사 》 대한제국 성립 이후의 추숭의례와 황권
Story
고종은 황제로 즉위한 후, 군주권의 정통성을 체계화하기 위한 시도를 행하였다. 특진관 서상조가 장헌세자와 정종(正宗, 훗날의 정조)의 추숭을 청하자, 해당 절차를 거쳐 장헌세자의 묘호를 장종(莊宗)이라 고치고 정종에게 존호를 추상하였다. 혈통상 고조인 장헌세자를 왕으로 추존하는 것은 왕통을 확립하려는 조치였다. 이 추존 뒤에 바로 4대조의 황제로서의 묘호와 칭호를 새로 정해 올릴 것을 지시했다. 그리하여 고종 36년(1899) 12월에 태조는 태조 고황제(高皇帝), 장종은 장조(莊祖) 의(懿)황제, 정종(正宗)은 정조(正祖) 선(宣)황제, 순조는 순조 숙(肅)황제, 익종은 문조 익(翼)황제로 추봉되었다. 태조는 원구단에 배천(配天)되었다. 1907년에 고종이 강제 퇴위를 당하고, 순종이 즉위하였다. 순종은 고종에게 태황제라는 칭호를 올리는 조칙을 발표하고, 또 수강(壽康)이라는 존호를 올렸다. 이듬해에는 진종과 헌종, 철종의 추봉을 단행하여 진종을 소(昭)황제, 헌종을 성(成)황제, 철종을 장(章)황제로 정하였다. 이로써 순종 원년에 이르러 황제국의 7묘제(廟制)에 따른 황제로서의 묘호추봉이 완성되어 황권의 정통성은 확립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E2022-R1-50B | Story | Episode | 대한제국 성립 이후의 추숭의례와 황권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1-50B |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KCI:ART001162519 | 논문 | 임민혁, 「고·순종의 호칭에 관한 이론(異論)과 왕권의 정통성 -묘호(廟號)·존호(尊號)·시호(諡號)를 중심으로-」, 『사학연구』78, 한국사학회, 200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62519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