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단결선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1917년】.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 1917년 상해에서 신규식(申圭植) 등이 임시정부의 수립에 관한 민족대회의의 소집을 제의·제창한 문서. 발기인은 신규식을 필두로 박은식·신채호·박용만·윤세복·조소앙·신석우·한진교 등 14명이다. 내용은 융희황제의 주권 포기를 국민에 대한 주권 양여로 주장하고 일본의 국토 강점으로 인해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가 주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으므로, 해외동포가 민족대회의를 개최하여 임시정부를 수립하자는 것이다. 이 선언의 계획은 당장에 실현되지 못하였으나 그 문서가 동포 사회에 널리 송달되고 계몽되어 임시정부 수립의 모체가 되었다.
+
【1917년】.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 1917년 상해에서 신규식(申圭植) 등이 임시정부의 수립에 관한 민족대회의의 소집을 제의·제창한 문서. 발기인은 신규식을 필두로 박은식·신채호·박용만·윤세복·조소앙·신석우·한진교 등 14명이다. 내용은 융희황제의 주권 포기를 국민에 대한 주권 양여로 주장하고 일본의 국토 강점으로 인해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가 주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으므로, 해외동포가 민족대회의를 개최하여 임시정부를 수립하자는 것이었다. 이 선언 계획은 당장에 실현되지 못하였으나 그 문서가 동포 사회에 널리 송달되고 계몽되어 임시정부 수립의 모체가 되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1번째 줄: 2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신규식]] || [[대동단결선언]]  || [[]]  ||  ||
+
| [[신규식]]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박은식]] || [[대동단결선언]]  || [[]]  ||  ||
+
| [[박은식]]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신채호]] || [[대동단결선언]]  || [[]]  ||  ||
+
| [[신채호]]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박용만]] || [[대동단결선언]]  || [[]]  ||  ||
+
| [[박용만]]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윤세복]] || [[대동단결선언]]  || [[]]  ||  ||
+
| [[윤세복]]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조소앙]] || [[대동단결선언]]  || [[]]  ||  ||
+
| [[조소앙]]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신석우]] || [[대동단결선언]]  || [[]]  ||  ||
+
| [[신석우]]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한진교]] || [[대동단결선언]]  || [[]]  ||  ||
+
| [[한진교]] || [[대동단결선언]]  || [[contributor]]  ||  ||
 
|-
 
|-
| [[]] || [[대동단결선언]]  || [[]]  ||  ||
+
| [[대동단결선언]] || [[주권불멸론]]  || [[mentions]]  ||  || 主權不滅論.
 
|-
 
|-
| [[]] || [[대동단결선언]]  || [[]]  ||  ||
+
| [[신규식]] || [[신한혁명당]]  || [[isMemberOf]]  ||  ||
 
|-
 
|-
| [[]] || [[대동단결선언]]  || [[]]  ||  ||
+
| [[신한혁명당]] || [[융희황제_망명추진]]  || [[prepares]]  ||  ||
 
|-
 
|-
| [[]] || [[대동단결선언]]  || [[]]  ||  ||
+
| [[신한혁명당]] || [[광무황제_망명정부_수립계획]]  || [[prepares]]  ||  ||
 
|-
 
|-
| [[]] || [[대동단결선언]]  || [[]]  ||  ||
+
| [[신규식]] || [[국민주권설]]  || [[creator]]  ||  ||
 
|-
 
|-
| [[]] || [[대동단결선언]]  || [[]]  ||  ||
+
| [[대동단결선언]] || [[신한민보]]  || [[ismentionedIn]]  ||  ||
 
|-
 
|-
| [[]] || [[대동단결선언]]  || [[]]  ||  ||
+
| [[임시정부의_모체]] || [[대동단결선언]]  || [[isRelatedTo]]  ||  ||
 
|-
 
|-
 
|}
 
|}
71번째 줄: 71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신주백, 「1910년 전후 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정체로 정치이념의 전환 - 공화론과 대동론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93,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2913
 
|-
 
|-
 
+
| 논문 || 전종익, 「대한민국임시정부 이전 정치체제 구상 - 1910년대 군주제와 공화제를 중심으로 -」, 『법사학연구』 56, 한국법사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2365
| 단행본 || , 『』, , . ||  ||  
+
|-
 +
| 논문 || 윤대원, 「大韓民國臨時政府의 組織·運營과 獨立方略의 분화 (1919~1930)」,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9. ||  ||
 +
|-
 +
| 논문 || 박성수, 「大韓民國의 正統性과 趙素昻 선생」, 『三均主義硏究論集』 30, 삼균학회, 2009. ||  ||
 +
|-
 +
| 논문 || 조동걸, 「臨時政府樹立을 위한 1917년의 大同團結宣言」, 『한국학논총』 9,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987. ||  ||
 +
|-
 +
| 단행본 || 한홍구 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묻다』, 철수와영희, 2009. ||  ||
 +
|-
 +
| 단행본 || 김소진, 『韓國獨立宣言書硏究』, 국학자료원, 1999. ||  ||  
 
|-
 
|-
 
 
|}
 
|}
  

2021년 11월 7일 (일) 11:4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1917년】.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 1917년 상해에서 신규식(申圭植) 등이 임시정부의 수립에 관한 민족대회의의 소집을 제의·제창한 문서. 발기인은 신규식을 필두로 박은식·신채호·박용만·윤세복·조소앙·신석우·한진교 등 14명이다. 내용은 융희황제의 주권 포기를 국민에 대한 주권 양여로 주장하고 일본의 국토 강점으로 인해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가 주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으므로, 해외동포가 민족대회의를 개최하여 임시정부를 수립하자는 것이었다. 이 선언 계획은 당장에 실현되지 못하였으나 그 문서가 동포 사회에 널리 송달되고 계몽되어 임시정부 수립의 모체가 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대동단결선언 Event 사건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 大同團結宣言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대동단결선언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신규식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박은식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신채호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박용만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윤세복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조소앙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신석우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한진교 대동단결선언 contributor
대동단결선언 주권불멸론 mentions 主權不滅論.
신규식 신한혁명당 isMemberOf
신한혁명당 융희황제_망명추진 prepares
신한혁명당 광무황제_망명정부_수립계획 prepares
신규식 국민주권설 creator
대동단결선언 신한민보 ismentionedIn
임시정부의_모체 대동단결선언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동단결선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234
해설 위키백과 대동단결선언 https://ko.wikipedia.org/wiki/대동단결선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신주백, 「1910년 전후 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정체로 정치이념의 전환 - 공화론과 대동론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93,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2913
논문 전종익, 「대한민국임시정부 이전 정치체제 구상 - 1910년대 군주제와 공화제를 중심으로 -」, 『법사학연구』 56, 한국법사학회, 20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2365
논문 윤대원, 「大韓民國臨時政府의 組織·運營과 獨立方略의 분화 (1919~1930)」,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9.
논문 박성수, 「大韓民國의 正統性과 趙素昻 선생」, 『三均主義硏究論集』 30, 삼균학회, 2009.
논문 조동걸, 「臨時政府樹立을 위한 1917년의 大同團結宣言」, 『한국학논총』 9,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987.
단행본 한홍구 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묻다』, 철수와영희, 2009.
단행본 김소진, 『韓國獨立宣言書硏究』, 국학자료원, 1999.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