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기복완요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Web Resource)
(Bibliography)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
+
명기복완요여明器服玩腰輿는 국장의 발인發靷 때 능에 부장하는 명기明器와 복완服玩을 싣고 가는 가마이다. 책보요여의 그림은 1744년에 편찬된 『국조오례서례』의 「흉례凶禮·거여도설車轝圖說」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오례의」에도 설명과 함께 나온다. 명기와 복완은 모두 망자를 위해 무덤에 넣는 부장품副葬品이다. 요여는 지붕의 상단, 지붕을 받치고 안쪽을 가리는 중단, 가마를 들고 이동하는 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단의 지붕은 거북이의 등 모양으로 가운데가 볼록하게 만들고 외부를 아청색鴉靑色의 면포綿布를 덮어 씌웠다. 몸체는 먼저 사방에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 아래쪽에 정판精版을 설치하고, 겉에 수파련水波蓮을 그렸다. 그리고 사방으로 장자障子를 설치하여 가는데 전면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장자의 겉에는 목단牧丹을 그렸다. 하단에는 가마를 들고 지탱하는 강목杠木이 있다. 그림의 요여는 가마의 앞쪽과 뒤쪽에서 하단의 강목을 손으로 잡고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 후기 발인반차도에 나오는 요여는 모두 긴 강목 사이에 가로의 짧은 강목이 있고, 강목과 강목 사이에 끈을 연결하여 어깨에 메고 이동하는 모습이다. 그리고 『국조상례보편』에 나오는 요여는 사방에 장자障子를 설치하지 않고 주유紬帷를 내려 가렸다. 반면 장자에 목단의 무늬를 그린 가마를 채여彩轝라고 불렀다.<ref>[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393&category=A&sWord=明器服玩腰輿 명기복완요여明器服玩腰輿,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ref>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을 하고,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죽산마, 한국 기록유산 Encyves]</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5번째 줄: 2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명기복완요여]] || [[요여]] || [[Type]]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
| [[명기복완요여]] || [[명기]] || [[goesWith]]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명기복완요여]] || [[복완]] || [[goesWith]]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명기복완요여]] || [[발인]] || [[isRelatedTo]] || ||  
|-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죽산마]] || [[depicts]] || ||
 
|-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죽산마]] || [[depicts]] || ||
 
|-
 
| [[죽산마]] || [[죽안마]] || [[isRelatedTo]] || ||
 
|-
 
| [[죽산마]] || [[고종황제의_마지막_길]] || [[isRelatedTo]] || ||  
 
 
|-
 
|-
 
|}
 
|}
50번째 줄: 38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책보요여冊寶腰輿 ||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364&category=A&sWord=冊寶腰輿
+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명기복완요여器服玩腰輿 ||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393&category=A&sWord=明器服玩腰輿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요여(腰轝)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요여(腰轝)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요여(腰轝)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요여(腰轝)
67번째 줄: 55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네이버 학술정보 > 학술논문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42305152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http://www.museum.go.kr) > 학술 > 역사학 > 연구보고서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  
 
|-
 
|-
 
|}
 
|}

2021년 10월 19일 (화) 06:5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명기복완요여明器服玩腰輿는 국장의 발인發靷 때 능에 부장하는 명기明器와 복완服玩을 싣고 가는 가마이다. 책보요여의 그림은 1744년에 편찬된 『국조오례서례』의 「흉례凶禮·거여도설車轝圖說」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오례의」에도 설명과 함께 나온다. 명기와 복완은 모두 망자를 위해 무덤에 넣는 부장품副葬品이다. 요여는 지붕의 상단, 지붕을 받치고 안쪽을 가리는 중단, 가마를 들고 이동하는 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단의 지붕은 거북이의 등 모양으로 가운데가 볼록하게 만들고 외부를 아청색鴉靑色의 면포綿布를 덮어 씌웠다. 몸체는 먼저 사방에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 아래쪽에 정판精版을 설치하고, 겉에 수파련水波蓮을 그렸다. 그리고 사방으로 장자障子를 설치하여 가는데 전면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장자의 겉에는 목단牧丹을 그렸다. 하단에는 가마를 들고 지탱하는 강목杠木이 있다. 그림의 요여는 가마의 앞쪽과 뒤쪽에서 하단의 강목을 손으로 잡고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 후기 발인반차도에 나오는 요여는 모두 긴 강목 사이에 가로의 짧은 강목이 있고, 강목과 강목 사이에 끈을 연결하여 어깨에 메고 이동하는 모습이다. 그리고 『국조상례보편』에 나오는 요여는 사방에 장자障子를 설치하지 않고 주유紬帷를 내려 가렸다. 반면 장자에 목단의 무늬를 그린 가마를 채여彩轝라고 불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명기복완요여 Object 물품 명기복완요여(明器服玩腰輿) 명기복완요여 明器服玩腰輿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명기복완요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명기복완요여 요여 Type
명기복완요여 명기 goesWith
명기복완요여 복완 goesWith
명기복완요여 발인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명기복완요여器服玩腰輿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393&category=A&sWord=明器服玩腰輿
참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요여(腰轝)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요여(腰轝)
참고 한국콘텐츠진흥원 요여(腰轝) 요여는 시책과 시보, 교명 책보을 싣는 가마다.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31606240001&print=Y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요여(腰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334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논문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단행본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단행본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