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릉-純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조부인 도조 이춘(李椿)의 비 경순왕후(敬順王后) 박씨(朴氏)를 모신 시조왕릉이다. 처음에는 함길도 함흥부의 동쪽 33리 거리에 있는 예안부감산(坎山)에 조성되었으나, 1398년(태조 6) 3월에 오늘날의 함경남도 흥남시 마전리로 옮겨졌다. 춘관통고에 따르면, 능역은 덕릉과 같이 조성되었고, 능 아래 30보에 정자각이 있고, 정자각 왼쪽에는 6칸의 수라청이, 뒷쪽에는 망료위가, 정자각 아래 20보에 "경비순릉(敬妃純陵)"이라고 쓴 표석 하나가 있었다. 정자각 남쪽 100보에 홍살문이 있고, 다시 남쪽 15보에 전사청, 제기고, 안향청이 있고, 안향청 가까이에 재실이 있었다. 북도각릉전도형 제5폭에는 순릉의 산릉도가 그려져 있다.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조부인 도조 이춘(李椿)의 비 경순왕후(敬順王后) 박씨(朴氏)를 모신 시조왕릉이다. 처음에는 함길도 함흥부의 동쪽 33리 거리에 있는 예안부감산(坎山)에 조성되었으나, 1398년(태조 6) 3월에 오늘날의 함경남도 흥남시 마전리로 옮겨졌다. 춘관통고에 따르면, 능역은 덕릉과 같이 조성되었고, 능 아래 30보에 정자각이 있고, 정자각 왼쪽에는 6칸의 수라청이, 뒷쪽에는 망료위가, 정자각 아래 20보에 "경비순릉(敬妃純陵)"이라고 쓴 표석 하나가 있었다. 정자각 남쪽 100보에 홍살문이 있고, 다시 남쪽 15보에 전사청, 제기고, 안향청이 있고, 안향청 가까이에 재실이 있었다. 북도각릉전도형 제5폭에는 순릉의 산릉도가 그려져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1년 9월 11일 (토) 21:41 판

Definition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조부인 도조 이춘(李椿)의 비 경순왕후(敬順王后) 박씨(朴氏)를 모신 시조왕릉이다. 처음에는 함길도 함흥부의 동쪽 33리 거리에 있는 예안부감산(坎山)에 조성되었으나, 1398년(태조 6) 3월에 오늘날의 함경남도 흥남시 마전리로 옮겨졌다. 춘관통고에 따르면, 능역은 덕릉과 같이 조성되었고, 능 아래 30보에 정자각이 있고, 정자각 왼쪽에는 6칸의 수라청이, 뒷쪽에는 망료위가, 정자각 아래 20보에 "경비순릉(敬妃純陵)"이라고 쓴 표석 하나가 있었다. 정자각 남쪽 100보에 홍살문이 있고, 다시 남쪽 15보에 전사청, 제기고, 안향청이 있고, 안향청 가까이에 재실이 있었다. 북도각릉전도형 제5폭에는 순릉의 산릉도가 그려져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순릉-純陵 Place 능묘 시조왕릉 순릉-純陵 순릉-순릉 純陵-純陵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순릉-純陵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순릉-純陵 경순왕후 isTombOf
도조 경수왕후 [[ hasWife ]]
순릉-純陵 춘관통고 isDepictedIn
순릉-純陵 북도각릉전도형 isDepictedIn
순릉-純陵 의릉-義陵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순릉(純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1886
해설 위키실록사전 순릉(純陵)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순릉(純陵)
해설 위키백과 순릉 (경순왕후) https://ko.wikipedia.org/wiki/%EC%88%9C%EB%A6%89_(%EA%B2%BD%EC%88%9C%EC%99%95%ED%9B%84)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전나나, 「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 『조선시대사학보』(69), 조선시대사학회, 2014.06, pp.325~35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93166
논문 장경희,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조형디자인연구』15(2), 2012.06, pp.9~2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962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