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 항목: Plac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rema...)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편찬 항목 목록]]}}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remark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remark |
2021년 7월 7일 (수) 13:43 기준 최신판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remark |
---|---|---|---|---|---|---|---|---|---|---|
근정전 | Architecture | 건축 | 근정전 | |||||||
기념비전 | Architecture | 건축 | 기념비전 | |||||||
대성전 | Architecture | 건축 | 대성전 | |||||||
대안문 | Architecture | 건축 | 대안문 | |||||||
독립문 | Architecture | 건축 | 독립문 | |||||||
동무 | Architecture | 건축 | 동무 | |||||||
동재 | Architecture | 건축 | 동재 | |||||||
만희당 | Architecture | 건축 | 만희당 | |||||||
발전소 | Architecture | 건축 | 발전소 | |||||||
사성당 | Architecture | 건축 | 사성당 | |||||||
서무 | Architecture | 건축 | 서무 | |||||||
서재 | Architecture | 건축 | 서재 | |||||||
석고각 | Architecture | 건축 | 석고각 | |||||||
선원전 | Architecture | 건축 | 선원전 | |||||||
소방계 | Architecture | 건축 | 소방계 | |||||||
수학원 | Architecture | 건축 | 수학원 | |||||||
숭녕부 | Architecture | 건축 | 숭녕부 | |||||||
양심당 | Architecture | 건축 | 양심당 | |||||||
양화당 | Architecture | 건축 | 양화당 | |||||||
영목당 | Architecture | 건축 | 영목당 | |||||||
장옹대 | Architecture | 건축 | 장옹대 | |||||||
조원문 | Architecture | 건축 | 조원문 | |||||||
파리만국박람회_한국관 | Architecture | 건축 | 파리만국박람회 한국관 | Pavilion de la Coree | ||||||
환벽정 | Architecture | 건축 | 환벽정 | |||||||
황궁우 | Architecture | 건축 | 황궁우 | |||||||
가정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가정당(嘉靖堂) | 가정당 | 嘉靖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가정당(嘉靖堂) | 덕수궁 석어당 북쪽에 위치한 목조 건물. | ||
경효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경효전(景孝殿) | 경효전 | 景孝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효전(景孝殿) | 1897년(광무 1년)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의 신주를 봉안하기 위해 경운궁에 설치한 건물. | ||
관명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관명전(觀明殿) | 관명전 | 觀明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관명전(觀明殿) | 덕수궁의 즉조당 서쪽 준명당 자리에 있었으며, 고종 대에 연회를 행한 건물. | ||
광명문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광명문(光明門) | 광명문 | 光明門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명문(光明門) | 덕수궁에서 왕의 침전인 함녕전 남행각 밖에있는 외삼문. | ||
광화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광화당(光華堂) | 광화당 | 光華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화당(光華堂) | 경운궁 함녕전 동쪽에 있으며, 고종의 후궁이었던 귀인 이씨가 거처하던 건물. | ||
구성헌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구성헌(九成軒) | 구성헌 | 九成軒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구성헌(九成軒) | 덕수궁 서북쪽 끝단에 있었던, 현 석조전 부지에 위치한 2층 규모의 서양식 건물. | ||
대한문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대한문(大漢門) | 대한문 | 大漢門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한문(大漢門) | 대한제국의 정궁인 경운궁의 정문. | ||
덕홍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덕홍전(德弘殿) | 덕홍전 | 德弘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덕홍전(德弘殿) | 일제시대 덕수궁의 알현실로 조성된 건물. | ||
돈덕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돈덕전(惇德殿) | 돈덕전 | 惇德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돈덕전(惇德殿) | 1901년(광무 5) 경 경운궁에 건립된 건물. | ||
삼축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삼축당(三祝堂) | 삼축당 | 三祝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삼축당(三祝堂) | 1906년에 경운궁의 함녕전 좌측에 건축된 건물 이름 또는 고종의 후궁인 김옥기(金玉基)의 당호(堂號). | ||
서십자각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서십자각(西十字閣) | 서십자각 | 西十字閣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서십자각 | |||
석어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석어당(昔御堂) | 석어당 | 昔御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어당(昔御堂) | 덕수궁의 즉조당 동쪽에 위치한 중층 목조 건물. | ||
석조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석조전(石造殿) | 석조전 | 石造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조전(石造殿) | 대한제국의 황궁인 경운궁(현 덕수궁)의 정전(正殿). | ||
수옥헌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수옥헌(漱玉軒) | 수옥헌 | 漱玉軒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수옥헌(漱玉軒)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왕립도서관. | ||
수인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수인당(壽仁堂) | 수인당 | 壽仁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수인당(壽仁堂)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대비전. | ||
영복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영복당(永福堂) | 영복당 | 永福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영복당(永福堂) | 덕수궁 함녕전의 동편에 있는 침전이자 황귀비 엄씨의 처소. | ||
영성문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영성문(永成門) | 영성문 | 永成門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영성문(永成門) |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의 본 궁궐과 떨어져 러시아 공사관 방향인 서북쪽에 만들어진 또 다른 궁궐 영역의 북문. | ||
정관헌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정관헌(靜觀軒) | 정관헌 | 靜觀軒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정관헌(靜觀軒)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에 고종 황제의 휴식 시설로 건축된 전통과 서양 절충식 건축물. | ||
준명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준명당(浚明堂) | 준명당 | 浚明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준명당(浚明堂) | 1904년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대화재 이후 만들어진 편전. | ||
중명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중명전(重明殿) | 중명전 | 重明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명전(重明殿) | 1900년(광무 4) 경 경운궁에 건립된 서양식 건물. | ||
중화문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중화문(中和門) | 중화문 | 中和門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화문(中和門) | 경운궁 중화전의 전문. | ||
중화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중화전(中和殿) | 중화전 | 中和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화전(中和殿)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정전. | ||
즉조당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즉조당(卽阼堂) | 즉조당 | 卽阼堂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즉조당(卽阼堂)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최초의 정전. | ||
태극전-경운궁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태극전(경운궁) | 태극전 | 太極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태극전(경운궁) | 대한제국기에 들어 경운궁 즉조당에 내건 정전의 명칭. | ||
평성문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평성문(平成門) | 평성문 | 平成門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평성문(平成門)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본궐 영역의 서문. | ||
포덕문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포덕문(布德門) | 포덕문 | 布德門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포덕문(布德門) | 경운궁(덕수궁)의 동쪽 궁장에 설치된 궁문. | ||
함녕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함녕전(咸寧殿) | 함녕전 | 咸寧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함녕전(咸寧殿)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침전. | ||
함유재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함유재(咸有齋) | 함유재 | 咸有齋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함유재(咸有齋) | 덕수궁 정관헌의 남쪽에 있는, 고종이 신하들을 인견한 건물. | ||
흠문각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흠문각(欽文閣) | 흠문각 | 欽文閣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흠문각(欽文閣) |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내에서 고종의 어진을 보관하던 건물. | ||
흥덕전 | Architecture | 건축 | 궁궐건축 | 흥덕전(興德殿) | 흥덕전 | 興德殿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흥덕전(興德殿) | 고종대에 빈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경운궁의 서북쪽에 지은 건물. | ||
쌍호정 | Architecture | 건축 | 누정 | 쌍호정(雙湖亭) | 쌍호정 | 雙湖亭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쌍호정(雙湖亭) | 조선 순조 대에 풍은부원군조만영의 옛 집터에 있던 정자. | ||
낙천정 | Architecture | 건축 | 왕실건축 | 낙천정(樂天亭) | 낙천정 | 樂天亭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낙천정(樂天亭) | 조선시대에 태종이 한강변 언덕에 세운 왕실 소유의 정자. | ||
담담정 | Architecture | 건축 | 왕실건축 | 담담정(淡淡亭) | 담담정 | 淡淡亭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담담정(淡淡亭) | 세종의 셋째아들인 안평대군이 지은 정자. | ||
용동궁 | Architecture | 건축 | 왕실건축 | 용동궁(龍洞宮) | 용동궁 | 龍洞宮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용동궁(龍洞宮) | 순회세자의 궁으로 임진왜란 이후 왕실에서 사용하는 내탕(內帑)을 마련하고 관리하던 궁가(宮家). | ||
제천정 | Architecture | 건축 | 왕실건축 | 제천정(濟川亭) | 제천정 | 濟川亭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제천정(濟川亭) |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한강변 언덕에 있던 왕실의 별장 겸 정자. | ||
돌북 | Architecture | 조형 | 돌북 | 石鼓 | ||||||
모화관 | Place | 객관 | 모화관 | 慕華館 | 중국사신의 처소, 서대문 밖에 위치 | |||||
태평관 | Place | 객관 | 태평관 | 太平館 | 중국사신의 처소, 남대문 안 양생방에 위치 | |||||
새문안교회 | Place | 교회 | 새문안교회 | |||||||
장림성당 | Place | 교회 | 장림성당 | 성공회성당의 전신 | ||||||
정동제일교회 | Place | 교회 | 정동제일교회 | |||||||
경운궁 | Place | 궁궐 | 경운궁(慶運宮) | 경운궁 | 慶運宮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운궁(慶運宮) | 대한제국의 정궁(正宮)으로 사용되었고, 현재 덕수궁이라 불리는 궁궐. | |||
덕수궁 | Place | 궁궐 | 덕수궁(德壽宮) | 덕수궁 | 德壽宮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덕수궁 | 대한제국의 정궁(正宮)으로 사용되었던 경운궁(慶運宮)의 다른 이름. | |||
연희궁 | Place | 궁궐 | 연희궁(衍禧宮) | 연희궁 | 衍禧宮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연희궁(衍禧宮) | 조선전기에 한양 도성 서쪽 밖에 건립된 이궁. | |||
협률사 | Place | 극장 | 협률사 | 한국 최초의 국립극장 | ||||||
강릉-康陵 | Place | 능묘 | 강릉-康陵 | |||||||
건원릉 | Place | 능묘 | 건원릉 | |||||||
경릉-敬陵 | Place | 능묘 | 경릉-敬陵 | |||||||
경릉-景陵 | Place | 능묘 | 경릉-景陵 | |||||||
공릉-恭陵 | Place | 능묘 | 공릉-恭陵 | |||||||
광릉-光陵 | Place | 능묘 | 광릉-光陵 | |||||||
덕릉-德陵 | Place | 능묘 | 덕릉-德陵 | |||||||
명릉-明陵 | Place | 능묘 | 명릉-明陵 | |||||||
목릉-穆陵 | Place | 능묘 | 목릉-穆陵 | |||||||
사릉-思陵 | Place | 능묘 | 사릉-思陵 | |||||||
선릉-宣陵 | Place | 능묘 | 선릉-宣陵 | |||||||
소경원 | Place | 능묘 | 소경원 | 각 원 제사 | ||||||
소령원 | Place | 능묘 | 소령원 | 각 원 제사 | ||||||
수길원 | Place | 능묘 | 수길원 | 각 원 제사 | ||||||
수릉-綏陵 | Place | 능묘 | 수릉-綏陵 | |||||||
숙릉-淑陵 | Place | 능묘 | 숙릉-淑陵 | |||||||
순릉-純陵 | Place | 능묘 | 순릉-純陵 | |||||||
순창원 | Place | 능묘 | 순창원 | 각 원 제사 | ||||||
숭릉-崇陵 | Place | 능묘 | 숭릉-崇陵 | |||||||
안릉-安陵 | Place | 능묘 | 안릉-安陵 | |||||||
양화진_외국인묘지 | Place | 능묘 | 양화진 외국인묘지 | 베델, 언더우드, 아펜젤러, 헐버트, 에케르트 등의 묘 | ||||||
영릉-寧陵 | Place | 능묘 | 영릉-寧陵 | |||||||
영릉-英陵 | Place | 능묘 | 영릉-英陵 | |||||||
영휘원 | Place | 능묘 | 영휘원 | |||||||
영희원 | Place | 능묘 | 영희원 | 각 원 제사 | ||||||
예릉-睿陵 | Place | 능묘 | 예릉-睿陵 | |||||||
온릉-溫陵 | Place | 능묘 | 온릉-溫陵 | |||||||
원릉-元陵 | Place | 능묘 | 원릉-元陵 | |||||||
의령원 | Place | 능묘 | 의령원(懿寧園) | 의령원 | 懿寧園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의령원(懿寧園) | 조선 사도세자와 혜빈 홍씨의 적장자인 의소세손의 묘. | |||
의릉-懿陵 | Place | 능묘 | 의릉-懿陵 | |||||||
의릉-義陵 | Place | 능묘 | 의릉-義陵 | |||||||
익릉-翼陵 | Place | 능묘 | 익릉-翼陵 | |||||||
인릉-仁陵 | Place | 능묘 | 인릉-仁陵 | |||||||
장릉-莊陵 | Place | 능묘 | 장릉-莊陵 | |||||||
정릉-定陵 | Place | 능묘 | 정릉-定陵 | |||||||
정릉-靖陵 | Place | 능묘 | 정릉-靖陵 | |||||||
제릉-齊陵 | Place | 능묘 | 제릉-齊陵 | |||||||
지릉-智陵 | Place | 능묘 | 지릉-智陵 | |||||||
창릉-昌陵 | Place | 능묘 | 창릉-昌陵 | |||||||
태릉-泰陵 | Place | 능묘 | 태릉-泰陵 | |||||||
헌릉-獻陵 | Place | 능묘 | 헌릉-獻陵 | |||||||
현륭원 | Place | 능묘 | 현륭원 | 각 원 제사 | ||||||
현릉-顯陵 | Place | 능묘 | 현릉-顯陵 | |||||||
혜릉-惠陵 | Place | 능묘 | 혜릉-惠陵 | |||||||
홍릉_洪陵 | Place | 능묘 | 홍릉 洪陵 | |||||||
홍릉-弘陵 | Place | 능묘 | 홍릉-弘陵 | |||||||
홍릉-洪陵 | Place | 능묘 | 홍릉-洪陵 | |||||||
화릉-和陵 | Place | 능묘 | 화릉-和陵 | |||||||
효릉-孝陵 | Place | 능묘 | 효릉-孝陵 | |||||||
효창원 | Place | 능묘 | 효창원 | 각 원 제사 | ||||||
후릉-厚陵 | Place | 능묘 | 후릉-厚陵 | |||||||
휘경원 | Place | 능묘 | 휘경원(徽慶園) | 휘경원 | 徽慶園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휘경원(徽慶園) | 조선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의 묘. | |||
휘릉-徽陵 | Place | 능묘 | 휘릉-徽陵 | |||||||
희릉-禧陵 | Place | 능묘 | 희릉-禧陵 | |||||||
보구여관 | Place | 병원 | 보구여관 | 普救女館 | Caring for and Saving Woman’s Hospital | 스크랜튼이 세운 최초의 부인병원, 이화학당 구내의 병원, 1900년 초 동대문 부인 병원으로 합류, 명성황후가 하사한 병원이름. | ||||
상동병원 | Place | 병원 | 상동병원 | |||||||
시병원 | Place | 병원 | 시병원 | 施病院 | Universal Relief Hospital | 스크랜튼이 세운 민간병원, 미국인의사시약소(Amerian Doctor’s Dispensary), 고종 사액 현판 | ||||
제중원 | Place | 병원 | 제중원 | 濟衆院 | House of Universal Helpfulness | 알렌의 건의로 조선 정부가 세운 서양식 병원 | ||||
경우궁 | Place | 사당 | 경우궁 | 景祐宮 | 칠궁. 갑신정변 | |||||
고금도_관왕묘 | Place | 사당 | 고금도 관왕묘 | |||||||
남관왕묘 | Place | 사당 | 남관왕묘 | |||||||
남원_관왕묘 | Place | 사당 | 남원 관왕묘 | |||||||
대빈궁 | Place | 사당 | 대빈궁 | 大嬪宮 | 칠궁 | |||||
덕안궁 | Place | 사당 | 덕안궁 | 德安宮 | 칠궁 | |||||
문희묘 | Place | 사당 | 문희묘 | 각 묘 제사 | ||||||
선희궁 | Place | 사당 | 선희궁 | 宣禧宮 | 칠궁 | |||||
성주_관왕묘 | Place | 사당 | 성주 관왕묘 | |||||||
숭덕전 | Place | 사당 | 숭덕전 | 배향신 | ||||||
숭렬전 | Place | 사당 | 숭렬전 | 배향신 | ||||||
숭령전 | Place | 사당 | 숭령전 | 배향신 | ||||||
숭선전 | Place | 사당 | 숭선전 | 배향신 | ||||||
숭의전 | Place | 사당 | 숭의전 | 배향신 | ||||||
숭인전 | Place | 사당 | 숭인전 | 배향신 | ||||||
숭혜전 | Place | 사당 | 숭혜전 | 배향신 | ||||||
안동_관왕묘 | Place | 사당 | 안동 관왕묘 | |||||||
연호궁 | Place | 사당 | 연호궁 | 延祜宮 | 칠궁 | |||||
영소묘 | Place | 사당 | 영소묘 | 각 묘 제사 | ||||||
육상궁 | Place | 사당 | 육상궁 | 毓祥宮 | 칠궁 | |||||
의빈궁 | Place | 사당 | 의빈궁 | 각 궁 제사 | ||||||
의빈묘 | Place | 사당 | 의빈묘 | 각 묘 제사 | ||||||
저경궁 | Place | 사당 | 저경궁 | 儲慶宮 | 칠궁 | |||||
조경묘 | Place | 사당 | 조경묘 | 묘 제사 | ||||||
평양_관왕묘 | Place | 사당 | 평양 관왕묘 | |||||||
봉원사 | Place | 사찰 | 봉원사 | 奉元寺 |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 |||||
불암사 | Place | 사찰 | 불암사 | 佛庵寺 |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 |||||
원각사 | Place | 사찰 | 원각사(圓覺寺) | 원각사 | 圓覺寺 | http://dh.aks.ac.kr/~sandbox/cgi-bin/hanyang/SemanticWikiPage.py?db=hanyang&project=hanyang&key=원각사 | ||||
지천사 | Place | 사찰 | 지천사 | 支天寺 | ||||||
진관사 | Place | 사찰 | 진관사 | 津寬寺 |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 |||||
청룡사 | Place | 사찰 | 청룡사 | 靑龍寺 |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 |||||
흥국사 | Place | 사찰 | 흥국사 | 興國寺 |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 |||||
사충서원 | Place | 서원 | 사충서원 | 사충서원 | http://dh.aks.ac.kr/~sandbox/cgi-bin/hanyang/SemanticWikiPage.py?db=hanyang&project=hanyang&key=사충서원 | |||||
고운담골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고운담골 | 임진왜란 때 역관 홍순언(洪純彦)이 명나라에 갔을 때 여인을 도와준 일로 보은단(報恩緞)이란 글씨를 수놓은 비단을 받았다 하여 보은단골이 고운담골로 변음되었다고 한다. | |||||
광나루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광나루 터 | 서울과 강원지방을 이어주던 나루터, 원래 너븐나루 | |||||
구리개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구리개 | 구리개는 조선시대에 이곳에 있던 나지막한 고개이다. 흙빛이 구리색과 같다고 해서 이 이름이 붙여졌다. | |||||
노량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노량진 터 | 노량진은 용산과 마주한 한강 남쪽 기슭의 나루이다. 서울과 충청도·경상도·전라도를 잇는 수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우리나라에서 맨 처음 철교가 놓인 곳이기도 하다. | |||||
동재기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동재기 나루터 | 수원 이남 삼남(충청,영남,호남) 지방과 서울(漢陽)을 이어주던 나루터 | |||||
두뭇개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두뭇개 나루터 | 경상·강원도의 세곡 등 물산이 집결되었고 경승지로도 유명하였던 나루 터 | |||||
뚝섬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뚝섬 나루터 | 이곳은 강남 송파와 청숫골을 잇던 나루터 | |||||
무쇠막_터-마포구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무쇠막 터(마포구) | 무쇠막은 정부에 무쇠솥이나 농기구를 만들어 바친 철공장이 모여 있던 곳이다. | |||||
무쇠막_터-성동구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무쇠막 터(성동구) | 조선시대 선철(銑鐵)을 녹여 농기구, 무쇠솥 등을 주조(鑄造)하던 대장간 집단지로 무쇠를 녹이던 곳. 무시막이라고도 하였다. | |||||
방학호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방학호진 터 | 방학호진은 신길동에서 샛강을 지나 마포나루로 건너갈 때 이용하던 나루이다. 나무가 무성한 흰 모래사장과 언덕의 경치가 빼어나고, 학이 노는 호수 같다고 하여 이 이름이 붙여졌다. | |||||
부침바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부침바위 터 | 부침바위는 잃어버린 아들을 찾거나, 아들을 낳고자 하는 사람들이 그 소원을 빌었던 바위이다. | |||||
북주우물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북주우물 | 복주우물은 복주 즉, 귀인(貴人)이 이용하는 우물이라는 뜻이다. 이 우물 뒤쪽의 금화산은 공기와 물이 맑아 장수하는 노인이 많았다. | |||||
산골고개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산골고개 | 예로부터 이곳에서 산골(生骨 또는 碌磻)이 출토되어 산골고개 또는 녹번고개(碌磻峴)라고 불렀다. 산골은 푸른 빛의 광물질로 골절되었을 때 먹으면 잘 붙는다고 전해진다. | |||||
삼개포구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삼개포구 | 황해를 거쳐 서울로 들어오던 물화(物貨) 집산(集散)의 포구 | |||||
삼전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삼전 나루터 | 경기도 광주, 여주 일대와 서울을 이어주던 유명한 나루터 | |||||
새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새남터 | 조선시대 사형수들을 처형하던 터.(용산구 이촌동 199번지1호 부근) | |||||
서강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서강 나루터 | 삼개 나루(용호,마호,서호)의 하나. 삼남 지방과 서해안으로부터 곡물과 어물이 들어오던 나루터. | |||||
송석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송석원 터 | 인왕산 계곡 중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 잡아 소나무와 바위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 곳 | |||||
송파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송파나루 터 | 삼남(충청,영남,호남) 지방과 서울(漢陽)을 이어주던 조선후기의 나루터 | |||||
수렛골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수렛골 | 이곳 서소문동 서북쪽 전 배재고교 자리와 이화여고 부지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을 수렛골 또는 차동(車洞)이라고 불렀다. | |||||
야주개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야주개 | 야주개는 이곳 신문로와 당주동 경계에 있던 고개이다. 경희궁(慶熙宮)의 정문인 흥화문(興化門) 현판 글씨가 빛이 나서 밤에도 이 고개까지 비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
양화진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양화진 나루터 | 서울과 제물포, 강화 방면을 잇던 나루터 | |||||
여기소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여기소 터 | 조선 숙종 때 북한산성 축성에 동원된 관리를 만나러 먼 시골에서 온 기생이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이 못에 몸을 던졌다는 전설이 있는 곳. | |||||
입석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입석포 터 | 천연의 낚시터로 이름이 높았던 곳. 입석포는 한천변의 큰 바위들이 사람처럼 서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 | |||||
장승백이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장승백이 | 장승배기는 정조가 부친 사도세자의 헌륭원에 참배하러 가면서 쉬었던 곳이다. | |||||
제천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제천정 터 | 조선시대 정자 터로 한강가 절경지의 하나 | |||||
종침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종침교 터 | 조선조 성종때 우의정을 지낸 허종(許琮)과 허침(許琛) 형제가 갑자사화의 화를 면한 일화가 얽혀있는 경복궁 입구 다리터 | |||||
진고개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진고개 | 조선시대에 남산골이었던 이 고개는 그리 높지 않은 고개였지만 진흙이어서 비만 왔다하면 사람의 왕래가 끊어질 정도로 통행이 곤란하여 진고개 또는 이현(泥峴)이라 불리었다 | |||||
청파배다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청파배다리 터 | 조선시대 도성에서 청파·원효로로 통하는 주요 길목인 만초천(萬草川)에 놓였던 돌다리 터 | |||||
초리우물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초리우물 터 | 초리우물은 물맛이 달고 차가우며, 물이 꼬리처럼 끊이지 않고 흘러 넘쳐서 아무리 추운 한겨울에도 물이 얼지 않는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
풀무재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풀무재 | 풀무재는 묵정동에서 쌍림동을 거쳐 충무로 5가 충무초등학교 북쪽에 있던 고개이다. 고개 언저리에 대장간들이 있어 풀무재 또는 대장고개라 불렀고 야현(冶峴)이라고도 하였다. | |||||
한강진_나루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한강진 나루터 | 이곳 한강가는 건너편 사평(沙平)나루를 잇던 나루터 | |||||
혜정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혜정교 터 | 중학천(中學川) 위에 놓였던 다리로 복청교(福淸橋)라고도 하며, 이곳에서 탐관오리들을 공개적으로 처형하기도 하였음 | |||||
홍제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홍제교 터 | 조선시대 도성에서 의주로 통하는 길목인 홍제천에 놓였던 돌다리터. 일명 서석게다리 | |||||
홍제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고지명 | 홍제원 터 | 여기서 약 50m 골목 안 홍제동 138번지 일원은 홍제원(1394~1895) 터 | |||||
경시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경시서 터 | 조선시대 물가를 조정하고 상거래(商去來)를 감독하던 관아터. 종로구 견지동에서 이전해 왔다. | |||||
공세청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공세청 터 | 공세청은 조선시대에 서강나루로 들어오는 선박에서 세금을 거두던 관청이다. | |||||
관상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관상감 터 | 조선시대에 천문, 지리, 역수(曆數)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던 관아의 터. | |||||
교서관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교서관 터 | 교서관은 조선시대에 서적의 인쇄, 제사 때 쓰이는 향과 축문, 도장 등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서적 인쇄에 필요한 활자도 주조하였다. | |||||
국사당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국사당 터 | 조선 태조 4년 12월 남산 산신을 목멱대왕(木覓大王)으로 봉작, 목멱신사를 세워 국사당이라 불러오다가 1925년 종로구 무악동으로 옮김 | |||||
군자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군자감(軍資監) 강감(江監) 터 | 태조 4년(1395)~광무 2년(1898) 전국 군전(軍田)에서 군량을 받아드려 저장하던 관아 자리 | |||||
금위영_서영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금위영 서영 터 | 금위영 서영은 조선시대에 도성 삼군문(훈련도감·어영청·금위영)의 하나인 금위영의 분영이다. | |||||
금위영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금위영 터 | 임진왜란 이후에 설치된 오군영(五軍營)의 하나인 군영 터. 대궐의 경비와 서울 남쪽의 수비를 맡았는데 광복 후에 국립 국악원이 있었다. | |||||
내수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내수사 터 | 조선시대 왕실의 재정을 관리하던 관아의 터. 궁중에서 필요한 쌀, 옷감, 잡화, 노비 등에 관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였으며 1907년에 폐지되었다. | |||||
내자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내자시 터 | 조선시대 궁중의 쌀, 채소, 과일 등 생필품을 공급하고 연회 등을 관장하던 관청인 내자시(內資寺) 터 | |||||
도염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도염서 터 | 도염서는 궁중에서 쓰이는 염료를 제조하고 직물을 염색하는 일을 주관하던 관청이다. | |||||
도화서_터-견지동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도화서 터 (견지동) | 도화서는 조선시대 그림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청으로 한국 전통 회화의 요람이자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 |||||
도화서_터-수화동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도화서 터 (수화동) | 도화서는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화가를 양성하고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여 우리 나라의 전통적 화풍을 형성하였다. | |||||
동빙고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동빙고 터 | 조선시대 종묘(宗廟), 사직(社稷)의 제사때 쓰던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터로 연산군 10년(1504) 동빙고동으로 옮겨졌음 | |||||
동활인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동활인서 터 | 활인서는 조선 초기 전염병 환자와 가난한 환자를 치료하려고 서울의 동쪽과 서쪽 두 곳에 설치한 관청이다. | |||||
등과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등과정 터 | 조선시대 무사들의 궁술 연습장으로 유명한 사정(射亭). | |||||
마조단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마조단 터 | 조선시대 국립 살곶이목장(箭串牧場)안에 있던 말의 무병(無病)과 번식을 위해 말의 조상에게 제사지내던 제단터(祭壇址) | |||||
만리창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만리창 터 | 만리창은 공물 대신 거둬들인 쌀, 베, 돈의 출납을 맡았던 선혜청(宣惠廳)의 별창(別倉)이다. | |||||
봉상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봉상시 터 | 봉상시는 조선시대에 국가 제사를 관장하고, 시호를 제정하며, 적전(籍田)의 농사를 관리하던 관청이다. | |||||
비변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비변사 터 | 조선시대 외적의 방어와 국가 최고 정책을 논의하던 관아 터. 중종때 창설되어 흥선대원군에 의해 폐지되었음. | |||||
사간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사간원 터 | 조선시대 국왕의 잘못을 충고하여 정치를 바로잡던 관아 터 | |||||
사도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사도시 터 | 조선시대 궁중의 미곡과 장(醬) 등의 물건을 맡은 관청으로 태조1년(1392) 고려의 제도를 따라 요물고(料物庫)를 설치하였다. | |||||
사복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사복시 터 |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는 수레, 말, 마구, 목장을 맡아보던 관청의 터. 궁중에는 내사복시, 도성에는 외사복시, 지방에는 목장을 두었다. | |||||
사섬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사섬시 터 | 사섬시는 조선시대에 저화(楮貨)를 만들고 공노비에게서 공포(貢布)를 받던 관청이다. 1401년(태종 1) 설치한 사섬서(司贍署)가 1460년(세조 6) 사섬시로 바뀌었다. | |||||
사온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사온서 터 | 사온서는 조선시대에 궁중에 술과 감주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이다. 1392년(태조 1) 설치되었다가 조선 후기에 폐지되었다. | |||||
사포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사포서 터 | 사포서(司圃胥)는 궁중의 채소밭과 과수원을 관리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원래 북부 준수방(俊秀坊:종로구 통인동)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 |||||
사한단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사한단 터 | 조선시대 빙고(氷庫)에 얼음을 저장할 때와 꺼낼 때 수우신(水雨神)인 현명씨(玄冥氏)에게 제사를 지냈던 터. | |||||
서빙고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서빙고 터 | 조선시대 8채의 움막집 형태로 지어졌던 얼음창고 터, 이 얼음은 궁중과 백관들이 사용하였다. | |||||
서십자각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서십자각 터 | 서십자각은 경복궁 서쪽에 있던 망루이다. 원래 궁궐의 궁은 임금의 거처를 말하고, 궐은 출입문 좌우에 설치된 망루를 뜻한다. 1923년 전차부설 공사를 하면서 철거되었다. | |||||
서활인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서활인서 터 | 전염병자를 격리 치료하던 의료기관이 있었던 곳 | |||||
선공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선공감 터 | 조선시대 토목과 영선(營繕)을 관장하던 관청인 선공감(繕工監)이 있던 자리 | |||||
소격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소격서 터 | 소격서는 조선시대에 도교의 의례를 거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이다. 1396년(태조 5) 설치되었고 연산군 이후 여러 차례 설치와 폐지를 반복하다가 임진왜란 이후 완전히 없어졌다. | |||||
수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수표 터 | 조선조 세종 때 한강의 수위(水位)를 재기 위해 제천정(濟川亭) 아래에 세웠던 수표 터 | |||||
순청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순청 터 | 순청은 야간 순찰을 맡아보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야간 순찰은 오후 10시경부터 오전 4시경까지 실시하였다. | |||||
승문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승문원 터 | 조선시대에 외교 문서를 관장하던 관청의 터. 조선 건국 초에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로 설치되었다가 1410년(태종10)에 승문원으로 개편되었다. | |||||
양향청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양향청 터 | 양향청은 훈련도감에서 사용하는 의복이나 무기, 비품 등의 물자를 조달하고, 재정을 관리 운영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 |||||
어영청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어영청 터 | 인의동 이 언저리는 왕실과 도성의 수비를 맡았던 군영(軍營) 터 | |||||
여단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여단 터 | 조선조 정종 2년 (1400)부터 자손 없이 죽은 사람들의 원혼(怨魂)을 제사 지냈던 단으로 1908년에 폐지 되었다. | |||||
염초청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염초청 터 | 조선시대 화약을 제조하던 이 관아는 임진왜란 때 설치되어 고종19년(1882) 임오군란이 일어날 때까지 존속하여 전시에 대비했다. | |||||
영성단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영성단 터 | 영성단은 조선시대 새해 농사가 잘 되도록 곡식을 맡은 별과 농사를 맡은 별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만든 제단이다. | |||||
예빈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예빈시 터 | 예빈시는 조선시대에 외국 사신을 접대하고 종친과 재상에게 식사를 제공하던 관청이다. 1392년(태조 1) 설치되었고 1894년(고종 31) 폐지되었다. | |||||
와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와서(瓦署) 터 | 태종 5년(1405)~고종 19년(1882) 기와를 굽던 관아 자리 | |||||
의금부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의금부 터 | 조선조(朝鮮朝) 관리·양반 윤리에 관한 범죄를 담당하던 관아자리 | |||||
의영고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의영고 터 | 호조에 소속되어 궁중에서 쓰이는 기름, 꿀, 채소 등의 물품출납을 맡아 보았던 관청의 터. 1392년(태조1)에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설치하였다. | |||||
이문_터-종로구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이문 터(종로구) | 이문은 조선시대에 마을의 방범과 방재를 위해 서울의 주요 골목 입구마다 설치한 문이다. 문 위에 다락이 있어 마을 주민들이 번갈아 올라가 도둑과 화재를 살폈다. | |||||
이문_터-중구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이문 터(중구) | 이문은 조선시대에 마을의 방범과 방재를 위해 서울의 주요 골목 입구마다 설치한 문이다. 문 위에 다락이 있어 마을 주민들이 번갈아 올라가 도둑과 화재를 살폈다. | |||||
장악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장악원 터 | 음악의 편찬 교육 행정을 맡았던 조선왕조 관아 자리 | |||||
장원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장원서 터 | 궁궐의 후원과 각지의 과수원을 관리하고 궁중과 여러 관아에 과일과 화초 등을 공급하던 관아 터 | |||||
장흥고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장흥고 터 | 장흥고는 조선시대에 왕실이나 관청에서 쓰이는 돗자리, 종이 등을 공급하던 관청이다. 1392년(태조 1) 설치되었고 1894년(고종 31) 궁내부로 편입되었다. | |||||
전생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전생서 터 | 전생서는 궁중의 각종 제사 때 쓸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 |||||
전옥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전옥서 터 | 조선시대에 죄인을 수감하였던 감옥으로 한말 항일의병들이 옥고를 치르기도 했던 곳 | |||||
전의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전의감 터 | 조선시대 궁중에 쓰이는 의약을 제조하고 약재를 재배하던 관아 터. 조선말에 우정총국(郵征總局)이 들어섰다. | |||||
제생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제생원 터 | 조선초의 서민 의료기관 터. 극빈자의 치료와 미아의 보호를 맡았으나 세조때 혜민서에 병합되었다. 조선조말엽 이 터에 계동궁(桂洞宮)이 들어섰다. | |||||
제용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제용감 터 | 조선시대 궁중의 모시, 마포 등 옷감의 직조와 의복의 제조·공급을 담당하던 관청인 제용감(濟用監) 터 | |||||
제중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제중원 터 | 제중원은 1885(고종 22)년 알렌(Allen)의 제의에 따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산하에 설립된 서양식 병원이다. | |||||
조지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조지서 | 조지서는 국가에서 사용하는 종이를 만드는 관청으로 1415년(태종 15) 조지소(造紙所)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가 1466년(세조 12) 조지서로 이름이 바뀌었다. | |||||
주교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주교사 터 | 주교사는 임금이 행차할 때 한강에 부교(浮橋)를 놓는 일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방의 조운(漕運)을 맡아보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 |||||
주자소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주자소 터 | 이곳 주자동은 태종 3년(1403)부터 정조 24년(1800)까지 금속활자를 부어 만들던 곳 | |||||
창회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창회정 터 | 이 언덕 위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정자로서 군사훈련을 사열(査閱)하는 곳으로도 사용되었음 | |||||
총융청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총융청 터 | 총융청은 인조2년(1624)에 설치된 조선시대의 중앙 군영(軍營)이다. | |||||
탕춘대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탕춘대 터 | 탕춘대는 1506년 연산군이 세운 누대(樓臺)이다. 연산군은 경치가 좋은 이곳 일대를 연회장소로 삼고 시냇물이 내려다 보이는 바위위에 탕춘대를 지었다. | |||||
통례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통례원 터 | 통례원은 조선시대에 조정의 의례와 하례, 제사와 의식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 |||||
평창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평창 터 | 조선후기 서울 북쪽의 방어를 위한 총융청(摠戎廳)의 군량창고가 있던 곳 | |||||
한성부_남부관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한성부 남부관아 터 |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남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 |||||
한성부_동부관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한성부 동부관아 터 |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동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 |||||
한성부_북부관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한성부 북부관아 터 |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북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 |||||
한성부_서부관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한성부 서부관아 터 |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서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 |||||
한성부_중부관아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한성부 중부관아 터 |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중부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 |||||
혜민서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혜민서 터 | 조선시대 서민 진료, 의약 관리, 의녀 (醫女) 교습 등을 담당한 국립의료기관인 혜민서가 있던 곳. 1466(세조12)년에 설치되어 1882(고종19)년에 폐지되었다. | |||||
화기도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화기도감 터 | 조선시대에 총포를 만들었던 터. | |||||
훈련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관아 | 훈련원(訓練院) 터 | 태조 1년(1392)~고종 31년(1894) 군사의 무예훈련 방법교습 및 무과 과거시험 등을 맡아보던 관아 자리 | |||||
3.1운동기념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3.1운동기념터 | 1919년 3·1운동 당시 시민, 학생 수천명이 모여 제2차 독립만세 시위 운동을 전개했던 곳. | |||||
경성궤도회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경성궤도회사 터 | 1930년부터 1961년까지 뚝섬과 광나루까지 경성 궤도회사가 경영하던 궤도전차가 운행하던 시발지. 이 협궤전차는 승객 및 물자 수송, 교외 나들이의 중요한 교통시설이었다. | |||||
국도극장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국도극장 터 | 국도극장은 1936년 11월에 동양풍(東洋風)을 가미한 르네상스식의 황금좌(黃金座)로 개관하였다. | |||||
대한민국임시정부_서울연통부지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대한민국임시정부 서울연통부지 | 이곳은 서울 시청과 비슷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직할의 서울聯通府가 자리잡고 있었던 터이다. 1919년 3? | |||||
동양극장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동양극장 터 | 1935년 우리나라 최초의 연극 전용 극장으로 문을 연 동양극장이 있던 곳이다. | |||||
별기군훈련소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별기군훈련소 터 | 조선 말 고종 18년(1881)에 설치된 신식 군대인 별기군(別技軍)이 훈련받던 곳. | |||||
서북학회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서북학회 터 | 서북학회는 대한제국 시대인 1908년에 국권 회복 운동을 위하여 평안도·함경도·황해도민이 조직한 애국 계몽 단체였다. | |||||
서울대학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서울대학교 터 | 1946년 8월4일 국립 서울대학교로 발족, 1975년 3월 관악산(冠岳山) 기슭으로 이전되었다. | |||||
성동역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성동역 터 | 성동역은 일제강점기 1939년 7월 25일 경춘철도회사가 부설한 사설철도(私設鐵道)인 경춘선의 출발역이었다. | |||||
세창서관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세창서관 터 | 세창서관은 출판사 겸 서점으로 1920년대에 신태삼(申泰三)이 설립하였다. | |||||
손탁호텔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손탁호텔 터 | 한말에 러시아에서 온 손탁(孫鐸, Miss Sontag)이 호텔을 건립, 내외국인의 사교장으로 쓰던 곳 | |||||
수진측량학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수진측량학교 터 | 개화사상가 유길준(兪吉濬)이 수진궁(壽進宮)을 빌려 측량전문교육기관(1908~1909)을 세웠던 곳. | |||||
우미관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우미관 터 | 우미관은 우리 나라에 영화문화가 들어온 초창기인 1912년에 개관되어 단성사(團成社)·조선극장(朝鮮劇場)과 더불어 사랑받던 영화관이다. | |||||
원각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원각사 터 |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세워진 극장 원각사가 있었던 곳. 1909년 이인직(李人稙 1882~1916)의 설중매, 은세계 등이 공연되었음. | |||||
은성주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은성주점 터 | 이 곳에서 약 10m 앞에는 1960년대 소설가이자 언론인 이봉구(1915~1983)와 변영로, 박인환, 전혜린, 임만섭 등 문화예술인들이 모였던 주점 터이다. | |||||
전차_차고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전차 차고 터 | 1899년부터 1968년까지 전차 종점으로 차고가 있던 곳. 또한 종로행이나 청량리 행 손님이 전차를 갈아타기도 하였다. | |||||
조선광문회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조선광문회 터 | 조선광문회는 1910년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이 설립한 단체로 신문화(新文化)의 요람이자 나라를 잃은 지식인의 사랑방 구실을 하던 곳이다. | |||||
한국통감부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한국통감부·조선총독부 터 | 일제가 을사늑약에 따라 1906년에 설치한 한국통감부 터이다. 이토 히로부미 등이 통감으로 부임하여 이곳에서 대한제국의 주권을 탈취하는 공작을 폈다. | |||||
한성도서주식회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한성도서주식회사 터 | 1920년 창설되어 1957년까지 존속한 출판사 | |||||
한양의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근대유산 | 한양의원 터 | 우리나라 근대 초창기의 양의로 한성의사회 회장과 조선의사협회 초대 간사장을 역임한 박계양(朴啓陽)이 운영하던 병원터. | |||||
노강서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서원/향교 | 노강서원 터 | 인현왕후 폐위에 반대하다가 혹독한 국문(鞠問)을 받고 진도로 유배 도중 사망한 박태보(朴泰輔, 1654~1689)를 배향한 서원 | |||||
사충서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서원/향교 | 사충서원 터 | 경종을 폐하고 연잉군(후의 영조)을 왕위에 올리려 했다는 의심을 받아 1722년(경종 2) 사형된 노론 4대신 김창집, 이이명, 조태채, 이건명을 배향한 서원 | |||||
시흥향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서원/향교 | 시흥향교 터 | 조선시대에 공자(孔子)등 성현을 봉안하고 유생들을 교육하던 곳으로 1944년 일제가 과천향교(果川鄕校)에 통합시켰음 | |||||
낙천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낙천정 터 | 태종(太宗)이 왕위를 세종(世宗)에게 물려주고 지은 ‘이궁(離宮) 낙천정(樂天亭)’이 있던 곳이다. | |||||
연희궁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연희궁 터· 서잠실 터 | 연희궁은 조선 초기에 지은 이궁(離宮)의 하나이다. 1420년 세종이 부왕인 태종을 위해 고쳐지었으며, 세종 자신도 1426년에 이 곳에 잠시 머물렀다. | |||||
용동궁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용동궁 터 | 조선조 명종의 장남 순회세자(順懷世子)가 책봉을 받았으나 13세에 세상을 떠나 세자빈의 속궁(屬宮)이 되었다. | |||||
의령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의령원 터 | 의령원은 영조의 세손 의소(懿昭)의 묘원(墓園)이다. 의소는 영조 26년(1750) 사도세자의 장자로 태어나 세손으로 책봉되고 다음 해 죽어 이곳에 장사되었다. | |||||
인명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인명원 터 | 인명원은 조선후기 정조의 후궁인 원빈(元嬪) 홍씨(洪氏)의 묘소이다. 1950년 6월 13일 서삼릉(西三陵) 내의 귀인·숙의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 |||||
죽동궁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죽동궁 터 | 죽동궁은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와 그 남편 김현근이 거주하던 곳이다. | |||||
휘경원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휘경원 터 | 휘경원은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생모인 수빈(綏嬪) 박씨(1770~1822)의 무덤이다. | |||||
흥선대원군_별장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왕실유적 | 흥선대원군 별장 터 | 고종의 생부 흥선대원군이 지은 별장 터. 현재는 철거되었으나 1985년까지 서울 대가(大家)의 전형적인 정원과 담장이 특유의 아름다움을 간직했었다. | |||||
강희맹_살던_곳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강희맹 살던 곳 | 조선 초 문인화가로 좌찬성을 지낸 강희맹(1424~1483)이 살면서 농업 전반에 관한 금양잡록(衿陽雜錄)을 저술하던 곳 | |||||
강희맹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강희맹 집 터 | 조선 초기 서화에 능한 명신(名臣)인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이 거처하던 집터 | |||||
권율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권율 도원수 집 터 |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거둔 도원수 권율(1537~1599) 장군 집터 | |||||
김상용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김상용 집 터 | 조선 16대 임금 인조 때 재상을 지낸 김상용(1561~1637)이 살던 집터이다. | |||||
김상헌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김상헌 집 터 | 이 일대는 병자호란 당시 화의(和議)를 반대했던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집이 있던 곳으로, 그 후 안동(安東) 김씨가의 세거지(勢居地)가 되었다. | |||||
김옥균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김옥균 집 터 | 조선말 개화파의 지도자인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이 거처하며 갑신정변을 논의하던 집 터(종로구 화동 260번지) | |||||
남이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남이장군 집 터 | 조선조 세조 때 북방개척에 무공(武功)을 세워 이름을 떨쳤던 남이장군의 집터 | |||||
담담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담담정 터 | 담담정은 조선 초에 안평대군이 지은 정자였으나 세조 때 신숙주(申叔舟:1417~1475)의 별장이 되었다. | |||||
맹사성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맹사성 집 터 | 조선 초 세종 때 정승을 지낸 정맥리가 살던 집터. 그의 이름을 따서 맹감사현(峴), 맹현(孟峴)이라고 하며, 퇴청하면 이곳에서 피리를 불기를 즐겨했다. | |||||
민영환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민영환 집 터 |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이에 분격하여 자결한 충정공(忠正公) 민영환 집 터(조계사 경내) | |||||
박규수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박규수 선생 집 터 | 조선조 말 근대화를 주장한 우의정(右議政) 환재(瓛齋) 박규수(1807~1876)선생 집터 | |||||
박세채_살던_곳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박세채정승 살던 곳 | 박세채(1631~1695)는 조선후기 숙종 때 우의정, 좌의정을 지낸 관리이며, 유학자로 소론(少論)의 대표가 되었다. | |||||
박인환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박인환 선생 집 터 | 이 곳은 모더니즘 시인 박인환(1926~1956)이 1948년부터 1956년까지 거주하며 창작활동을 하였던 장소이다. | |||||
박팽년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박팽년 집 터 | 조선 세종 때 한글 창제에 공을 세운 집현전 학사로 유명하였던 박팽년(1417~1456)이 살던 집터. | |||||
백련사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백련사 터 | 백련사는 조선말 시(詩), 서(書), 화(畵) 삼절(三絶)로 이름났던 김유근(1785~1840)의 집이다. | |||||
백록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백록정 터 | 조선말 경기감사 심상훈(沈相薰)의 정자 터. 개화당 인사들이 이곳에 모여 갑신정변을 계획했던 곳인데 한적하고 주변 경관이 뛰어났었다. | |||||
상진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상진 집 터 | 조선 13대 임금 명종 때 한성부 판윤과 영의정을 지낸 상진(1493~1564)이 살던 집터이다. 청렴결백하였으며 덕성이 좋고 도량이 넓었다. | |||||
성삼문_살던_곳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성삼문 선생 살던 곳 | 태종 18년(1418) 태어나서 사육신의 한 분으로 세조 2년(1456) 순절한 성삼문(成三問)선생 살던 집이 이 부근(화동 23번지)에 있었다. | |||||
쌍호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쌍호정 터 |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1808-1890)의 생가에 있던 정자 터. 신정왕후는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빈(嬪)이자 헌종의 어머니로 고종 즉위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 |||||
쌍회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쌍회정터 | 쌍회정은 조선조 선조 때의 문신 이항복(1556-1618)의 집 앞에 지어진 정자이다. | |||||
양성지_살던_곳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양성지 살던 곳 | 이 언저리는 조선초에 홍문관 대제학 등을 지낸 양성지가 살던 곳 | |||||
어서각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어서각 터 | 어서각은 영조가 내려 준 어필을 봉안하기 위해 최규서(崔奎瑞, 1650~1735)가 자기 집 안에 지은 건물이다. | |||||
어유구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어유구 집 터 |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어유구(1675~1740)가 살던 집터이다. | |||||
옥호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옥호정 터 | 순조의 장인 영안부원군 김조순(金祖淳 1765~1832)의 제택 (第宅)인 옥호정이 있던 곳이다. | |||||
유성룡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유성룡 집 터 | 이곳 남부 낙선방(南部 樂善坊) 먹절골(墨寺洞)은 임진왜란때의 영의정 서애(西厓) 유성룡선생이 살던 곳 | |||||
읍백당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읍백당 터 | 조선 후기 광해군 때 영의정 박승종(1562~1623)과 성균관 교리를 지낸 그의 차남 읍백당 자응(自凝)이 살던 집 터이다. | |||||
이덕형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이덕형선생집 터 | 한성부판윤과 영의정을 지낸 한음(漢陰) 이덕형(1561~1613)선생 집 터. | |||||
이집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둔촌 이집 선생 집 터 | 이집 선생(1327~1387)은 고려 말기의 학자·문인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둔촌(遁村)이었다. | |||||
이회영_형제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이회영, 이시영 6형제 집 터 | 이회영(1867~1932)과 이시영(1869~1953)은 1910년 건영·석영·철영·호영 등 나머지 4형제와 함께 서간도에 신흥무관학교를 세워 독립군 지도자를 양성 | |||||
전영택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전영택 집 터 | 목사이고 소설가이며 한국 신문학 운동의 개척자인 늘봄 전영택(1894~1968)이 살던 곳 | |||||
정광필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정광필 집 터 | 정광필(1462-1538)은 조선 중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인물이다. | |||||
정도전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정도전 집 터 |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이 살던집 터. 후일 사복시(司僕寺)·제용감(濟用監)이 이 자리에 들어섰고 일제 때에는 수송국민학교(壽松國民學校)가 세워졌었다. | |||||
정철_나신_곳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정철 선생 나신 곳 | 이 언저리 장의동(壯義洞)은 가사문학의 대가 송강(松江) 정철 선생(1536~1593)이 태어난 곳 | |||||
조광조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 | 정암(靜庵)조광조(1482-1519) 선생이 살던 한양골 집터(돈의동) | |||||
천일정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천일정 터 | 조선 성종 때 좌의정을 지낸 김국광(金國光)이 세운 정자로 이항복(李恒福)등이 별장으로 사용하던 곳 | |||||
토정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토정 터 | 조선중기 저명한 역학자(易學者)였던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집터. | |||||
팔홍문_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팔홍문 터 | 팔홍문은 조선시대에 이지남(李至男, 1529~1577)과 그 아들 등 3대에 걸쳐 여덟 명이 충신·효자·열녀가 된 것을 기리기 위하여 나라에서 세워준 여덟 개 문이다. | |||||
현진건_집터 | Place | 시울시문화재표석 | 표석-인물유적 | 현진건 집 터 | 현진건(1900-1943)은 근대 문학 초기 단편소설의 양식을 개척하고 사실주의 문학의 기틀을 마련한 소설가이다. | |||||
고샬기상회 | Place | 시장 | 고샬기상회 | |||||||
남대문_시장 | Place | 시장 | 남대문 시장 | |||||||
남대문의_저자 | Place | 시장 | 남대문의 저자 | 남대문 시장의 전신 | ||||||
대창양행 | Place | 시장 | 대창양행 | |||||||
주지상회 | Place | 시장 | 주지상회 | |||||||
독일공사관 | Place | 외국공관 | 독일공사관 | |||||||
러시아공사관 | Place | 외국공관 | 러시아공사관 | |||||||
미국공사관 | Place | 외국공관 | 미국공사관 | 고종의 시의와 주한 미국공사 알렌이 근무한 미국 공사관 | ||||||
벨기에영사관 | Place | 외국공관 | 벨기에영사관 | |||||||
영국공사관 | Place | 외국공관 | 영국공사관 | |||||||
이탈리아영사관 | Place | 외국공관 | 이탈리아영사관 | |||||||
주미한국공사관 | Place | 외국공관 | 주미한국공사관 | 워싱턴, 최초의 해외 공관 | ||||||
프랑스공사관 | Place | 외국공관 | 프랑스공사관 | |||||||
남대문의_연못 | Place | 장소 | 남대문의 연못 | |||||||
대한제국_적전 | Place | 장소 | 대한제국 적전 | |||||||
손탁호텔 | Place | 장소 | 손탁호텔(孫澤호텔) | 손탁호텔 | 孫澤호텔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583 | 서울 중구 정동에 있었던 대한제국기 서구식 호텔. | |||
정동거리 | Place | 장소 | 정동거리 | |||||||
탑골공원 | Place | 장소 | 탑골공원 | |||||||
한양 | Place | 장소 | 한양(漢陽) | |||||||
마조단 | Place | 제단 | 마조단(馬祖壇) | 마조단 | 馬祖壇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마조단(馬祖壇) | 마조(馬祖) 제사를 거행하던 제단. | |||
북교단 | Place | 제단 | 북교단 | 北郊壇 | ||||||
사한단 | Place | 제단 | 사한단(司寒壇) | 사한단 | 司寒壇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한단(司寒壇) | 사한(司寒) 제사를 거행하던 제단(祭壇). | |||
산천단 | Place | 제단 | 산천단 | |||||||
선농단 | Place | 제단 | 선농단 | |||||||
선잠단 | Place | 제단 | 선잠단 | |||||||
여제단 | Place | 제단 | 여제단 | |||||||
우사단 | Place | 제단 | 우사단 | |||||||
장충단 | Place | 제단 | 장충단 | |||||||
조경단 | Place | 제단 | 조경단 | 단 제사 | ||||||
포제단 | Place | 제단 | 포제단 | |||||||
풍운뇌우단 | Place | 제단 | 풍운뇌우단 | 風雲雷雨壇 | ||||||
환구단 | Place | 제단 | 환구단 | |||||||
달성주택 | Place | 주택 | 달성주택 | Tal Sung house | 스크랜튼 부인 거처. 분쉬가 임대하여 사용. | |||||
벽수산장 | Place | 주택 | 벽수산장 | |||||||
앨버트_테일러_가옥 | Place | 주택 | ||||||||
윤택영_가옥 | Place | 주택 | 윤택영 가옥 | |||||||
경기전 | Place | 진전 | 경기전 | 지방 진전 재사 | ||||||
목청전 | Place | 진전 | 목청전 | 지방 진전 재사 | ||||||
영희전 | Place | 진전 | 영희전 | 도성 진전 제사 | ||||||
준원전 | Place | 진전 | 준원전 | 지방 진전 재사 | ||||||
화령전 | Place | 진전 | 화령전 | 지방 진전 재사 | ||||||
대불호텔 | Place | 호텔 | 대불호텔 | 大佛호텔 | ||||||
스테이션_호텔 | Place | 호텔 | 스테이션 호텔 | Station Hotel | ||||||
조선철도호텔 | Place | 호텔 | 조선철도호텔 | 이화학당 구내의 병원, 1900년 초 동대문 부인 병원으로 합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