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 항목: Place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편찬 항목 목록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remark
근정전 Architecture 건축 근정전
기념비전 Architecture 건축 기념비전
대성전 Architecture 건축 대성전
대안문 Architecture 건축 대안문
독립문 Architecture 건축 독립문
동무 Architecture 건축 동무
동재 Architecture 건축 동재
만희당 Architecture 건축 만희당
발전소 Architecture 건축 발전소
사성당 Architecture 건축 사성당
서무 Architecture 건축 서무
서재 Architecture 건축 서재
석고각 Architecture 건축 석고각
선원전 Architecture 건축 선원전
소방계 Architecture 건축 소방계
수학원 Architecture 건축 수학원
숭녕부 Architecture 건축 숭녕부
양심당 Architecture 건축 양심당
양화당 Architecture 건축 양화당
영목당 Architecture 건축 영목당
장옹대 Architecture 건축 장옹대
조원문 Architecture 건축 조원문
파리만국박람회_한국관 Architecture 건축 파리만국박람회 한국관 Pavilion de la Coree
환벽정 Architecture 건축 환벽정
황궁우 Architecture 건축 황궁우
가정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가정당(嘉靖堂) 가정당 嘉靖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가정당(嘉靖堂) 덕수궁 석어당 북쪽에 위치한 목조 건물.
경효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경효전(景孝殿) 경효전 景孝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효전(景孝殿) 1897년(광무 1년)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의 신주를 봉안하기 위해 경운궁에 설치한 건물.
관명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관명전(觀明殿) 관명전 觀明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관명전(觀明殿) 덕수궁의 즉조당 서쪽 준명당 자리에 있었으며, 고종 대에 연회를 행한 건물.
광명문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광명문(光明門) 광명문 光明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명문(光明門) 덕수궁에서 왕의 침전인 함녕전 남행각 밖에있는 외삼문.
광화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광화당(光華堂) 광화당 光華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화당(光華堂) 경운궁 함녕전 동쪽에 있으며, 고종의 후궁이었던 귀인 이씨가 거처하던 건물.
구성헌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구성헌(九成軒) 구성헌 九成軒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구성헌(九成軒) 덕수궁 서북쪽 끝단에 있었던, 현 석조전 부지에 위치한 2층 규모의 서양식 건물.
대한문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대한문(大漢門) 대한문 大漢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한문(大漢門) 대한제국의 정궁인 경운궁의 정문.
덕홍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덕홍전(德弘殿) 덕홍전 德弘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덕홍전(德弘殿) 일제시대 덕수궁의 알현실로 조성된 건물.
돈덕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돈덕전(惇德殿) 돈덕전 惇德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돈덕전(惇德殿) 1901년(광무 5) 경 경운궁에 건립된 건물.
삼축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삼축당(三祝堂) 삼축당 三祝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삼축당(三祝堂) 1906년에 경운궁의 함녕전 좌측에 건축된 건물 이름 또는 고종의 후궁인 김옥기(金玉基)의 당호(堂號).
서십자각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서십자각(西十字閣) 서십자각 西十字閣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서십자각
석어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석어당(昔御堂) 석어당 昔御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어당(昔御堂) 덕수궁의 즉조당 동쪽에 위치한 중층 목조 건물.
석조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석조전(石造殿) 석조전 石造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조전(石造殿) 대한제국의 황궁인 경운궁(현 덕수궁)의 정전(正殿).
수옥헌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수옥헌(漱玉軒) 수옥헌 漱玉軒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수옥헌(漱玉軒)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왕립도서관.
수인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수인당(壽仁堂) 수인당 壽仁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수인당(壽仁堂)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대비전.
영복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영복당(永福堂) 영복당 永福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영복당(永福堂) 덕수궁 함녕전의 동편에 있는 침전이자 황귀비 엄씨의 처소.
영성문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영성문(永成門) 영성문 永成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영성문(永成門)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의 본 궁궐과 떨어져 러시아 공사관 방향인 서북쪽에 만들어진 또 다른 궁궐 영역의 북문.
정관헌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정관헌(靜觀軒) 정관헌 靜觀軒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정관헌(靜觀軒)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에 고종 황제의 휴식 시설로 건축된 전통과 서양 절충식 건축물.
준명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준명당(浚明堂) 준명당 浚明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준명당(浚明堂) 1904년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대화재 이후 만들어진 편전.
중명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중명전(重明殿) 중명전 重明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명전(重明殿) 1900년(광무 4) 경 경운궁에 건립된 서양식 건물.
중화문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중화문(中和門) 중화문 中和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화문(中和門) 경운궁 중화전의 전문.
중화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중화전(中和殿) 중화전 中和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중화전(中和殿)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정전.
즉조당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즉조당(卽阼堂) 즉조당 卽阼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즉조당(卽阼堂)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최초의 정전.
태극전-경운궁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태극전(경운궁) 태극전 太極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태극전(경운궁) 대한제국기에 들어 경운궁 즉조당에 내건 정전의 명칭.
평성문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평성문(平成門) 평성문 平成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평성문(平成門)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본궐 영역의 서문.
포덕문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포덕문(布德門) 포덕문 布德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포덕문(布德門) 경운궁(덕수궁)의 동쪽 궁장에 설치된 궁문.
함녕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함녕전(咸寧殿) 함녕전 咸寧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함녕전(咸寧殿)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침전.
함유재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함유재(咸有齋) 함유재 咸有齋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함유재(咸有齋) 덕수궁 정관헌의 남쪽에 있는, 고종이 신하들을 인견한 건물.
흠문각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흠문각(欽文閣) 흠문각 欽文閣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흠문각(欽文閣)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 내에서 고종의 어진을 보관하던 건물.
흥덕전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 흥덕전(興德殿) 흥덕전 興德殿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흥덕전(興德殿) 고종대에 빈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경운궁의 서북쪽에 지은 건물.
쌍호정 Architecture 건축 누정 쌍호정(雙湖亭) 쌍호정 雙湖亭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쌍호정(雙湖亭) 조선 순조 대에 풍은부원군조만영의 옛 집터에 있던 정자.
낙천정 Architecture 건축 왕실건축 낙천정(樂天亭) 낙천정 樂天亭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낙천정(樂天亭) 조선시대에 태종이 한강변 언덕에 세운 왕실 소유의 정자.
담담정 Architecture 건축 왕실건축 담담정(淡淡亭) 담담정 淡淡亭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담담정(淡淡亭) 세종의 셋째아들인 안평대군이 지은 정자.
용동궁 Architecture 건축 왕실건축 용동궁(龍洞宮) 용동궁 龍洞宮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용동궁(龍洞宮) 순회세자의 궁으로 임진왜란 이후 왕실에서 사용하는 내탕(內帑)을 마련하고 관리하던 궁가(宮家).
제천정 Architecture 건축 왕실건축 제천정(濟川亭) 제천정 濟川亭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제천정(濟川亭)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한강변 언덕에 있던 왕실의 별장 겸 정자.
돌북 Architecture 조형 돌북 石鼓
모화관 Place 객관 모화관 慕華館 중국사신의 처소, 서대문 밖에 위치
태평관 Place 객관 태평관 太平館 중국사신의 처소, 남대문 안 양생방에 위치
새문안교회 Place 교회 새문안교회
장림성당 Place 교회 장림성당 성공회성당의 전신
정동제일교회 Place 교회 정동제일교회
경운궁 Place 궁궐 경운궁(慶運宮) 경운궁 慶運宮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운궁(慶運宮) 대한제국의 정궁(正宮)으로 사용되었고, 현재 덕수궁이라 불리는 궁궐.
덕수궁 Place 궁궐 덕수궁(德壽宮) 덕수궁 德壽宮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덕수궁 대한제국의 정궁(正宮)으로 사용되었던 경운궁(慶運宮)의 다른 이름.
연희궁 Place 궁궐 연희궁(衍禧宮) 연희궁 衍禧宮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연희궁(衍禧宮) 조선전기에 한양 도성 서쪽 밖에 건립된 이궁.
협률사 Place 극장 협률사 한국 최초의 국립극장
강릉-康陵 Place 능묘 강릉-康陵
건원릉 Place 능묘 건원릉
경릉-敬陵 Place 능묘 경릉-敬陵
경릉-景陵 Place 능묘 경릉-景陵
공릉-恭陵 Place 능묘 공릉-恭陵
광릉-光陵 Place 능묘 광릉-光陵
덕릉-德陵 Place 능묘 덕릉-德陵
명릉-明陵 Place 능묘 명릉-明陵
목릉-穆陵 Place 능묘 목릉-穆陵
사릉-思陵 Place 능묘 사릉-思陵
선릉-宣陵 Place 능묘 선릉-宣陵
소경원 Place 능묘 소경원 각 원 제사
소령원 Place 능묘 소령원 각 원 제사
수길원 Place 능묘 수길원 각 원 제사
수릉-綏陵 Place 능묘 수릉-綏陵
숙릉-淑陵 Place 능묘 숙릉-淑陵
순릉-純陵 Place 능묘 순릉-純陵
순창원 Place 능묘 순창원 각 원 제사
숭릉-崇陵 Place 능묘 숭릉-崇陵
안릉-安陵 Place 능묘 안릉-安陵
양화진_외국인묘지 Place 능묘 양화진 외국인묘지 베델, 언더우드, 아펜젤러, 헐버트, 에케르트 등의 묘
영릉-寧陵 Place 능묘 영릉-寧陵
영릉-英陵 Place 능묘 영릉-英陵
영휘원 Place 능묘 영휘원
영희원 Place 능묘 영희원 각 원 제사
예릉-睿陵 Place 능묘 예릉-睿陵
온릉-溫陵 Place 능묘 온릉-溫陵
원릉-元陵 Place 능묘 원릉-元陵
의령원 Place 능묘 의령원(懿寧園) 의령원 懿寧園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의령원(懿寧園) 조선 사도세자와 혜빈 홍씨의 적장자인 의소세손의 묘.
의릉-懿陵 Place 능묘 의릉-懿陵
의릉-義陵 Place 능묘 의릉-義陵
익릉-翼陵 Place 능묘 익릉-翼陵
인릉-仁陵 Place 능묘 인릉-仁陵
장릉-莊陵 Place 능묘 장릉-莊陵
정릉-定陵 Place 능묘 정릉-定陵
정릉-靖陵 Place 능묘 정릉-靖陵
제릉-齊陵 Place 능묘 제릉-齊陵
지릉-智陵 Place 능묘 지릉-智陵
창릉-昌陵 Place 능묘 창릉-昌陵
태릉-泰陵 Place 능묘 태릉-泰陵
헌릉-獻陵 Place 능묘 헌릉-獻陵
현륭원 Place 능묘 현륭원 각 원 제사
현릉-顯陵 Place 능묘 현릉-顯陵
혜릉-惠陵 Place 능묘 혜릉-惠陵
홍릉_洪陵 Place 능묘 홍릉 洪陵
홍릉-弘陵 Place 능묘 홍릉-弘陵
홍릉-洪陵 Place 능묘 홍릉-洪陵
화릉-和陵 Place 능묘 화릉-和陵
효릉-孝陵 Place 능묘 효릉-孝陵
효창원 Place 능묘 효창원 각 원 제사
후릉-厚陵 Place 능묘 후릉-厚陵
휘경원 Place 능묘 휘경원(徽慶園) 휘경원 徽慶園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휘경원(徽慶園) 조선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의 묘.
휘릉-徽陵 Place 능묘 휘릉-徽陵
희릉-禧陵 Place 능묘 희릉-禧陵
보구여관 Place 병원 보구여관 普救女館 Caring for and Saving Woman’s Hospital 스크랜튼이 세운 최초의 부인병원, 이화학당 구내의 병원, 1900년 초 동대문 부인 병원으로 합류, 명성황후가 하사한 병원이름.
상동병원 Place 병원 상동병원
시병원 Place 병원 시병원 施病院 Universal Relief Hospital 스크랜튼이 세운 민간병원, 미국인의사시약소(Amerian Doctor’s Dispensary), 고종 사액 현판
제중원 Place 병원 제중원 濟衆院 House of Universal Helpfulness 알렌의 건의로 조선 정부가 세운 서양식 병원
경우궁 Place 사당 경우궁 景祐宮 칠궁. 갑신정변
고금도_관왕묘 Place 사당 고금도 관왕묘
남관왕묘 Place 사당 남관왕묘
남원_관왕묘 Place 사당 남원 관왕묘
대빈궁 Place 사당 대빈궁 大嬪宮 칠궁
덕안궁 Place 사당 덕안궁 德安宮 칠궁
문희묘 Place 사당 문희묘 각 묘 제사
선희궁 Place 사당 선희궁 宣禧宮 칠궁
성주_관왕묘 Place 사당 성주 관왕묘
숭덕전 Place 사당 숭덕전 배향신
숭렬전 Place 사당 숭렬전 배향신
숭령전 Place 사당 숭령전 배향신
숭선전 Place 사당 숭선전 배향신
숭의전 Place 사당 숭의전 배향신
숭인전 Place 사당 숭인전 배향신
숭혜전 Place 사당 숭혜전 배향신
안동_관왕묘 Place 사당 안동 관왕묘
연호궁 Place 사당 연호궁 延祜宮 칠궁
영소묘 Place 사당 영소묘 각 묘 제사
육상궁 Place 사당 육상궁 毓祥宮 칠궁
의빈궁 Place 사당 의빈궁 각 궁 제사
의빈묘 Place 사당 의빈묘 각 묘 제사
저경궁 Place 사당 저경궁 儲慶宮 칠궁
조경묘 Place 사당 조경묘 묘 제사
평양_관왕묘 Place 사당 평양 관왕묘
봉원사 Place 사찰 봉원사 奉元寺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불암사 Place 사찰 불암사 佛庵寺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원각사 Place 사찰 원각사(圓覺寺) 원각사 圓覺寺 http://dh.aks.ac.kr/~sandbox/cgi-bin/hanyang/SemanticWikiPage.py?db=hanyang&project=hanyang&key=원각사
지천사 Place 사찰 지천사 支天寺
진관사 Place 사찰 진관사 津寬寺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청룡사 Place 사찰 청룡사 靑龍寺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흥국사 Place 사찰 흥국사 興國寺 순헌황귀비 엄씨가 후원하여 그린 불화
사충서원 Place 서원 사충서원 사충서원 http://dh.aks.ac.kr/~sandbox/cgi-bin/hanyang/SemanticWikiPage.py?db=hanyang&project=hanyang&key=사충서원
고운담골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고운담골 임진왜란 때 역관 홍순언(洪純彦)이 명나라에 갔을 때 여인을 도와준 일로 보은단(報恩緞)이란 글씨를 수놓은 비단을 받았다 하여 보은단골이 고운담골로 변음되었다고 한다.
광나루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광나루 터 서울과 강원지방을 이어주던 나루터, 원래 너븐나루
구리개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구리개 구리개는 조선시대에 이곳에 있던 나지막한 고개이다. 흙빛이 구리색과 같다고 해서 이 이름이 붙여졌다.
노량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노량진 터 노량진은 용산과 마주한 한강 남쪽 기슭의 나루이다. 서울과 충청도·경상도·전라도를 잇는 수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우리나라에서 맨 처음 철교가 놓인 곳이기도 하다.
동재기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동재기 나루터 수원 이남 삼남(충청,영남,호남) 지방과 서울(漢陽)을 이어주던 나루터
두뭇개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두뭇개 나루터 경상·강원도의 세곡 등 물산이 집결되었고 경승지로도 유명하였던 나루 터
뚝섬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뚝섬 나루터 이곳은 강남 송파와 청숫골을 잇던 나루터
무쇠막_터-마포구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무쇠막 터(마포구) 무쇠막은 정부에 무쇠솥이나 농기구를 만들어 바친 철공장이 모여 있던 곳이다.
무쇠막_터-성동구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무쇠막 터(성동구) 조선시대 선철(銑鐵)을 녹여 농기구, 무쇠솥 등을 주조(鑄造)하던 대장간 집단지로 무쇠를 녹이던 곳. 무시막이라고도 하였다.
방학호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방학호진 터 방학호진은 신길동에서 샛강을 지나 마포나루로 건너갈 때 이용하던 나루이다. 나무가 무성한 흰 모래사장과 언덕의 경치가 빼어나고, 학이 노는 호수 같다고 하여 이 이름이 붙여졌다.
부침바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부침바위 터 부침바위는 잃어버린 아들을 찾거나, 아들을 낳고자 하는 사람들이 그 소원을 빌었던 바위이다.
북주우물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북주우물 복주우물은 복주 즉, 귀인(貴人)이 이용하는 우물이라는 뜻이다. 이 우물 뒤쪽의 금화산은 공기와 물이 맑아 장수하는 노인이 많았다.
산골고개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산골고개 예로부터 이곳에서 산골(生骨 또는 碌磻)이 출토되어 산골고개 또는 녹번고개(碌磻峴)라고 불렀다. 산골은 푸른 빛의 광물질로 골절되었을 때 먹으면 잘 붙는다고 전해진다.
삼개포구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삼개포구 황해를 거쳐 서울로 들어오던 물화(物貨) 집산(集散)의 포구
삼전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삼전 나루터 경기도 광주, 여주 일대와 서울을 이어주던 유명한 나루터
새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새남터 조선시대 사형수들을 처형하던 터.(용산구 이촌동 199번지1호 부근)
서강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서강 나루터 삼개 나루(용호,마호,서호)의 하나. 삼남 지방과 서해안으로부터 곡물과 어물이 들어오던 나루터.
송석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송석원 터 인왕산 계곡 중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 잡아 소나무와 바위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 곳
송파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송파나루 터 삼남(충청,영남,호남) 지방과 서울(漢陽)을 이어주던 조선후기의 나루터
수렛골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수렛골 이곳 서소문동 서북쪽 전 배재고교 자리와 이화여고 부지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을 수렛골 또는 차동(車洞)이라고 불렀다.
야주개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야주개 야주개는 이곳 신문로와 당주동 경계에 있던 고개이다. 경희궁(慶熙宮)의 정문인 흥화문(興化門) 현판 글씨가 빛이 나서 밤에도 이 고개까지 비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화진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양화진 나루터 서울과 제물포, 강화 방면을 잇던 나루터
여기소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여기소 터 조선 숙종 때 북한산성 축성에 동원된 관리를 만나러 먼 시골에서 온 기생이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이 못에 몸을 던졌다는 전설이 있는 곳.
입석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입석포 터 천연의 낚시터로 이름이 높았던 곳. 입석포는 한천변의 큰 바위들이 사람처럼 서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
장승백이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장승백이 장승배기는 정조가 부친 사도세자의 헌륭원에 참배하러 가면서 쉬었던 곳이다.
제천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제천정 터 조선시대 정자 터로 한강가 절경지의 하나
종침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종침교 터 조선조 성종때 우의정을 지낸 허종(許琮)과 허침(許琛) 형제가 갑자사화의 화를 면한 일화가 얽혀있는 경복궁 입구 다리터
진고개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진고개 조선시대에 남산골이었던 이 고개는 그리 높지 않은 고개였지만 진흙이어서 비만 왔다하면 사람의 왕래가 끊어질 정도로 통행이 곤란하여 진고개 또는 이현(泥峴)이라 불리었다
청파배다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청파배다리 터 조선시대 도성에서 청파·원효로로 통하는 주요 길목인 만초천(萬草川)에 놓였던 돌다리 터
초리우물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초리우물 터 초리우물은 물맛이 달고 차가우며, 물이 꼬리처럼 끊이지 않고 흘러 넘쳐서 아무리 추운 한겨울에도 물이 얼지 않는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풀무재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풀무재 풀무재는 묵정동에서 쌍림동을 거쳐 충무로 5가 충무초등학교 북쪽에 있던 고개이다. 고개 언저리에 대장간들이 있어 풀무재 또는 대장고개라 불렀고 야현(冶峴)이라고도 하였다.
한강진_나루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한강진 나루터 이곳 한강가는 건너편 사평(沙平)나루를 잇던 나루터
혜정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혜정교 터 중학천(中學川) 위에 놓였던 다리로 복청교(福淸橋)라고도 하며, 이곳에서 탐관오리들을 공개적으로 처형하기도 하였음
홍제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홍제교 터 조선시대 도성에서 의주로 통하는 길목인 홍제천에 놓였던 돌다리터. 일명 서석게다리
홍제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고지명 홍제원 터 여기서 약 50m 골목 안 홍제동 138번지 일원은 홍제원(1394~1895) 터
경시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경시서 터 조선시대 물가를 조정하고 상거래(商去來)를 감독하던 관아터. 종로구 견지동에서 이전해 왔다.
공세청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공세청 터 공세청은 조선시대에 서강나루로 들어오는 선박에서 세금을 거두던 관청이다.
관상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관상감 터 조선시대에 천문, 지리, 역수(曆數)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던 관아의 터.
교서관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교서관 터 교서관은 조선시대에 서적의 인쇄, 제사 때 쓰이는 향과 축문, 도장 등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서적 인쇄에 필요한 활자도 주조하였다.
국사당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국사당 터 조선 태조 4년 12월 남산 산신을 목멱대왕(木覓大王)으로 봉작, 목멱신사를 세워 국사당이라 불러오다가 1925년 종로구 무악동으로 옮김
군자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군자감(軍資監) 강감(江監) 터 태조 4년(1395)~광무 2년(1898) 전국 군전(軍田)에서 군량을 받아드려 저장하던 관아 자리
금위영_서영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금위영 서영 터 금위영 서영은 조선시대에 도성 삼군문(훈련도감·어영청·금위영)의 하나인 금위영의 분영이다.
금위영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금위영 터 임진왜란 이후에 설치된 오군영(五軍營)의 하나인 군영 터. 대궐의 경비와 서울 남쪽의 수비를 맡았는데 광복 후에 국립 국악원이 있었다.
내수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내수사 터 조선시대 왕실의 재정을 관리하던 관아의 터. 궁중에서 필요한 쌀, 옷감, 잡화, 노비 등에 관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였으며 1907년에 폐지되었다.
내자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내자시 터 조선시대 궁중의 쌀, 채소, 과일 등 생필품을 공급하고 연회 등을 관장하던 관청인 내자시(內資寺) 터
도염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도염서 터 도염서는 궁중에서 쓰이는 염료를 제조하고 직물을 염색하는 일을 주관하던 관청이다.
도화서_터-견지동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도화서 터 (견지동) 도화서는 조선시대 그림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청으로 한국 전통 회화의 요람이자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도화서_터-수화동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도화서 터 (수화동) 도화서는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화가를 양성하고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여 우리 나라의 전통적 화풍을 형성하였다.
동빙고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동빙고 터 조선시대 종묘(宗廟), 사직(社稷)의 제사때 쓰던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터로 연산군 10년(1504) 동빙고동으로 옮겨졌음
동활인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동활인서 터 활인서는 조선 초기 전염병 환자와 가난한 환자를 치료하려고 서울의 동쪽과 서쪽 두 곳에 설치한 관청이다.
등과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등과정 터 조선시대 무사들의 궁술 연습장으로 유명한 사정(射亭).
마조단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마조단 터 조선시대 국립 살곶이목장(箭串牧場)안에 있던 말의 무병(無病)과 번식을 위해 말의 조상에게 제사지내던 제단터(祭壇址)
만리창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만리창 터 만리창은 공물 대신 거둬들인 쌀, 베, 돈의 출납을 맡았던 선혜청(宣惠廳)의 별창(別倉)이다.
봉상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봉상시 터 봉상시는 조선시대에 국가 제사를 관장하고, 시호를 제정하며, 적전(籍田)의 농사를 관리하던 관청이다.
비변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비변사 터 조선시대 외적의 방어와 국가 최고 정책을 논의하던 관아 터. 중종때 창설되어 흥선대원군에 의해 폐지되었음.
사간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사간원 터 조선시대 국왕의 잘못을 충고하여 정치를 바로잡던 관아 터
사도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사도시 터 조선시대 궁중의 미곡과 장(醬) 등의 물건을 맡은 관청으로 태조1년(1392) 고려의 제도를 따라 요물고(料物庫)를 설치하였다.
사복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사복시 터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는 수레, 말, 마구, 목장을 맡아보던 관청의 터. 궁중에는 내사복시, 도성에는 외사복시, 지방에는 목장을 두었다.
사섬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사섬시 터 사섬시는 조선시대에 저화(楮貨)를 만들고 공노비에게서 공포(貢布)를 받던 관청이다. 1401년(태종 1) 설치한 사섬서(司贍署)가 1460년(세조 6) 사섬시로 바뀌었다.
사온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사온서 터 사온서는 조선시대에 궁중에 술과 감주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이다. 1392년(태조 1) 설치되었다가 조선 후기에 폐지되었다.
사포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사포서 터 사포서(司圃胥)는 궁중의 채소밭과 과수원을 관리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원래 북부 준수방(俊秀坊:종로구 통인동)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사한단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사한단 터 조선시대 빙고(氷庫)에 얼음을 저장할 때와 꺼낼 때 수우신(水雨神)인 현명씨(玄冥氏)에게 제사를 지냈던 터.
서빙고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서빙고 터 조선시대 8채의 움막집 형태로 지어졌던 얼음창고 터, 이 얼음은 궁중과 백관들이 사용하였다.
서십자각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서십자각 터 서십자각은 경복궁 서쪽에 있던 망루이다. 원래 궁궐의 궁은 임금의 거처를 말하고, 궐은 출입문 좌우에 설치된 망루를 뜻한다. 1923년 전차부설 공사를 하면서 철거되었다.
서활인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서활인서 터 전염병자를 격리 치료하던 의료기관이 있었던 곳
선공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선공감 터 조선시대 토목과 영선(營繕)을 관장하던 관청인 선공감(繕工監)이 있던 자리
소격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소격서 터 소격서는 조선시대에 도교의 의례를 거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이다. 1396년(태조 5) 설치되었고 연산군 이후 여러 차례 설치와 폐지를 반복하다가 임진왜란 이후 완전히 없어졌다.
수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수표 터 조선조 세종 때 한강의 수위(水位)를 재기 위해 제천정(濟川亭) 아래에 세웠던 수표 터
순청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순청 터 순청은 야간 순찰을 맡아보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야간 순찰은 오후 10시경부터 오전 4시경까지 실시하였다.
승문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승문원 터 조선시대에 외교 문서를 관장하던 관청의 터. 조선 건국 초에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로 설치되었다가 1410년(태종10)에 승문원으로 개편되었다.
양향청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양향청 터 양향청은 훈련도감에서 사용하는 의복이나 무기, 비품 등의 물자를 조달하고, 재정을 관리 운영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어영청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어영청 터 인의동 이 언저리는 왕실과 도성의 수비를 맡았던 군영(軍營) 터
여단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여단 터 조선조 정종 2년 (1400)부터 자손 없이 죽은 사람들의 원혼(怨魂)을 제사 지냈던 단으로 1908년에 폐지 되었다.
염초청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염초청 터 조선시대 화약을 제조하던 이 관아는 임진왜란 때 설치되어 고종19년(1882) 임오군란이 일어날 때까지 존속하여 전시에 대비했다.
영성단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영성단 터 영성단은 조선시대 새해 농사가 잘 되도록 곡식을 맡은 별과 농사를 맡은 별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만든 제단이다.
예빈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예빈시 터 예빈시는 조선시대에 외국 사신을 접대하고 종친과 재상에게 식사를 제공하던 관청이다. 1392년(태조 1) 설치되었고 1894년(고종 31) 폐지되었다.
와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와서(瓦署) 터 태종 5년(1405)~고종 19년(1882) 기와를 굽던 관아 자리
의금부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의금부 터 조선조(朝鮮朝) 관리·양반 윤리에 관한 범죄를 담당하던 관아자리
의영고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의영고 터 호조에 소속되어 궁중에서 쓰이는 기름, 꿀, 채소 등의 물품출납을 맡아 보았던 관청의 터. 1392년(태조1)에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설치하였다.
이문_터-종로구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이문 터(종로구) 이문은 조선시대에 마을의 방범과 방재를 위해 서울의 주요 골목 입구마다 설치한 문이다. 문 위에 다락이 있어 마을 주민들이 번갈아 올라가 도둑과 화재를 살폈다.
이문_터-중구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이문 터(중구) 이문은 조선시대에 마을의 방범과 방재를 위해 서울의 주요 골목 입구마다 설치한 문이다. 문 위에 다락이 있어 마을 주민들이 번갈아 올라가 도둑과 화재를 살폈다.
장악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장악원 터 음악의 편찬 교육 행정을 맡았던 조선왕조 관아 자리
장원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장원서 터 궁궐의 후원과 각지의 과수원을 관리하고 궁중과 여러 관아에 과일과 화초 등을 공급하던 관아 터
장흥고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장흥고 터 장흥고는 조선시대에 왕실이나 관청에서 쓰이는 돗자리, 종이 등을 공급하던 관청이다. 1392년(태조 1) 설치되었고 1894년(고종 31) 궁내부로 편입되었다.
전생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전생서 터 전생서는 궁중의 각종 제사 때 쓸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았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전옥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전옥서 터 조선시대에 죄인을 수감하였던 감옥으로 한말 항일의병들이 옥고를 치르기도 했던 곳
전의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전의감 터 조선시대 궁중에 쓰이는 의약을 제조하고 약재를 재배하던 관아 터. 조선말에 우정총국(郵征總局)이 들어섰다.
제생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제생원 터 조선초의 서민 의료기관 터. 극빈자의 치료와 미아의 보호를 맡았으나 세조때 혜민서에 병합되었다. 조선조말엽 이 터에 계동궁(桂洞宮)이 들어섰다.
제용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제용감 터 조선시대 궁중의 모시, 마포 등 옷감의 직조와 의복의 제조·공급을 담당하던 관청인 제용감(濟用監) 터
제중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제중원 터 제중원은 1885(고종 22)년 알렌(Allen)의 제의에 따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산하에 설립된 서양식 병원이다.
조지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조지서 조지서는 국가에서 사용하는 종이를 만드는 관청으로 1415년(태종 15) 조지소(造紙所)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가 1466년(세조 12) 조지서로 이름이 바뀌었다.
주교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주교사 터 주교사는 임금이 행차할 때 한강에 부교(浮橋)를 놓는 일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방의 조운(漕運)을 맡아보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주자소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주자소 터 이곳 주자동은 태종 3년(1403)부터 정조 24년(1800)까지 금속활자를 부어 만들던 곳
창회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창회정 터 이 언덕 위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정자로서 군사훈련을 사열(査閱)하는 곳으로도 사용되었음
총융청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총융청 터 총융청은 인조2년(1624)에 설치된 조선시대의 중앙 군영(軍營)이다.
탕춘대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탕춘대 터 탕춘대는 1506년 연산군이 세운 누대(樓臺)이다. 연산군은 경치가 좋은 이곳 일대를 연회장소로 삼고 시냇물이 내려다 보이는 바위위에 탕춘대를 지었다.
통례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통례원 터 통례원은 조선시대에 조정의 의례와 하례, 제사와 의식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평창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평창 터 조선후기 서울 북쪽의 방어를 위한 총융청(摠戎廳)의 군량창고가 있던 곳
한성부_남부관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한성부 남부관아 터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남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한성부_동부관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한성부 동부관아 터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동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한성부_북부관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한성부 북부관아 터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북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한성부_서부관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한성부 서부관아 터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서쪽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한성부_중부관아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한성부 중부관아 터 조선시대 5백여년간 서울 중부지역의 주민행정을 담당하던 관아 터
혜민서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혜민서 터 조선시대 서민 진료, 의약 관리, 의녀 (醫女) 교습 등을 담당한 국립의료기관인 혜민서가 있던 곳. 1466(세조12)년에 설치되어 1882(고종19)년에 폐지되었다.
화기도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화기도감 터 조선시대에 총포를 만들었던 터.
훈련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관아 훈련원(訓練院) 터 태조 1년(1392)~고종 31년(1894) 군사의 무예훈련 방법교습 및 무과 과거시험 등을 맡아보던 관아 자리
3.1운동기념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3.1운동기념터 1919년 3·1운동 당시 시민, 학생 수천명이 모여 제2차 독립만세 시위 운동을 전개했던 곳.
경성궤도회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경성궤도회사 터 1930년부터 1961년까지 뚝섬과 광나루까지 경성 궤도회사가 경영하던 궤도전차가 운행하던 시발지. 이 협궤전차는 승객 및 물자 수송, 교외 나들이의 중요한 교통시설이었다.
국도극장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국도극장 터 국도극장은 1936년 11월에 동양풍(東洋風)을 가미한 르네상스식의 황금좌(黃金座)로 개관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_서울연통부지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대한민국임시정부 서울연통부지 이곳은 서울 시청과 비슷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직할의 서울聯通府가 자리잡고 있었던 터이다. 1919년 3?
동양극장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동양극장 터 1935년 우리나라 최초의 연극 전용 극장으로 문을 연 동양극장이 있던 곳이다.
별기군훈련소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별기군훈련소 터 조선 말 고종 18년(1881)에 설치된 신식 군대인 별기군(別技軍)이 훈련받던 곳.
서북학회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서북학회 터 서북학회는 대한제국 시대인 1908년에 국권 회복 운동을 위하여 평안도·함경도·황해도민이 조직한 애국 계몽 단체였다.
서울대학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서울대학교 터 1946년 8월4일 국립 서울대학교로 발족, 1975년 3월 관악산(冠岳山) 기슭으로 이전되었다.
성동역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성동역 터 성동역은 일제강점기 1939년 7월 25일 경춘철도회사가 부설한 사설철도(私設鐵道)인 경춘선의 출발역이었다.
세창서관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세창서관 터 세창서관은 출판사 겸 서점으로 1920년대에 신태삼(申泰三)이 설립하였다.
손탁호텔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손탁호텔 터 한말에 러시아에서 온 손탁(孫鐸, Miss Sontag)이 호텔을 건립, 내외국인의 사교장으로 쓰던 곳
수진측량학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수진측량학교 터 개화사상가 유길준(兪吉濬)이 수진궁(壽進宮)을 빌려 측량전문교육기관(1908~1909)을 세웠던 곳.
우미관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우미관 터 우미관은 우리 나라에 영화문화가 들어온 초창기인 1912년에 개관되어 단성사(團成社)·조선극장(朝鮮劇場)과 더불어 사랑받던 영화관이다.
원각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원각사 터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세워진 극장 원각사가 있었던 곳. 1909년 이인직(李人稙 1882~1916)의 설중매, 은세계 등이 공연되었음.
은성주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은성주점 터 이 곳에서 약 10m 앞에는 1960년대 소설가이자 언론인 이봉구(1915~1983)와 변영로, 박인환, 전혜린, 임만섭 등 문화예술인들이 모였던 주점 터이다.
전차_차고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전차 차고 터 1899년부터 1968년까지 전차 종점으로 차고가 있던 곳. 또한 종로행이나 청량리 행 손님이 전차를 갈아타기도 하였다.
조선광문회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조선광문회 터 조선광문회는 1910년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이 설립한 단체로 신문화(新文化)의 요람이자 나라를 잃은 지식인의 사랑방 구실을 하던 곳이다.
한국통감부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한국통감부·조선총독부 터 일제가 을사늑약에 따라 1906년에 설치한 한국통감부 터이다. 이토 히로부미 등이 통감으로 부임하여 이곳에서 대한제국의 주권을 탈취하는 공작을 폈다.
한성도서주식회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한성도서주식회사 터 1920년 창설되어 1957년까지 존속한 출판사
한양의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근대유산 한양의원 터 우리나라 근대 초창기의 양의로 한성의사회 회장과 조선의사협회 초대 간사장을 역임한 박계양(朴啓陽)이 운영하던 병원터.
노강서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서원/향교 노강서원 터 인현왕후 폐위에 반대하다가 혹독한 국문(鞠問)을 받고 진도로 유배 도중 사망한 박태보(朴泰輔, 1654~1689)를 배향한 서원
사충서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서원/향교 사충서원 터 경종을 폐하고 연잉군(후의 영조)을 왕위에 올리려 했다는 의심을 받아 1722년(경종 2) 사형된 노론 4대신 김창집, 이이명, 조태채, 이건명을 배향한 서원
시흥향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서원/향교 시흥향교 터 조선시대에 공자(孔子)등 성현을 봉안하고 유생들을 교육하던 곳으로 1944년 일제가 과천향교(果川鄕校)에 통합시켰음
낙천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낙천정 터 태종(太宗)이 왕위를 세종(世宗)에게 물려주고 지은 ‘이궁(離宮) 낙천정(樂天亭)’이 있던 곳이다.
연희궁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연희궁 터· 서잠실 터 연희궁은 조선 초기에 지은 이궁(離宮)의 하나이다. 1420년 세종이 부왕인 태종을 위해 고쳐지었으며, 세종 자신도 1426년에 이 곳에 잠시 머물렀다.
용동궁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용동궁 터 조선조 명종의 장남 순회세자(順懷世子)가 책봉을 받았으나 13세에 세상을 떠나 세자빈의 속궁(屬宮)이 되었다.
의령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의령원 터 의령원은 영조의 세손 의소(懿昭)의 묘원(墓園)이다. 의소는 영조 26년(1750) 사도세자의 장자로 태어나 세손으로 책봉되고 다음 해 죽어 이곳에 장사되었다.
인명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인명원 터 인명원은 조선후기 정조의 후궁인 원빈(元嬪) 홍씨(洪氏)의 묘소이다. 1950년 6월 13일 서삼릉(西三陵) 내의 귀인·숙의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죽동궁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죽동궁 터 죽동궁은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와 그 남편 김현근이 거주하던 곳이다.
휘경원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휘경원 터 휘경원은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생모인 수빈(綏嬪) 박씨(1770~1822)의 무덤이다.
흥선대원군_별장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왕실유적 흥선대원군 별장 터 고종의 생부 흥선대원군이 지은 별장 터. 현재는 철거되었으나 1985년까지 서울 대가(大家)의 전형적인 정원과 담장이 특유의 아름다움을 간직했었다.
강희맹_살던_곳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강희맹 살던 곳 조선 초 문인화가로 좌찬성을 지낸 강희맹(1424~1483)이 살면서 농업 전반에 관한 금양잡록(衿陽雜錄)을 저술하던 곳
강희맹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강희맹 집 터 조선 초기 서화에 능한 명신(名臣)인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이 거처하던 집터
권율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권율 도원수 집 터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거둔 도원수 권율(1537~1599) 장군 집터
김상용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김상용 집 터 조선 16대 임금 인조 때 재상을 지낸 김상용(1561~1637)이 살던 집터이다.
김상헌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김상헌 집 터 이 일대는 병자호란 당시 화의(和議)를 반대했던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집이 있던 곳으로, 그 후 안동(安東) 김씨가의 세거지(勢居地)가 되었다.
김옥균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김옥균 집 터 조선말 개화파의 지도자인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이 거처하며 갑신정변을 논의하던 집 터(종로구 화동 260번지)
남이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남이장군 집 터 조선조 세조 때 북방개척에 무공(武功)을 세워 이름을 떨쳤던 남이장군의 집터
담담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담담정 터 담담정은 조선 초에 안평대군이 지은 정자였으나 세조 때 신숙주(申叔舟:1417~1475)의 별장이 되었다.
맹사성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맹사성 집 터 조선 초 세종 때 정승을 지낸 정맥리가 살던 집터. 그의 이름을 따서 맹감사현(峴), 맹현(孟峴)이라고 하며, 퇴청하면 이곳에서 피리를 불기를 즐겨했다.
민영환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민영환 집 터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이에 분격하여 자결한 충정공(忠正公) 민영환 집 터(조계사 경내)
박규수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박규수 선생 집 터 조선조 말 근대화를 주장한 우의정(右議政) 환재(瓛齋) 박규수(1807~1876)선생 집터
박세채_살던_곳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박세채정승 살던 곳 박세채(1631~1695)는 조선후기 숙종 때 우의정, 좌의정을 지낸 관리이며, 유학자로 소론(少論)의 대표가 되었다.
박인환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박인환 선생 집 터 이 곳은 모더니즘 시인 박인환(1926~1956)이 1948년부터 1956년까지 거주하며 창작활동을 하였던 장소이다.
박팽년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박팽년 집 터 조선 세종 때 한글 창제에 공을 세운 집현전 학사로 유명하였던 박팽년(1417~1456)이 살던 집터.
백련사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백련사 터 백련사는 조선말 시(詩), 서(書), 화(畵) 삼절(三絶)로 이름났던 김유근(1785~1840)의 집이다.
백록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백록정 터 조선말 경기감사 심상훈(沈相薰)의 정자 터. 개화당 인사들이 이곳에 모여 갑신정변을 계획했던 곳인데 한적하고 주변 경관이 뛰어났었다.
상진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상진 집 터 조선 13대 임금 명종 때 한성부 판윤과 영의정을 지낸 상진(1493~1564)이 살던 집터이다. 청렴결백하였으며 덕성이 좋고 도량이 넓었다.
성삼문_살던_곳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성삼문 선생 살던 곳 태종 18년(1418) 태어나서 사육신의 한 분으로 세조 2년(1456) 순절한 성삼문(成三問)선생 살던 집이 이 부근(화동 23번지)에 있었다.
쌍호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쌍호정 터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1808-1890)의 생가에 있던 정자 터. 신정왕후는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빈(嬪)이자 헌종의 어머니로 고종 즉위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쌍회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쌍회정터 쌍회정은 조선조 선조 때의 문신 이항복(1556-1618)의 집 앞에 지어진 정자이다.
양성지_살던_곳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양성지 살던 곳 이 언저리는 조선초에 홍문관 대제학 등을 지낸 양성지가 살던 곳
어서각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어서각 터 어서각은 영조가 내려 준 어필을 봉안하기 위해 최규서(崔奎瑞, 1650~1735)가 자기 집 안에 지은 건물이다.
어유구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어유구 집 터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어유구(1675~1740)가 살던 집터이다.
옥호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옥호정 터 순조의 장인 영안부원군 김조순(金祖淳 1765~1832)의 제택 (第宅)인 옥호정이 있던 곳이다.
유성룡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유성룡 집 터 이곳 남부 낙선방(南部 樂善坊) 먹절골(墨寺洞)은 임진왜란때의 영의정 서애(西厓) 유성룡선생이 살던 곳
읍백당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읍백당 터 조선 후기 광해군 때 영의정 박승종(1562~1623)과 성균관 교리를 지낸 그의 차남 읍백당 자응(自凝)이 살던 집 터이다.
이덕형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이덕형선생집 터 한성부판윤과 영의정을 지낸 한음(漢陰) 이덕형(1561~1613)선생 집 터.
이집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둔촌 이집 선생 집 터 이집 선생(1327~1387)은 고려 말기의 학자·문인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호는 둔촌(遁村)이었다.
이회영_형제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이회영, 이시영 6형제 집 터 이회영(1867~1932)과 이시영(1869~1953)은 1910년 건영·석영·철영·호영 등 나머지 4형제와 함께 서간도에 신흥무관학교를 세워 독립군 지도자를 양성
전영택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전영택 집 터 목사이고 소설가이며 한국 신문학 운동의 개척자인 늘봄 전영택(1894~1968)이 살던 곳
정광필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정광필 집 터 정광필(1462-1538)은 조선 중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인물이다.
정도전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정도전 집 터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이 살던집 터. 후일 사복시(司僕寺)·제용감(濟用監)이 이 자리에 들어섰고 일제 때에는 수송국민학교(壽松國民學校)가 세워졌었다.
정철_나신_곳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정철 선생 나신 곳 이 언저리 장의동(壯義洞)은 가사문학의 대가 송강(松江) 정철 선생(1536~1593)이 태어난 곳
조광조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 정암(靜庵)조광조(1482-1519) 선생이 살던 한양골 집터(돈의동)
천일정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천일정 터 조선 성종 때 좌의정을 지낸 김국광(金國光)이 세운 정자로 이항복(李恒福)등이 별장으로 사용하던 곳
토정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토정 터 조선중기 저명한 역학자(易學者)였던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집터.
팔홍문_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팔홍문 터 팔홍문은 조선시대에 이지남(李至男, 1529~1577)과 그 아들 등 3대에 걸쳐 여덟 명이 충신·효자·열녀가 된 것을 기리기 위하여 나라에서 세워준 여덟 개 문이다.
현진건_집터 Place 시울시문화재표석 표석-인물유적 현진건 집 터 현진건(1900-1943)은 근대 문학 초기 단편소설의 양식을 개척하고 사실주의 문학의 기틀을 마련한 소설가이다.
고샬기상회 Place 시장 고샬기상회
남대문_시장 Place 시장 남대문 시장
남대문의_저자 Place 시장 남대문의 저자 남대문 시장의 전신
대창양행 Place 시장 대창양행
주지상회 Place 시장 주지상회
독일공사관 Place 외국공관 독일공사관
러시아공사관 Place 외국공관 러시아공사관
미국공사관 Place 외국공관 미국공사관 고종의 시의와 주한 미국공사 알렌이 근무한 미국 공사관
벨기에영사관 Place 외국공관 벨기에영사관
영국공사관 Place 외국공관 영국공사관
이탈리아영사관 Place 외국공관 이탈리아영사관
주미한국공사관 Place 외국공관 주미한국공사관 워싱턴, 최초의 해외 공관
프랑스공사관 Place 외국공관 프랑스공사관
남대문의_연못 Place 장소 남대문의 연못
대한제국_적전 Place 장소 대한제국 적전
손탁호텔 Place 장소 손탁호텔(孫澤호텔) 손탁호텔 孫澤호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583 서울 중구 정동에 있었던 대한제국기 서구식 호텔.
정동거리 Place 장소 정동거리
탑골공원 Place 장소 탑골공원
한양 Place 장소 한양(漢陽)
마조단 Place 제단 마조단(馬祖壇) 마조단 馬祖壇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마조단(馬祖壇) 마조(馬祖) 제사를 거행하던 제단.
북교단 Place 제단 북교단 北郊壇
사한단 Place 제단 사한단(司寒壇) 사한단 司寒壇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사한단(司寒壇) 사한(司寒) 제사를 거행하던 제단(祭壇).
산천단 Place 제단 산천단
선농단 Place 제단 선농단
선잠단 Place 제단 선잠단
여제단 Place 제단 여제단
우사단 Place 제단 우사단
장충단 Place 제단 장충단
조경단 Place 제단 조경단 단 제사
포제단 Place 제단 포제단
풍운뇌우단 Place 제단 풍운뇌우단 風雲雷雨壇
환구단 Place 제단 환구단
달성주택 Place 주택 달성주택 Tal Sung house 스크랜튼 부인 거처. 분쉬가 임대하여 사용.
벽수산장 Place 주택 벽수산장
앨버트_테일러_가옥 Place 주택
윤택영_가옥 Place 주택 윤택영 가옥
경기전 Place 진전 경기전 지방 진전 재사
목청전 Place 진전 목청전 지방 진전 재사
영희전 Place 진전 영희전 도성 진전 제사
준원전 Place 진전 준원전 지방 진전 재사
화령전 Place 진전 화령전 지방 진전 재사
대불호텔 Place 호텔 대불호텔 大佛호텔
스테이션_호텔 Place 호텔 스테이션 호텔 Station Hotel
조선철도호텔 Place 호텔 조선철도호텔 이화학당 구내의 병원, 1900년 초 동대문 부인 병원으로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