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상 제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de Description)
(Web Resource)
37번째 줄: 37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그림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 종묘제례자료실 || 제기 ||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1.jsp&pageNo=76040000&siteCd=JM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제기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005
 +
|-
 +
| 그림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종묘제례자료실 || 제기 ||   ||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1.jsp&pageNo=76040000&siteCd=JM
 
|-
 
|-
 
|}
 
|}

2022년 12월 1일 (목) 01:20 판

Definition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제사 음식을 올려놓는 제상(祭床)에서 가장 중요한 제기는 󰡔국조오례의서례󰡕 「제기도설」의 순서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변-두-보-궤-등-형-조-비-찬-찬반-작-점-멱-계이-조이-가이-황이-희준-상준-착준-호준-대준-산뢰-용작-세뢰-세-우정-양정-시정-부-확-비-난도-궤-의-연-준-잔-탁 등 39종이다. 재료와 규격, 모양, 색깔, 용도 등을 잘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제기를 소개하는 순서는 제상, 준소상, 전사청(신주), 신실 등으로 구분하여 정하였다. 제상 위에 놓이는 제기는 변부터 점까지이며, 준소상은 멱부터 용작까지, 신주는 우정부터 난도까지, 신실은 궤부터 연까지이다. 용작과 우정 사이의 세뢰와 세는 관세위에 놓이는 제기로서, 신실 밖의 공간이라는 측면에서는 준소상의 범주에 넣어도 좋을 듯하다. 마지막의 준과 잔, 탁은 속제에 사용하는 제기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제사상_제기 Concept 의례 종묘대제 제사상_제기(祭祀床_祭器) 제사상_제기 祭祀床_祭器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제사상_제기 2022:박지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종묘대제 종묘_제사상 hasPart
종묘대제 종묘_준소상 hasPart
종묘대제 전사청 hasPart
종묘대제 신실 hasPar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제기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005
그림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종묘제례자료실 제기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1.jsp&pageNo=76040000&siteCd=JM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 899515201X 단행본 종묘제례보존회, 『종묘 종묘제례』, 서울: 종묘제례보존회, 2005 https://www.nl.go.kr/NL/search/printMarcPop.do?viewKey=45621879&viewType=AH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