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상 제기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제사 음식을 올려놓는 제상(祭床)에서 가장 중요한 제기로는 󰡔국조오례의서례󰡕 「제기도설」의 순서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변-두-보-궤-등-형-조-비-찬-찬반-작-점-멱-계이-조이-가이-황이-희준-상준-착준-호준-대준-산뢰-용작-세뢰-세-우정-양정-시정-부-확-비-난도-궤-의-연-준-잔-탁 등 39종이 있는데. 재료와 규격, 모양, 색깔, 용도 등을 잘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제기를 소개하는 순서는 제상, 준소상, 신주, 신실 등으로 구분하여 정하였다. 제상 위에 놓이는 제기는 변부터 점까지이며, 준소상은 멱부터 용작까지, 신주는 우정부터 난도까지, 신실은 궤부터 연까지이다. 용작과 우정 사이의 세뢰와 세는 관세위에 놓이는 제기로서, 신실 밖의 공간이라는 측면에서는 준소상의 범주에 넣어도 좋을 듯하다. 마지막의 준과 잔, 탁은 속제에 사용하는 제기이다. 보궤는 형의 다음 줄의 3행과 4행에 각각 4개씩 놓인다. 보는 도稻(벼)와 량粱(수수)을 각각 2개에 담아 교차로 놓는다. 궤는 서黍(찰기장)와 직稷(메기장)을 각각 2개에 담아 교차로 놓는다. 이 음식들은 주식인 밥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고깃국인 등형 다음에 놓였다. 땅에서 자란 음의 산물이므로 짝수로 진설하였다. 등과 형은 각각 대갱과 형갱을 담는 일종의 국그릇이다. 제상 북쪽에서 1행과 2행의 변두 사이에 등과 형을 차례로 6개씩 놓았다. 조俎는 희생을 올려놓는 제기이다. 우성牛腥은 오른쪽의 변 다음 행에, 양성羊腥은 궤 다음 행의 가운데에, 시성豕腥은 왼쪽의 두 다음 행에 놓는다. 그리고 우숙牛熟과 양숙羊熟․시숙豕熟을 담은 소생갑을 5행의 왼쪽 끝의 두 옆에 놓는다. 그 옆에는 모혈반이 놓이고 그 반대편에는 간료등이 놓인다. 양성 앞에는 폐비幣篚가 놓이고, 그 앞 좌우에 향합과 향로가 자리한다. 제상 제일 앞줄에는 작爵 여섯이 놓이고, 그 왼쪽으로 축판이 있다. 작이 여섯인 것은 국왕과 왕비에게 올리는 3헌의 작이 차례로 놓이기 때문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제사상_제기 Concept 의례 종묘제례 제사상_제기(祭祀床_祭器) 제사상_제기 祭祀床_祭器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제사상_제기 2022:박지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종묘제례 종묘_제사상 hasPart
종묘제례 종묘_준소상 hasPart
종묘제례 전사청_제기 hasPart
종묘제례 신실 hasPart
종묘제례 신주 hasPar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제기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005
그림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종묘제례자료실 제기 https://jm.cha.go.kr/agapp/public/html/HtmlPage.do?pg=/jm/04/jm_01.jsp&pageNo=76040000&siteCd=JM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899515201X 단행본 종묘제례보존회, 『종묘 종묘제례』, 서울: 종묘제례보존회, 2005 https://www.nl.go.kr/NL/search/printMarcPop.do?viewKey=45621879&viewType=AH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