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문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mantic Data) |
(→Web Resource)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광문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124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광문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124 | ||
|- | |- | ||
− | | | + | | 참고 || 위키백과 || 국채보상운동 || || https://ko.wikipedia.org/wiki/국채보상운동 |
|- | |- | ||
− | |||
− | |||
|} | |} | ||
2021년 10월 28일 (목) 16:39 판
목차
Definition
광문사(廣文社). 조선 말기 대구에서 설립된 회사. 사장은 김광제(金光濟), 부사장은 서상돈(徐相敦)이었다. 1906년 6월부터 대한매일신보 대구 지사의 사무도 맡아서 신문의 구독신청·배부·수금업무를 취급하였다. 1907년 무렵 서상돈 등 회사 간부들은 국채를 상환하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게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을 느끼고 국채보상운동을 제안하였다. 담배를 끊어 절약한 담배 값을 모아 국채를 상환하자는 내용의 ‘국채보상취지서’를 발표하고 이를 적극 추진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문사 | Actor | 단체 | 광문사(廣文社) | 광문사 | 廣文社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광문사 | http://dh.aks.ac.kr/hanyang2/icon/encyKorea.pn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김광제 | 광문사 | administrates | 사장 | |
서상돈 | 광문사 | isMemberOf | 부사장 | |
광문사문회 | 광문사 | hasAffiliation | 사내의 단체. 대동광문회로 개칭 | |
광문사 | 대한매일신보_대구지사 | administrates | ||
국채보상운동 | 광문사 | isRelatedTo | ||
국채보상취지서 | 광문사 | isRelatedTo | ||
국채보상연합회의소 | 광문사 | isRelated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광문사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124 | |
참고 | 위키백과 | 국채보상운동 | https://ko.wikipedia.org/wiki/국채보상운동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엄태웅,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고소설연구』 29, 한국고소설학회, 2010. | KCI | |
논문 | 崔雲植, 「沈淸傳 異本考(Ⅲ)-活字本 沈淸傳의 書誌 및 特色과 系列-」, 『國際大學論文集』 10, 국제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82. | ||
논문 | 박용찬, 「근대계몽기 재전당서포와 광문사의 출판과 그 특징 연구」, 『영남학』 61,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재연구원, 2017. | KCI | |
논문 | 김형목, 「대구광문사의 문화계몽운동과 김광제 위상」, 『중앙사론』 44, 중앙사학연구소, 2016. | ||
논문 | 김상기, 「한말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와 이념」, 『충청문화연구』 10,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 2013. | ||
논문 | 咸苔英, 「『혈의 루』제2차 개작 연구 - 새 자료 동양서원본『牧丹峰』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57,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7. | ||
논문 | 정경재, 「3·1독립선언서의 진본 확정을 위한 국어학적 고찰 - 보성사판과 신문관판을 대상으로 -」, 『진단학보』 136, 진단학회, 2021. | ||
논문 | 이경현, 「1910년대 新文館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3. | ||
논문 | 최준, 「국채보상운동과 프레스캠페인」, 『백산학보』 3, 백산학회, 1967. | ||
논문 | , 「」, 『』 , , . | ||
논문 | , 「」, 『』 , , . | ||
논문 | , 「」, 『』 , , . | ||
논문 | , 「」, 『』 , , . | ||
단행본 |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단재 신채호 전집 제4권 전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 ||
단행본 | 김형목, 『김광제 나랏빚 청산이 독립국가 건설이다』, 도서출판선인, 2012. | ||
단행본 | 조한성, 『만세열전 - 3.1운동의 기획자들·전달자들·실행자들』, 생각정원, 2019. | ||
단행본 | 권두연, 『신문관의 출판 기획과 문화운동』,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6. | ||
단행본 | 류시현, 『최남선 연구 -제국의 근대와 식민지의 문화』, 역사비평사, 2009. | ||
단행본 | 구대열, 『제국주의와 언론』, 이화여대출판부, 1986.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