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우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eb Resource) |
(→Bibliography)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반우거返虞車는 국장國葬 때 능에서 만든 우주虞主를 실고 돌아올 때 사용하는 수레이다. 『國朝五禮序例』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에도 반우거의 그림이 있다. 국장에서 재궁을 능에 안장하면 능 곁의 길유궁吉帷宮에서 미리 준비한 우주목에 선왕 또는 선비의 시호와 묘호를 적어 우주를 만든다. 그리고 이 우주를 반우거라는 수레에 실고 궁으로 돌아온다. 반우거는 혼백거魂帛車와 동일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달리 이름을 붙였다. 발인 때에는 빈전에 모셔두었던 혼백을 수레에 실고 능으로 가는데 이때에는 혼백거라고 하였다. 혼백거에는 혼백을 앞쪽에 두고 우주궤虞主櫃를 그 뒤에 둔다. 반면 우주를 만들어 돌아올 때에는 우주를 앞에 두고 혼백함을 뒤에 둔다. 반우거는 유거柳車와 같이 바퀴가 있어 끌고 가는 수레이다. 수레 위에 장자障子를 둘러 벽을 만들고 그 위에 지붕을 씌운 모양이다. 지붕의 처마 부분에는 운두雲頭를 내고 아청색鵝靑色의 저사紵絲로 덮었다. 그리고 홍색, 녹색. 흑색의 저사로 발과 낙영落纓을 만들어 드리웠다. 사면四面 중 앞쪽에 문을 달았으며 사방 외벽에 모란꽃이 그려진 주렴朱簾을 드리우고 난간闌干을 설치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바퀴가 달리 수레를 사용하였지만 곧바로 가마로 변경되었다. 그리하여 혼백거와 반우거는 가마꾼이 어깨에 메는 혼백연魂帛輦과 반우연返虞輦으로 바뀐다. 반우 때 반우거나 반우연은 유문帷門이나 궁궐 문 밖에서 사용하고 문 안쪽에서는 반우여返虞輿를 사용하였다.<ref>[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반우거返虞車,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ref> | |
−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23번째 줄: | 21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 | + | | [[반우거]] || [[거-車]] || [[Type]] || || |
|- | |- | ||
− | | [[ | + | | [[반우거]] || [[발인]] || [[isRelatedTo]] || || |
|- | |- | ||
− | | [[ | + | | [[반우거]] || [[혼백거]] || [[isSameAs]] || || |
|- | |- | ||
− | | [[ | + | | [[반우거]] || [[우주]] || [[goesWith]] || || |
|- | |- | ||
− | | [[ | + | | [[혼백거]] || [[혼백]] || [[goesWit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번째 줄: | 40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 +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 반우거(返虞車)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826&docId=91211&categoryId=41826 |
|- | |- | ||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반우거返虞車 ||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반우거返虞車 ||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 ||
|- | |- | ||
−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반우거(返虞車)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반우거(返虞車) | |
− | |||
−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 ||
|- | |- | ||
|} | |} | ||
79번째 줄: | 55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논문 || | + | | 논문 ||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 |
|- | |- | ||
|} | |} |
2021년 10월 19일 (화) 06:57 기준 최신판
목차
Definition
반우거返虞車는 국장國葬 때 능에서 만든 우주虞主를 실고 돌아올 때 사용하는 수레이다. 『國朝五禮序例』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에도 반우거의 그림이 있다. 국장에서 재궁을 능에 안장하면 능 곁의 길유궁吉帷宮에서 미리 준비한 우주목에 선왕 또는 선비의 시호와 묘호를 적어 우주를 만든다. 그리고 이 우주를 반우거라는 수레에 실고 궁으로 돌아온다. 반우거는 혼백거魂帛車와 동일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달리 이름을 붙였다. 발인 때에는 빈전에 모셔두었던 혼백을 수레에 실고 능으로 가는데 이때에는 혼백거라고 하였다. 혼백거에는 혼백을 앞쪽에 두고 우주궤虞主櫃를 그 뒤에 둔다. 반면 우주를 만들어 돌아올 때에는 우주를 앞에 두고 혼백함을 뒤에 둔다. 반우거는 유거柳車와 같이 바퀴가 있어 끌고 가는 수레이다. 수레 위에 장자障子를 둘러 벽을 만들고 그 위에 지붕을 씌운 모양이다. 지붕의 처마 부분에는 운두雲頭를 내고 아청색鵝靑色의 저사紵絲로 덮었다. 그리고 홍색, 녹색. 흑색의 저사로 발과 낙영落纓을 만들어 드리웠다. 사면四面 중 앞쪽에 문을 달았으며 사방 외벽에 모란꽃이 그려진 주렴朱簾을 드리우고 난간闌干을 설치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바퀴가 달리 수레를 사용하였지만 곧바로 가마로 변경되었다. 그리하여 혼백거와 반우거는 가마꾼이 어깨에 메는 혼백연魂帛輦과 반우연返虞輦으로 바뀐다. 반우 때 반우거나 반우연은 유문帷門이나 궁궐 문 밖에서 사용하고 문 안쪽에서는 반우여返虞輿를 사용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반우거 | Object | 물품 | 반우거(返虞車) | 반우거 | 返虞車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반우거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반우거 | 거-車 | Type | ||
반우거 | 발인 | isRelatedTo | ||
반우거 | 혼백거 | isSameAs | ||
반우거 | 우주 | goesWith | ||
혼백거 | 혼백 | goesWith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 반우거(返虞車)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826&docId=91211&categoryId=41826 |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반우거返虞車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반우거(返虞車)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반우거(返虞車)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