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미수호통상조약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882년 5월 22일】.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1882년(고종 19) 조선과 미국 간에 체결된 통상협정조약. 미국은 1878년 상원의원 사전트(Sargent, A.A.)가 조선개항의 필요성을 주장함에 따라 대한포함외교정책을 지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교섭을 벌이기 시작했다. 조선에서는 영선사(領選使) 김윤식(金允植)이 이홍장을 만나 조미수호통상조약 교섭의 전권을 위임하였다. 이홍장은 속국조항의 명문화를 고집하였으나 슈펠트의 강력한 반대로 별도조회문(別途照會文)에서 이를 밝히기로 하고, 1882년 5월 22일 제물포 화도진에서 조선 전권대신 신헌(申櫶)과 미국 전권공사 슈펠트 사이에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다른 조약에 비해 불평등이 배제된 주권 독립국가간의 최초의 쌍무적 협약이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조미수호통상조약 Event 사건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조미수호통상조약 朝美修好通商條約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조미수호통상조약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제너럴셔먼호사건 거문도 happenedAt
로버트_윌리엄_슈펠트 조미수호통상조약 administrates Shufeldt, R.W.
사전트 조미수호통상조약 contributor Sargent, A.A. 상원의원으로 조선 개항 필요성 주장
이홍장_연미론 조미수호통상조약 contributor
신헌 조미수호통상조약 administrates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미조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767
해설 위키백과 조미수호통상조약 https://ko.wikipedia.org/wiki/조미_수호_통상_조약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최덕규, 「미국 해군제독 슈펠트와 조미수교(朝美修交) -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중심으로(1880-1882)」, 『군사』 11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0. KCI
논문 김정호,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정치외교사적 의의에 대한 재조명」,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8-2,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9. KCI
논문 한승훈,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 당시 미국의 ‘공평함’이 갖는 함의 - 조선의 관세자주권 확보 시도와 좌절을 중심으로 -」, 『전북사학』 52, 전북사학회, 2018. KCI
논문 양홍석, 「개항기(1876-1910) 미국의 치외법권 적용논리와 한국의 대응」, 『한국근현대사연구』 39,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 KCI
논문 강석희, 「조미수호통상조약은 예속적이며 불평등적인 조약」, 『력사과학』, 1982.
논문 최태진, 「1882년 ‘조미수호 통상조약’의 침략적 본질」, 『력사과학』, 1960.
논문 김정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과 이권 침탈」, 『역사비평』 17, 역사문제연구소, 1992.
단행본 최덕수ㆍ김소영ㆍ성숙경ㆍ한승훈ㆍ김지형,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열린책들, 2010.
단행본 강명숙 외, 『서양인이 만든 근대 전기 한국 이미지 Ⅲ -침탈 그리고 전쟁』, 청년사, 2009.
단행본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近代韓國外交文書 제4권 - 조미수호통상조약』, 동북아역사재단, 2012.
단행본 김원모, 『근대한미교섭사』, 홍성사, 1979.
단행본 박일근, 『미국의 개국정책과 한미외교관계』, 일조각, 1981.
단행본 김원모, 『한미수교백년사』, 한국방송사업단, 1982.
단행본 문일평, 『한미오십년사』, 탐구당, 2016.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