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잠단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정사항>11월 9일

  • 국회전자도서관 링크 MARC말고 다른식으로 넣어주세요.
  • 제가 contextual relations 중 선잠제-선잠단이 goes with로 되어있어서 is performed at으로 바꾸었습니다. goes with는 물품간 수반관계를 나타낼 때 쓰는 관계어입니다.(예:외궤 - 내함) 앞으로 작성하실 때 주의부탁드립니다.

Definition

누에농사의 풍년을 빌기위해 누에치기를 처음 시작했다는 서릉씨(西陵氏)에게 제사지내는 제단이다. 1471년(성종 2)에는 뽕나무가 잘 크고 살찐 고치로 좋은 실을 얻게 하여 달라는 기원을 드리고자 동소문(東小門:惠化門) 밖에 선잠단을 지었다. 선잠단은 단 주위에 낮은 담인 유를 쌓았고, 유 바깥쪽에 다시 담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선잠단의 담은 가축들이 단의 흙을 망가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었고, 유는 담안쪽, 제단 주위에 쌓은 낮은 담으로 제례를 행할 때 성계와 속계를 나누어주는 관념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단에는 대를 모으고 중국 황제(黃帝)의 왕비인 잠신(蠶神) 서릉씨(西陵氏)의 신위(神位)를 배향(配享)하였다. 1908년(융희 2)에 선농단(先農壇)의 신위와 함께 사직단으로 옮겨 배향되면서 폐허화되었고 일제강점기에 민유화(民有化)되었다. 현재 선잠단은 주위에 선잠단지(先蠶壇址)라 표석을 세워 사적 제83호로 보존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선잠단 Place 제단 왕실의례 선잠단(先蠶壇) 선잠단 先蠶壇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선잠단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선잠단 제단 type
선잠단 동소문 isNear
서릉씨 선잠단 isEnshrinedIn
선잠제 선잠단 isPerformedAt
선잠단지 선잠단 isSiteOf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선잠단(先蠶壇)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891
해설 위키실록사전 향선잠의(享先蠶儀)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향선잠의(享先蠶儀)
해설 두산백과 서울 선잠단지(先蠶壇址)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0782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장지연, 「조선시대 선농단과 선잠단의 실제 형태 고찰」,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사학보』(63), 2012.12, pp.41~8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28224
논문 임혜련, 「조선시대 선잠제 정비와 시행 의미」, 한국사상문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77), 2015.03, pp.171~19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76716
일반도서 서울문화유산연구원 편, 『서울 선잠단지 유적 : 서울 선잠단지 복원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서울특별시 성북구, 2018. 국회전자도서관 https://na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201911507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