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1-001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덕수궁의 역사

Story

덕수궁은 대한제국시기 고종의 거처로 이용된 궁궐로, 본래 조선전기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집터였던 것을 임진왜란 이후 선조의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정릉동 행궁으로 불리다가 광해군 때에 경운궁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07년 황위를 양위 받은 순종이 고종의 장수를 빈다는 의미에서 덕수궁(德壽宮)이라 개칭하였다.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환궁한 1897년 이후 이곳은 대한제국의 정궁으로서 그 시대의 정치, 외교, 문화의 중심에 있는 곳이었다. 10년 동안 화재로 인한 소실과 재건을 거듭하기도 했던 이 황궁은 고종의 퇴위와 함께 정궁의 지위를 잃었고, 국권 침탈의 역사 속에서 국가와 역사 발전의 중심에서 멀어지고 말았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S4-001 Story Storyline 덕수궁의 역사 덕수궁의 역사 德壽宮의 歷史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1-001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S1-001 E1-001 hasPart 덕수궁의 탄생
S1-001 E1-002 hasPart 덕수궁을 거쳐간 임금들
S1-001 E1-003 hasPart 대한제국의 법궁 경운궁
S1-001 E1-004 hasPart 경운궁 대화재
S1-001 E1-005 hasPart 경운궁의 중건
S1-001 E1-006 hasPart 덕수궁 대안문이 대한문이 된 사연
S1-001 E1-007 hasPart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E1-001 E1-002 isPreviousInSequenceTo
E1-002 E1-003 isPreviousInSequenceTo
E1-003 E1-004 isPreviousInSequenceTo
E1-004 E1-005 isPreviousInSequenceTo
E1-005 E1-006 isPreviousInSequenceTo
E1-006 E1-007 isPreviousInSequence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위키실록사전 경운궁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운궁(慶運宮)
참고 위키백과 덕수궁 https://ko.wikipedia.org/wiki/덕수궁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덕수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361
원문 국립고궁박물관 > 조선왕조기록문화유산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https://www.gogung.go.kr/ancientBooksView.do?bbsSeq=6157&bizDiv=2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홍순민, 「광무연간 전후 경운궁의 조영 경위와 공간구조」, 『서울학연구』 40,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2010.
논문 이민원, 「일본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경운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2,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2004.
논문 이윤상, 「황제의 궁궐 경운궁」, 『서울학연구』 ,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2010.
단행본 『경운궁중건도감의궤』, , .
단행본 김순일, 『덕수궁(경운궁)』, 대원사, 1991.
단행본 문화재청, 『덕수궁복원정비기본계획』, 문화재청, 2005.
단행본 이민원, 『명성황후 시해와 아관파천』, 국학자료원, 2002.
단행본 小田省五, 『德壽宮史』, 이왕직, 193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