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1003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근대 출판사의 등장

Story

근대 출판사의 등장. 우리나라의 근대 출판은 1883년 정부에서 신문이나 도서를 출판하기 위해 박문국(博文局)을 설치하고 신식 연활자와 인쇄기계를 도입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박문국은 개화정책의 일환으로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1국으로 설치되었는데, 이것으로 보면 당시 근대화정책을 실시하려던 정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1884년에는 근대적인 민간출판사 광인사가 설립되어 『농정신편(農政新編)』(1885), 『만국정표(萬國政表)』(1885), 『농정촬요(農政撮要)』(1886) 등 계몽도서를 출판하였다. 1885년에는 배재학당 인쇄부가 설치되어 『성경』을 대량으로 출판하였으며, 1888년에 성서출판소가 설립되어 선교에 관한 도서를 출판하였다.1888년∼1910년 사이에는 광문사·박문사·신문관·보성사·휘문관 등의 인쇄소가 있었다. 이들 인쇄소는 대부분 출판도 겸하고 있어서 다양한 출판물을 간행하였다.또 근대적 출판은 신교육이 실시됨으로써 큰 진전을 보였다. 1895년에는 『만국약사(萬國略史)』등의 교과용 도서가 간행되었다. 언론기관에서도 국한문혼용문체를 채용하여 교육의 보편화와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추세의 영향으로 국문의 표기방법과 관련된 문법연구서가 출판되었다. 1907년에는 『혈의 누』·『미국독립사』·『이태리독립사』·『유년필독(幼年必讀)』 등, 1908년에는 『을지문덕』·『애국정신』·『귀의 성』·『금수회의록』 등이 출판되었다. 이 때의 출판자는 정부의 학부와 민간출판사, 교회 계통의 공익출판사와 각종 학회·기관·단체였다. 출판 경향은 계몽적 성격을 띤 것이었다. 1910년 일본의 지배하에 들어간 이후 우리나라의 출판은 1909년 2월에 법률 제6호로 공포된 ‘출판법’의 제재를 받게 되었다. 정치사상에 관한 도서출판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출판계에서는 검열 통과가 용이한 문학도서 출판이 성행하게 되었다.당시 민간출판사로는 신문관·회동서관·광학서포·박문서관·광문회 등이 있었다. 회동서관은 최찬식의 『추월색』, 지석영의 『자전석요(字典釋要)』 등 100여 종을, 신문관은 주시경의 『말의 소리』, 김두봉의 『조선말본』,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 등을 출판하였다. 이러한 출판사들은 우리 문화의 보존자·전파자로, 우리 민족의 대변자로서의 계몽적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0-1003 Story Episode 근대 출판사의 등장 근대 출판사의 등장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0-1003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0-1003 회동서관 isRelatedTo
E0-1003 광학서포 isRelatedTo
E0-1003 박문국 isRelatedTo
E0-1003 광문사 isRelatedTo
E0-1003 광인사 isRelatedTo
E0-1003 중앙서관 isRelatedTo
E0-1003 보성사 isRelatedTo
E0-1003 박문서관 isRelatedTo
E0-1003 배재학당_인쇄부 isRelatedTo
E0-1003 성서출판소 isRelatedTo
E0-1003 가톨릭출판사 isRelatedTo
E0-1003 박문사 isRelatedTo
E0-1003 신문관 isRelatedTo
E0-1003 휘문관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출판(出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8089
참고 위키백과 가톨릭출판사 https://ko.wikipedia.org/wiki/가톨릭출판사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광학서포(廣學書鋪)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328
참고 위키실록사전 광인사(廣印社)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인사(廣印社)
참고 위키백과 광인사 https://ko.wikipedia.org/wiki/광인사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엄태웅,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고소설연구』 29, 한국고소설학회, 2010. KCI
논문 崔雲植, 「沈淸傳 異本考(Ⅲ)-活字本 沈淸傳의 書誌 및 特色과 系列-」, 『國際大學論文集』 10, 국제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82.
논문 박용찬, 「근대계몽기 재전당서포와 광문사의 출판과 그 특징 연구」, 『영남학』 61,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재연구원, 2017. KCI
논문 김형목, 「대구광문사의 문화계몽운동과 김광제 위상」, 『중앙사론』 44, 중앙사학연구소, 2016.
논문 김상기, 「한말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와 이념」, 『충청문화연구』 10,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 2013.
논문 咸苔英, 「『혈의 루』제2차 개작 연구 - 새 자료 동양서원본『牧丹峰』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57,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7.
논문 정경재, 「3·1독립선언서의 진본 확정을 위한 국어학적 고찰 - 보성사판과 신문관판을 대상으로 -」, 『진단학보』 136, 진단학회, 2021.
논문 이경현, 「1910년대 新文館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3.
논문 김봉희, 「개화기 지식보급의 확대와 출판·인쇄의 기능」, 『성곡논총』 27-3, 성곡학술문화재단, 1996.
논문 이종국, 「韓國의 近代 印刷出版文化 硏究; 新書籍과 그 印刷出版 認識을 중심으로」, 『印刷出版文化의 起源과 發達에 관한 硏究論文集』, 청주고인쇄박물관, 1996.
단행본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단재 신채호 전집 제4권 전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단행본 김형목, 『김광제 나랏빚 청산이 독립국가 건설이다』, 도서출판선인, 2012.
단행본 조한성, 『만세열전 - 3.1운동의 기획자들·전달자들·실행자들』, 생각정원, 2019.
단행본 권두연, 『신문관의 출판 기획과 문화운동』,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6.
단행본 류시현, 『최남선 연구 -제국의 근대와 식민지의 문화』, 역사비평사, 2009.
단행본 백운관·부길만, 『한국출판문화변천사-도서유통의 성립과 발전-』, 도서출판 타래, 1992.
단행본 박천홍, 『활자와 근대』, 너머북스, 201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