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왕의 곤룡포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조선시대 왕과 대한제국의 황태자가 상복(常服)으로 착용한 곤룡포는 대홍색(大紅色)의 목이 둥근 단령(團領) 형태의 포(袍)이며, 가슴과 등, 양어깨에 발톱이 5개인 '오조원룡보(五爪圓龍補)'를 붙인다.[1][2]
18세기 왕의 곤룡포 모습은 1744년(영조 20)에 그려진 어진을 본떠 그린 〈영조 어진〉[3](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을 통해 참고해 볼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18세기_왕의_곤룡포 Clothing 복식 18세기 왕의 곤룡포(衮龍袍) 18세기 왕의 곤룡포 衮龍袍 18th Century King Gorlyongpo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8세기_왕의_곤룡포 2022:김현승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18세기_왕의_곤룡포
대표명칭 곤룡포
한자표기 袞龍袍
이칭/별칭 곤룡의(袞龍衣)
구분
착용신분 황태자, 왕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8세기_왕의_곤룡포 곤룡포 type
18세기_왕의_곤룡포 곤룡포-왕 isRelatedTo
18세기_왕의_곤룡포 3d-18세기_왕의_곤룡포 isShownBy
18세기_왕의_곤룡포 bib-18세기_왕의_곤룡포 bibliography
18세기_왕의_곤룡포 ref-18세기_왕의_곤룡포 onlineReferenc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박성실,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영조 곤룡포 재현품 사진 및 도식화(앞모습, 펼친모습, 뒷모습)
크기(㎝): 길이 141, 화장 120, 품 64, 고대 23, 소매너비 65.6, 수구 26
재료: 비단(Silk)
색상: 겉감 붉은색, 안감 남색, 동정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

※ 상세 사이즈(㎝)
길이: 141
화장: 120
품: 64
진동: 35
소매너비 65.5
수구: 26
고대: 23
깃너비: 5.5
고름길이: 77
흉배너비: 37

※ 설명: 겉감은 다홍색이고, 안감은 남색이며, 옷감 전체에 운보문이 있다. 가슴과 등, 양쪽 어깨에 금실로 직조된 ‘오조룡보’가 부착된다. 앞길의 무는 위로 삼각형 모양이 되고 뒷길의 무는 사각형이 되도록 만든 후 뒷길로 넘겨주어 매듭단추로 고정한다.










박성실,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뒷모습 완성모습: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가슴과 등에 붙이는 동그란 것을 ‘흉배’라 부른다. 완성품의 형태와 색상을 재현품 사진과 똑같이 제작하되, 뒷모습에서 흉배와 무는 이 도식화와 같이 무가 흉배 위를 살짝 덮는 모습으로 정리한다.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 영조어진(창덕6363)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오조룡보’는 둥근 모양의 천에 금실로 용이 수놓아지거나 직조된 것을 말한다. 용의 발톱 수는 5개이다. 용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양 어깨 ‘오조룡보’의 방향은 좌우반전이다. ‘오조룡보’ 원형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는 따로 없다. 3D 제작시 완성모습은 <영조어진>과 같이 한다.
보 크기: 37cm
바탕원단: 옷의 원단과 같음.
박성실,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단령 깃은 매듭단추로 여민다.
박성실,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겉고름 하나는 두가닥이라서 고름을 매었을 때 끈의 개수와 색상 주의한다. 고름을 매었을 때, 재현품 사진처럼 매어져야 하며, 색상도 참고하여 구현한다.



ARTBAVA > 전시목록 ☞ 조선의 옷매무새 Ⅵ 《의·문의 조선》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앞모습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Google Arts & Culture ☞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뒤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권우(1610-1675) 단령 재현품 뒷모습
겨드랑이 옆선 아래쪽에 달리는 직사각형 부분을 ‘무’ 라고 한다. ‘무’를 펼친 모습은 아래 사진과 같다. 단령의 뒷모습이다. ‘앞무’가 조금 더 크고 위로 뾰족하다. ‘뒷무’는 사다리꼴에 가깝다.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박성실,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3D로 제작할 옷의 ‘무’를 펼친 모습이다. 왼쪽의 ‘무’는 ‘뒷무’만 젖힌 모습이다.
Google Arts & Culture ☞ 심익창(1652~1725) 단령 뒷모습 중 ‘무’ 부분 확대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무’는 매듭단추를 달아 옷의 뒷면에 고정시켜준다.(빨간색 원으로 표시) 3D로 재현시 이런 ‘무’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뒷모습을 완성한다.
※ 이미지는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다.
Google Arts & Culture ☞ 의원군 이혁(1661-1722) 단령-직물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옷 전체에 ‘운보문’이 들어간다. 운보문은 구름과 보배무늬로 구성된다.
한국전통지식포탈 > 문화적창조기술 > 전통문양 ☞ 구름과 보배무늬-단령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구름과 보배무늬 일러스트. ai 파일 제공.
박성실,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8세기_왕의_곤룡포 references 착용모습
안에 겹쳐입는 옷의 개수가 많고 각각의 옷 크기가 크다. 따라서 3D로 구현할 때 마네킹의 몸매 실루엣이 드러나지 않도록 해준다. 재현시 참고자료에 보이는 허리띠나 모자, 신발 등은 구현하지 않는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곤룡포(袞龍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4150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곤룡포(衮龍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66
해설 두산백과 곤룡포[袞龍袍]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7349
해설 위키백과 곤룡포 https://ko.wikipedia.org/wiki/곤룡포
해설 위키실록사전 곤룡포(袞龍袍)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곤룡포(袞龍袍)
해설 AKS Encyves 곤룡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곤룡포
참고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영조어진 유물번호 창덕6363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634LJE
동영상 YouTube > 부산동구청 영조 대왕 곤룡포에 숨은 비밀! https://www.youtube.com/watch?v=n5amHCT8q3Q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28509058 단행본 박성실,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ISBN:9788971059319 단행본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RISS:T15329680 논문 송수진, 「조선시대 왕실 흉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RISS http://www.riss.kr/link?id=T15329680
RISS:T11397602 논문 최연주, 「조선시대 곤룡포의 착용례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RISS http://www.riss.kr/link?id=T11397602
KCI:ART001289661 논문 금종숙·고부자, 「조선시대 곤룡포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복식문화학회, 200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8966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70쪽.
  2. "곤룡포", 『AKS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3. "영조 어진", 『국립고궁박물관』online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