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원삼1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17세기 원삼은 깃을 비롯한 옆선, 소매 등 전체 형태에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상의원정을 거쳐 철원 부지사를 지낸 김확(1572-1633)의 부인인 동래정씨(1567-1631) 묘에서 출토된 원삼은 구름무늬 비단으로 만든 홑옷이다. 깃은 조선 전기의 남자 단령처럼 둥글지만 앞 중심에서 만나는 대금의 형태를 이룬다. 3쌍의 매듭단추로 여며 입었고 앞이 뒤보다 짧은 전단후장형태이며, 넓은 소매 끝에 좁은 한삼이 달려 있다. 진동 아래는 트여 있고, 이전 시기의 여성 단령에서 보이던 접힌 무는 없다.[1]


원삼은 대한제국 황후, 황태자비, 조선시대 왕비 이하 내명부, 외명부의 대례복이며, 민간에서도 혼례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삼은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고,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이다.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다.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되어 있다.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한다. 이러한 형태는 조선 전기 여성이 착용하던 단령(團領)에서 맞깃형태로 변화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하였다.

(삭제)15~16세기 유물에서 보면,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은 품을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했다. 남성 단령의 품이 대부분 50~70㎝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까지 품이 매우 넓다.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에 흉배가 부착되어 있고,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다.

17세기 초중반은 단령 형태의 원삼(여성 단령)이 대금형의 맞깃 형태로 변해가는 과정중에 있던 시기로,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겨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했고, 홑옷이며, 깃이 둥근 단령 깃에서 점점 마주보는 깃으로 변화되었다.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는 감소하였다.

17세기 후반~19세기에는 깃 모양이 마주보는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하였다.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리고, 밑단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면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이 대부분이다. [2]

+ 일반적인 것을 쓰고 그 다음 누구의 원삼을 참고하여 3D를 만들었는지 내용 적기. (원삼 1~3 동일한 수정작업)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17세기_원삼1 Clothing 복식 17세기 원삼1(圓衫) 17세기 원삼1 圓衫 17th Century Wonsam1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7세기_원삼1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7세기_원삼1 3D-17세기_원삼1 isShownBy
3D-17세기_원삼1 17세기_원삼1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Google Arts & Culture ☞ 김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 원삼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김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 원삼

재료: 비단(Silk)
색상: 전체 녹색, 선단 남색, 한삼 흰색, 매듭단추 자주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김현승 일러스트: 도식화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① 앞모습 도식화 및 사이즈
② 뒷모습 도식화
③, ④ 선단 도식화

상세 사이즈(㎝): 뒷길이 160, 앞길이 121, 화장 132, 품 60, 고대 22, 진동 34, 수구 65, 한삼 34×26.5, 깃 너비 4.5, 깃 파임 12.5

앞이 짧고 뒤가 길다. 겨드랑이 아래로 옷이 트여있다. 트임 시작지점은 진동 아래로 2㎝ 부터 이며, 그 지점에서 1.5㎝ 아래에 트임을 고정하는 자주색 매듭단추가 달려있다. 앞길, 뒷길 모두 밑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뒷길의 모서리는 둥글게 굴려준다. 옷 안쪽의 가장자리 둘레를 6㎝ 너비의 선단으로 둘러준다. 앞을 여미는 매듭단추는 입어서 오른편에 숫단추를 달고, 왼편에 암단추를 단다. 모두 3벌이다. 원단의 겉감은 녹색 운문단이고, 안쪽의 선단은 남색 꽃무늬 비단이다. 한삼은 무늬 없는 흰색 명주로 하고, 매듭단추는 자주색으로 한다. 옷 안쪽의 가장자리 둘레를 6㎝ 너비의 선단으로 둘러준다.(도식화에서 파란색으로 표시)






한국전통지식포탈 > 문화적창조기술 > 전통문양 ☞ 사계절꽃과 새무늬-이불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화조문 일러스트
선단은 이런 꽃무늬가 있는 직물로 표현한다.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겉감은 구름과 보배무늬가 있는 원단으로 표현한다.
한국전통지식포탈 > 문화적창조기술 > 전통문양 ☞ 구룸과 보배무늬-단령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운보문 일러스트
Google Arts & Culture ☞ 심익창 후배위 사천목씨(1657-1699) 원삼 복원품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사천목씨(1657-1699) 원삼 복원품

사천목씨 원삼 복원품의 색상을 참고하여 제작한다. 겉감의 녹색과 선단의 남색, 한삼의 흰색, 매듭단추의 (어두운)자주색을 사진처럼 한다.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김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 원삼 유물 앞 여밈 매듭단추, 옆선 매듭단추

앞을 여미는 매듭단추는 입어서 오른편에 숫단추를 달고, 왼편에 암단추를 단다. 모두 3벌이다. 진동 아래에 트임을 고정하는 매듭단추가 좌, 우 양쪽에 각 1벌씩 달려있다.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17세기 왕비 노의 복원품 착용모습

다른 옷이지만 착장했을 때 전체 실루엣을 참고할 수 있도록 첨부한다. 가장 겉옷이므로 3D 마네킹에 착장시 바디라인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3D-17세기_원삼1 references 착장시 실루엣을 위한 참고사진들과 설명:
이 복식을 착용하던 당시에는 속에 받쳐 입는 옷의 가짓수가 많았다. 현재 제작하는 3D 재현품은 몇 겹의 속옷과 저고리, 치마를 입고 그 위에 걸치는 외투이기 때문에 신체의 실루엣이 드러나지 않는다. 3D로 재현시 이 부분을 주의하여 가슴이나 허리 굴곡이 드러나지 않는 넉넉한 실루엣으로 표현해준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원삼(圓衫)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702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원삼(圓衫)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32
해설 두산백과 원삼[圓衫]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4407
해설 위키백과 원삼 https://ko.wikipedia.org/wiki/원삼
해설 위키실록사전 원삼(圓衫)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원삼(圓衫)
해설 AKS Encyves 원삼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원삼
참고 Google Arts & Culture 김확 부인 동래정씨(1567-1631) 원삼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원삼-圓衫/wAHbPiKAKE4f5A?hl=ko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28509737 단행본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 옷』, 민속원, 2016.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364715565&viewType=AH1
ISBN:8991580084 단행본 경기도박물관,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2007. https://musenet.ggcf.kr/reference/p/5ec20a6c6d435f1fd7326ab1
ISBN:8970923322 단행본 박성실·조효숙·이은주,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44287520&viewType=AH1
KCI:ART001748835 논문 임현주·조효숙, 「조선시대 원삼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63-2, 한국복식학회, 2013.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48835
RISS:T12793447 논문 임현주, 「조선시대 원삼의 유래와 변천과정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RISS http://www.riss.kr/link?id=T12793447
KCI:ART001190975 논문 송미경, 「17세기 전기 여자 염습의의 일례 -김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10-2, 한복문화학회, 200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90975
KCI:ART000916001 논문 이은주, 「17세기 동래 정씨 묘의 출토 복식」, 『복식』 53-4, 한국복식학회, 2003.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16001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경기도박물관, 2016, 110쪽.
  2. "원삼", 『AKS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