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남성 한삼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한삼은 손을 가리어 예禮를 갖추는 복식이다. 조선 초기까지는 속저고리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지만, 조선 후기에 저고리가 간소화되면서 분리하여 손목에 착용하였다. 예복의 수구단에 백색의 자락을 이어 붙여 한삼이라 칭하였다.[1]

+ (추가) 김흠조(생몰년) 출토 복식 중에 화장이 137.5cm인 옷이 출토되었다. (왕실 남성 복식 중에 '한삼'이 있는지? 확인)  이를 3D로 복원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16세기_남성_한삼 Clothing 복식 16세기 남성 한삼(汗衫) 16세기 남성 한삼 汗衫 16th Century Male Hansam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6세기_남성_한삼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6세기_남성_한삼 3D-16세기_남성_한삼 isShownBy
3D-16세기_남성_한삼 16세기_남성_한삼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3D-16세기_남성_한삼 references 김흠조(1461-1528) 복식 재현품과 도식, 착용모습

상세 사이즈(㎝): 길이 64, 화장 137.5, 품 56, 진동 39(삼각포함), 소매너비 26.5, 수구 25, 고대 19, 깃너비 17, 트임 시작점 9, 트임길이 13.5, 고름 36 x 3.5
재료: 비단(Silk)
색상: 백아이보리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옆트임이 있고, 소매가 긴 저고리이다.

의례용 복장을 할 때, 가장 안에 입는 옷이다. 소매가 굉장히 긴 옷이다. 착용모습 사진에서는 그 위에 저고리와 바지를 입고 있는 모습이다. 저고리 소매 아래로 나온 한삼의 소매 길이를 참고한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한삼(汗衫)",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