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현사궁은 제22대 국왕인 정조의 후궁이며 제23대 국왕인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의 신위를 모신 사당으로 1824년(순조 24) 현사궁에 별묘를 영건한 일을 기록한 의궤이다. 1820년(순조 20)에 수빈 박씨가 졸서(卒逝)하자 이듬해 그 신위를 창경궁 내 전각에 봉안하고 봉안된 곳을 현사궁(顯思宮)이라 불렀다. 그러나 왕이 된 순조의 사친 사묘를 궁에 두는 것은 전례가 없다고 하여 1824년(순조 24) 북부 광화방(廣化坊)에 있던 용호영(龍虎營) 터에 별묘(別廟)를 영건하고 그곳에 신위를 옮겨 모셨으며, 경우궁이라는 궁호를 내려 개명하였다. 이후 고종 33년에 북부옥동(北部玉洞)으로 이건(移建)되어 육상궁(毓祥宮)과 같이 향사(享祀)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Record 문헌 의궤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顯思宮別廟營建都監儀軌)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顯思宮別廟營建都監儀軌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수빈_박씨 mentions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사묘 isRelatedTo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경우궁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영건도감의궤(營建都監儀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188
해설 위키실록사전 경우궁(景祐宮)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우궁(景祐宮)
해설 나무위키 수빈 박씨 https://namu.wiki/w/수빈 박씨
해설 위키백과 칠궁 https://ko.wikipedia.org/wiki/칠궁
참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https://kyudb.snu.ac.kr/book/view.do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김경미,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경우궁도'에 관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44(1), 2011.03.30., pp.196-2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43470
논문 신승윤, 『조선 순조대 경우궁 조영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2.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DMT1201542076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