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음기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음파를 기록한 물체의 진동을 진동전류로 바꾸어 확성기를 통하여 소리를 재생하는 기구. 미국의 에디슨이 1877년 구리원통에 석박을 붙이고 회전시켜 음구(音溝)를 파서 녹음하고 바늘과 진동판으로 음을 재생하였다. 우리 나라에는 1899년 3월 13일자 ≪황성신문≫에 유성기(留聲機) 판매에 관한 기사가 나온 것이 최초 기록이다. 이 해 동짓달 조정에서는 일본에서 온 기술관을 초청하여 명창 박춘재(朴春載)의 <적벽가 赤壁歌> 한 가락을 취입하고 재생하니 고종은 “춘재 네 명이 10년은 감히○구나.”하여 당시의 유성기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다. 이 보다 앞선 1880년(고종 17) 대동강으로 들어온 프랑스신부가 평양감사에게 이를 보였으나 귀신의 소리라고 일축하였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1886년 충청남도 아산의 해미현감이 유태인 오페르트(Oppert,E.J.)가 타고 온 선상에서 연통식 유성기의 소리를 들었다고도 전한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축음기 Object 물품 근대 물품 축음기(蓄音機) 축음기 蓄音機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축음기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축음기 3D-축음기 isShownBy
3D-축음기 축음기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축음기(蓄音機)"(민속 40262), 국립민속박물관 3D-축음기 references
  • 재질 : 금속, 나무
  • 크기: 나팔 크기 길이 35, 너비 17
  • 유물번호 : 민속 40262
  • 소장: 국립민속박물관
  • 제작년도: 대한제국
  • Thomas Alva Edison사 제조. MODEL D. SERIAL NUMBER 766043. 나팔형으로 벌어진 스피커(길이 35, 너비 17.)와 원통형 실린더 레코드 받침으로 구성. 손잡이를 돌려 기계적으로 재생하는 방식. 나무로 만든 몸체의 한쪽 측면에 손잡이가 부착됨. 상단에 손잡이가 달린 뚜껑 있음.
  • 흠집이나 바램, 얼룩 없이 새것처럼 재현.
  • 뚜껑이 옆에 놓여져 있는 모습으로 제작(뚜껑 모습 아래 참고)
"축음기(蓄音機)"(민속 40262), 국립민속박물관 3D-축음기 references
"축음기(蓄音機)"(민속 40262), 국립민속박물관 3D-축음기 references
  • 다른 각도 사진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두산백과 축음기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2978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전기축음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9313
사진 e뮤지엄 > 국립민속박물관 축음기(蓄音機)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402620000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