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물포조약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882년 8월 30일】.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1882년(고종 19) 8월 30일(음력 7월 17일) 임오군란으로 빚어진 양국 간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조선과 일본 사이에 맺어진 조약. 임오군란 이후 청일 양군의 한성진주와 흥선대원군의 청국 납치 문제 등이 민씨정권의 재집권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이후 군란 뒤처리를 위한 조ㆍ청ㆍ일 3국의 절충 협의가 다각도로 벌어졌는데, 일본과 맺어진 제물포조약은 일본의 야심을 그대로 조문화한 불평등조약이다. 이때부터 조선은 자주국가로서의 위신과 체면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제물포조약 Event 사건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제물포조약 濟物浦條約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제물포조약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임오군란 제물포조약 isRelatedTo
하나부사 제물포조약 hasParticipant
이노우에 제물포조약 administrates
이유원 제물포조약 administrates
김홍집 제물포조약 hasParticipant
수호조규속약 제물포조약 isRelatedTo
박영효 제물포조약 isRelatedTo
김옥균 제물포조약 isRelatedTo
김만식 제물포조약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제물포조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277
해설 위키백과 제물포조약 https://ko.wikipedia.org/wiki/제물포조약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전경송, 「일본군국주의자들에 의한 《제물포조약》의 조작에 대한 고찰」, 『김일성종합대학학보(력사 법학)』 53(2), 평양, 2007.
논문 백종기, 「壬午軍亂을 에워싼 淸·日 兩國의 對韓政策에 관한 一管見」, 『대동문화연구』 1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2.
논문 田中直吉, 「壬午事變」, 『玄岩 申國柱博士 華甲紀念 韓國學論叢』,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5.
단행본 동북아역사재단, 『한일 조약 자료집(1876~1910)-근대외교로 포장된 침략』, 동북아역사재단, 2020.
단행본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近代韓國外交文書 제6, 7권 - 임오군란 1, 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단행본 최덕수ㆍ김소영ㆍ성숙경ㆍ한승훈ㆍ김지형,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열린책들, 2010.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