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터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정릉터(貞陵_터).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 강씨의 능이 있던 자리. 이 능은 1409년(태종 9) 지금의 정릉으로 옮겨지고, 능의 터는 월산대군 사저로 쓰이다가 임진왜란 때 의주에서 환궁한 선조가 행궁으로 사용하였다. 광해군이 처음으로 경운궁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인조반정 뒤에 인조가 경운궁 즉조당(卽祚堂)에서 즉위하였으며, 고종 이전까지 명례궁(明禮宮)이 자리하기도 했다. 고종은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경운궁을 정궁으로 삼았다. 1907년(융희 1)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에는 덕수궁(德壽宮)으로 개칭하였다. 경운궁의 북쪽 일부 터는 신헌을 거쳐 그의 아들 신석희대에 영국공사관에 매매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정릉터 Place 능묘터 정릉터(貞陵_터) 정릉터 貞陵_터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정릉터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정릉 신덕왕후강씨 isTombOf
신헌_가옥 정릉터 isSiteOf
신석희_가옥 정릉터 isSiteOf
영국공사관 정릉터 isSiteOf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0145
참고 위키백과 정릉 https://ko.wikipedia.org/wiki/정릉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남호현, 「정릉(貞陵) 이장과 광통교(廣通橋) 개수를 통해 본 조선 초기 지배 이데올로기의 대립」, 『문화재』90,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0296
논문 황정연, 「조선 태조비 神德王后 貞陵의 조성과 封陵 고찰」, 『서강인문논총』46,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37120
단행본 이순우, 『정동과 각국 공사관』, 하늘재, 2012.
단행본 이규원, 『조선왕릉실록』, 글로세움, 2012.
단행본 김정동,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발언, 2004.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