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목왕후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584~1632】본관은 연안(延安).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과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노씨의 딸이다. 1602년(선조 35) 15세의 나이로 선조의 계비가 되었으며, 1603년에 정명공주(貞明公主),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았다.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로 영창대군이 유배 되어 죽었고 본인은 폐위되어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 10년 후 1623년 3월 13일 밤 인조가 반정을 끝내고 즉위 승인을 요청해 왔다으나 즉시 응하지 않고 광해군에 대한 처벌을 확인받고 승인했다. 즉위식이 늦어지자 인조를 서궁에서 그대로 즉위하게 했다. 인조의 즉위가 창덕궁이 아닌 서궁에서 이루어진 것은 인목왕후의 대비권 행사로 인한 것이었다. 금강산유점사(楡岾寺)에 친필로 쓴 『보문경(普門經)』의 일부가 전하고, 인목왕후필적(仁穆王后筆跡) 첩(帖)이 남아 있다. 계축옥사와 서궁생활을 기록한『계축일기』가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인목왕후 Actor 인물 인목왕후(仁穆王后1584~1632) 인목왕후 仁穆王后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인목왕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조선_선조 인목왕후 hasWife
김제남 인목왕후 hasDaughter
광산부부인 노씨 인목왕후 hasDaughter
인목왕후 정명공주 hasDaughter
인목왕후 영창대군 hasSon
인목왕후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isWriterOf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목왕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881
해설 위키백과 인목왕후 https://ko.wikipedia.org/wiki/인목왕후
해설 두산백과 인목왕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6202&cid=40942&categoryId=33383
해설 문화원형백과 인목왕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3638&cid=50826&categoryId=50826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자료집 『선조수정실록』, 선조 35년 윤2월 24일이조 좌랑 김제남의 딸을 간택하여 왕비로 삼다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nb_13502124_004
자료집 『광해군일기』, 광해 9년 12월 11일 임인 폐비 문제와 남인, 서인 등의 숙청에 대한 유학 박몽준의 상소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ob_10912011_001
자료집 『인조실록』,인조 1년 3월 13일 의병을 일으켜 즉위하다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pa_10103013_001
단행본 지두환, 『광해군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단행본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