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소세손궁예장의궤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752년(영조 28) 3월에서 5월까지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맏아들인 의소세손(懿昭世孫, 1750 ~ 1753)을 의소묘(懿昭墓)에 매안한 뒤 신주[우주(虞主)]를 받들고 돌아와 혼궁인 창경궁의 강서원에 봉안하기까지‘예장도감’에서 담당한 일만을 기록한 의궤이다. 전체 불분권(不分卷) 상・하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은 없으나, 도청의궤(都廳儀軌), 시상(施賞), 별공작의궤(別工作儀軌)로 구분되고 각 실입질(實入秩)과 용환질(用還秩), 공구질(工匠秩)을 기록하였다. 의소세손이 훙서(薨逝)한 장소를 실록에서는 통명전(通明殿)이라 하였으나 의궤에는 숭문당(崇文堂)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와 함께 세손의 발인 행렬을 알 수 있는 반차도가 담긴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가 파리도서관에서 국내로 반환되어 2011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특별전으로 소개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의소세손궁예장의궤 Record 문헌 의궤 의소세손궁예장의궤(懿昭世孫宮禮葬儀軌) 의소세손궁예장의궤 懿昭世孫宮禮葬儀軌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의소세손궁예장의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의소세손궁예장의궤 의궤 type
의소세손궁예장의궤 의소세손 mentions
의소세손궁예장의궤 의령원 isRelatedTo
의소세손궁예장의궤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isSuccessorOf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예장도감(禮葬都監)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9482
해설 위키실록사전 의소묘(懿昭廟)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의소묘(懿昭廟)
해설 나무위키 의소세손 https://namu.wiki/w/의소세손
해설 위키백과 의소세자 https://ko.wikipedia.org/wiki/의소세자
해설 한국학디지털아카이브 의소세손궁예장의궤(懿昭世孫宮禮葬儀軌 解題) http://yoksa.aks.ac.kr/jsp/aa/HajeView.jsp?aa10up=kh2_je_a_vsu_22994_000&keywords=의소세손궁예장의궤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유네스코 등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上) https://www.heritage.go.kr/heri/mem/selectHaejeDetail.do?s_code1=00&s_code2=&s_code3=00&query=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참고 서울문화IN 외규장각 의궤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반차도 https://blog.naver.com/ostw/80132307255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이현진, 「영조대 의소세손(懿昭世孫)의 예장(禮葬)과 그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46), 2014.04, pp.167~22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74961
논문 김윤정, 「조선시대 예장도감의 성격과 역사적 추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8), 2017.10, pp.168~193.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0672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