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릉-溫陵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 제11대 국왕 중종의 첫 번째 부인이자 원비인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를 단릉형식으로 모신 왕비릉으로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다. 아버지 신수근(愼守勤)이 매부인 연산군을 위해 반정을 반대하다 성희안(成希顔)과 박원종(朴元宗) 등의 반정 추진파에 살해된 까닭에, 역적의 딸이라 하여 왕비가 된 지 7일 만에 폐위되었다. 1557년(명종 12) 12월 7일에 승하하여 양주 서산 장흥면에 있는 친정의 신가묘역에 안장되었다가, 세상을 떠난 지 182년이 지난 1739년(영조 15)에 왕후로 복위되었다. 능역은 기존 신씨의 묘를 왕비 능의 격에 맞게 규모와 석물을 갖추어 조성하였다. 봉릉(封陵) 이전의 묘소 상태를 기록한 『온릉봉릉도감의궤(溫陵封陵都監儀軌)』에 따르면, 봉분은 지름이 19자에 높이가 7자로 작았고, 석물은 석인 1쌍, 망주석 1쌍, 상석 1개, 장명등 1개로 단출했으며, 표석에는 ‘폐비신씨지묘(廢妃愼氏之墓)’라고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능으로 격상된 뒤에는 단종의 장릉(莊陵)을 예로 삼고, 죽은 후 왕비에 봉해진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인 사릉(思陵)과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神德王后)의 능인 정릉(貞陵)의 예에 따라 정비되었다. 능상의 지름은 영조척으로 25자, 높이는 9자로 하였고, 봉분 주위에는 곡장을 둘렀으며, 난간석이나 병풍석은 두지 않았다. 석물은 혼유석 1개, 장명등 1개, 문인석 1쌍과 마석(馬石) 2개, 망주석 1쌍, 양석(羊石)과 호석(虎石) 각 2개씩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 배치하였다. 능원 아래에는 정자각과 비각, 홍살문이 있으며, 비각 안에는 1807년(순조 7) 세운 비석이 보호되어 있다. 능 아래에는 재실이 있었으나 1970년 도로확장 때 없어졌다고 하며 온릉으로 들어가는 좌측에 새로 지어놓았다. 온릉은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10호로 지정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온릉-溫陵 Place 능묘 왕비릉 온릉(溫陵) 온릉 溫陵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온릉-溫陵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온릉-溫陵 단릉 type
온릉-溫陵 단경왕후 isTombOf
온릉-溫陵 온릉봉릉도감의궤 isMentionedIn
온릉-溫陵 정릉-靖陵 isRelatedTo 원비 단경왕후-중종
온릉-溫陵 태릉-泰陵 isRelatedTo 원비 단경왕후-제2계비 문정왕후
온릉-溫陵 희릉-禧陵 isRelatedTo 원비 단경왕후-제1계비 장경왕후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온릉(溫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8843
해설 위키실록사전 온릉(溫陵)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온릉(溫陵)
해설 위키백과 온릉 (조선) https://ko.wikipedia.org/wiki/온릉_(조선)
해설 두산백과 양주 온릉[楊洲 溫陵]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3271
해설 향토문화전자대전 양주 온릉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300615
참고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양주 온릉 온능 이야기>온릉 http://royaltombs.cha.go.kr/tombs/selectTombInfoList.do?tombseq=161&mn=RT_01_12_01
참고 네이버블러그 세계유산 조선왕릉-양주 온릉(溫陵) https://blog.naver.com/yangju619/222045803571
동영상 양주 온릉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deoView&MAS_IDX=101013000853271&VID_IDX=210601000016409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황정연, 「단경왕후 온릉을 통해 본 조선후기 봉릉(封陵)의 역사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논총』(53), 2013.4.30, pp.167-19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65073
논문 한희숙, 「중종비 폐비 신씨(愼氏)의 처지와 그 복위논의」, (사)한국인물사연구회, 『한국인물사연구』(7), 2007.03, pp.125~16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64192
단행본 한국문원 편집실, (문화유산)왕릉 : 왕릉 기행으로 엮은 조선왕조사, (주)한국문원, 1995 다음>책 https://search.daum.net/search?w=bookpage&bookId=1235005&tab=introduction&DA=LB2&q=한국문원왕릉
단행본 이규원, 조선왕릉실록, 글로세움, 2012 다음>책 https://search.daum.net/search?w=bookpage&bookId=4811930&tab=introduction&DA=LB2&q=조선왕릉실록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