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한문교육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년】. 여성 한문교육. 조선 시대에 여성의 한문교육은 상류층의 소수를 대상으로 사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일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19세기말 내한한 개신교 선교사들은 이화학당, 정동여학당, 배화학당 등의 여학교를 설립했으며, 한글 및 한문 교육을 위한 교재를 저술하여 여성 한문 교육의 영역을 확장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여성_한문교육 Concept 개념 여성 한문교육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여성_한문교육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311 여성_한문교육 hasPart
여성_한문교육 이화학당 happenedAt
여성_한문교육 정동여학당 happenedAt
찬양회 여성_한문교육 mentions
유몽천자 여성_한문교육 isRelatedTo
이경숙 여성_한문교육 participatesIn
신마리아 여성_한문교육 participates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이화100년사 편찬위, 『이화100년사』, 이화여대 출판부, 1994.
단행본 정신여학교사료연구위원회 편찬, 『장로회 최초의 여학교 선교편지』, 홍성사, 2014.
논문 이고은, 「근대 기독교선교 출판문화의 맥락에서 살펴본 여성의 글쓰기와 연대」, 『여성학논집』, 37-2, 한국여성연구원, 202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2396
논문 백두현,「조선 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 연구― 조선왕조실록 및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 『진단학보』97, 진단학회, 200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12039
논문 김무식,「조선조 여성의 문자생활과 한글편지 −한글편짓글에 반영된 조선조 여성의식과 문화(1)」, 『인문학논총』14-2,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53398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