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순도설輴圖說은 순輴을 그린 그림이다. 순輴은 국장의 발인發靷 때 빈전殯殿과 능소에서 재궁을 대여大輿가 있는 곳까지 옮기거나 능소 유문帷門에서 정자각까지 옮길 때에 사용하는 가마이다. 견여肩輿라고도 부른다. 순은 대여와 달리 소방상小方牀이 없고 횡목 사이에 윤축輪軸을 설치하여 내리고 올리는 데에 보다 용이하도록 만들었는데 이것은 짧은 거리에 재궁을 옮겨 실고 내리는 순의 기능에 맞춘 것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순-輴 Object 물품 순(輴)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순-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순-輴 발인 isRelatedTo
순-輴 견여 isSameAs
순-輴 재궁 goesWith
순-輴 고종_국장 isUsedIn
순-輴 명성황후_국장 isUsedIn
순-輴 순종_국장 isUsed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순도설輴圖說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712&category=A&sWord=輴
해설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순(輴)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순(輴)
해설 한국 기록유산 Encyves 견여 조선 중기까지는 순(輴)이라고 부르다 영조 대부터 견여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견여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조선왕실 관혼상제 발인 의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51731&cid=49381&categoryId=49381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사료 『춘관통고(春官通考)』
논문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논문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단행본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단행본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