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시대에 인재 양성을 위하여 한양에 설치한 유학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태학(太學)·반궁(泮宮)·현관(賢關)·근궁(芹宮)·수선지지(首善之地)라고도 하였다.'성균(成均)'은 성인재지미취(成人材之未就), 균풍속지부제(均風俗之不齊) 각각의 앞 글자들을 따온 것으로, '인재로서 아직 성취하지 못한 것을 이루고, 풍속으로써 가지런하지 못한 것을 고르게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전체 공간은 선현들의 제사를 주축으로 하는 제사 공간과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교육 공간으로 나뉜다. 전자의 중심은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文廟), 후자의 중심은 유학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이다. 성균관의 전신은 고려의 국자감인데, 조선 왕조는 이 명칭을 그대로 이어받아 사용하였다. 1395년(태조 4)부터 새 수도 한양에 건축 공사가 시작되어 3년 만에 문묘를 비롯하여 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정록소(正錄所)·식당·양현고(養賢庫) 등의 건물이 완성되었고, 1478년(성종 9)에는 도서관인 존경각(尊經閣)과 반수(泮水)도 갖추어졌다. 그러나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1년(선조 34)에 중건 공사를 시작한 후, 1606년(선조 39)까지 대성전·동무·서무의 문묘와 동재·서재·명륜당 등의 주요 건물이 다시 세워졌고, 1626년(인조 4)에 존경각·정록청·식당·양현고 등의 부속 건물도 중건되었다. 그리고 그 뒤에 비천당(丕闡堂)·일량재(一兩齋)·벽입재(闢入齋)·계성사(啓聖祠)·육일각(六一閣) 등의 새로운 시설이 건립되어 그 규모가 전보다 확대되었다. 성균관에 입학한 유생들은 동재와 서재에 나누어 기숙하면서 『대학』·『논어』·『맹자』·『중용』의 사서와 『예기』·『춘추』·『시전』·『서전』·『주역』의 오경을 비롯하여 『근사록 近思錄』·『성리대전 性理大全』·『통감 通監』·『좌전 左傳』·『송원절요 宋元節要』·『경국대전』·『동국정운』 등의 과목을 배웠으며, 이 밖에도 시(詩)·부(賦)·송(頌)·책(策)과 같은 글을 짓는 방법을 비롯하여 왕희지(王羲之)와 조맹부(趙孟頫)의 필법도 익히게 하였다. 매년 봄과 가을마다 유교의 성현들을 제사하는 석전제를 거행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성균관 Architecture 건축 유교건축 성균관(成均館) 성균관 成均館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성균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성균관 서울_문묘 isNear
성균관 성균관_명륜당 hasPart
성균관 성균관_동재 hasPart
성균관 성균관_서재 hasPart
석전제 성균관 isPerformedA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균관(成均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204
해설 위키실록사전 성균관(成均館)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성균관(成均館)
해설 나무위키 성균관 https://namu.wiki/w/성균관
해설 위키백과 성균관 https://ko.wikipedia.org/wiki/성균관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박소정, 「성균의 의미(Ⅱ) : “성균(成均)”과 “성균관(成均館)”의 관계」,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논집』(61), 2019.05, pp.89~117.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5693
단행본 서울특별시, 『성균관과 문묘의 세계유산적 가치』,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역사문화재과, 2016.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201770762
단행본 이상길 편저, 『성균관』 , 홍문관, 2012.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201315944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