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소리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선소리. 서울·경기 지역과 서도지방의 잡가 중 대여섯 사람이 둘러서서 서로 주고받으며 부르는 잡가. 앉아서 부르는 좌창(座唱)에 대한 말로, 입창(立唱)이라고도 한다. 연주형태는 한 사람이 장구를 메고 한두 장단을 메기면 소고(小鼓)를 쥔 4, 5명(또는 그 이상)이 일렬로 늘어서서 전진 또는 후퇴하며 발림춤을 추면서 제창으로 노래한다. 선소리패 혹은 사당패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이르러 선소리를 전문으로 하는 소리패인 뚝섬패·한강패·과천패·왕십리패 등이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많이 생겼으며, 평양으로도 퍼져나갔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선소리 Concept 음악 선소리 선소리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선소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선소리 전통음악 isPartOf
잡가 선소리 includes
선소리 입창 plays 立唱
선소리패 사당패 isRelatedTo
허득선 선소리 isMadeOf
임방울 선소리 isMadeOf
산타령 선소리 hasAffiliatio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선소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777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선소리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270
해설 위키백과 선소리 https://ko.wikipedia.org/wiki/선소리
참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경기선소리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163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선소리산타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778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한만영, 「산타령에 관한 연구」, 『음대학보』 5, 서울대 음대학생회, 1971.
논문 성경린, 「서울의 俗歌」, 『향토서울』 2,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58.
단행본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단행본 장사훈, 한만영, 『국악개론』, 한국국악학회, 1975.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선소리산타령』, 민속원, 2008.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