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릉-德陵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고조부인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를 모신 시조왕릉이다. 함경남도 신흥군에 있다. 태조는 조선을 건국한 뒤 목조를 비롯한 4대조(목조·익조·도조·환조)를 추존했는데, 이에 따라 목조의 무덤도 능으로 추숭하였다. 능호는 1393년 태조가 친히 정한 것이다. 처음에는 경흥부 공주(孔州)에 있었으나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개장하자는 논의에 따라, 경흥부에서 함주 북쪽 50리에 있는 달단동 언덕에 회격을 써서 목조의 부인 효공왕후(孝恭王后)의 무덤인 안릉(安陵)과 합장하였는데, 덕릉은 서편에, 안릉은 동편에 안장하였다. 춘관통고에는 덕릉과 안릉의 능역을 조성한 내용이 있고, 북도각릉전도형에는 두 능을 합장한 덕안릉의 산릉도형이 그려져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덕릉-德陵 Place 능묘 시조왕릉 덕릉(德陵) 덕릉 德陵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덕릉-德陵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덕릉-德陵 조선_목조 isTombOf
조선_목조 이안사 isSameAs
조선_목조 효공왕후 hasWife
덕릉-德陵 춘관통고 isDepictedIn
덕릉-德陵 북도각릉전도형 isDepictedIn
덕릉-德陵 안릉-安陵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덕릉(德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330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목조(穆祖)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687
해설 위키실록사전 덕릉(德陵)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덕릉(德陵)
해설 위키백과 덕릉 (조선) https://ko.wikipedia.org/wiki/덕릉_(조선)
해설 두산백과 목조[穆祖,?~1274]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360
원문 디지털장서각 춘관통고 http://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4831%7C011#node?depth=2&upPath=002&dataId=004
참고 한국사데이터베이스>조선시대법령자료>대전통편 각릉 http://db.history.go.kr/law/item/level.do?levelId=jlawa_301r_0040_0540_0020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전나나, 「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 『조선시대사학보』(69), 조선시대사학회, 2014.06, pp.325~35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93166
논문 장경희,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조형디자인연구』15(2), 2012.06, pp.9~2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962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