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의 면사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여성의 머리 위에 써서 몸을 덮어 가리는 사각형 보자기 형태의 예장용 쓰개이다.[1] 왕실 여성들이 가례와 같은 궁중 행사에 참석하거나 외출할 때 착용한다. 사각 보자기 모양이며 금박으로 길상(吉祥) 무늬를 입혀 장식한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공주의_면사 Clothing 복식 쓰개 공주의 면사(面紗) 공주의 면사 面紗 Princess Myeonsa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공주의_면사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공주의_면사 3D-공주의_면사 isShownBy
3D-공주의_면사 공주의_면사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트위터 > @m8GMElZICWId8o3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면사 착용(2021.11.19.)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크기(㎝): 184×184
재료: 얇고 비치는 실크(Silk)
색상: 전체 남색, 무늬 금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 혼례시 여성이 예복을 착용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해 머리 위에 쓰던 정사각형 보자기 형태의 쓰개이다.
디지털 장서각 ☞ 면사보본(청구기호 RD04378)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1837년(헌종 3)경 유물. 사이즈 184×184㎝. 청구기호 RD04378. 장서각 소장. 디지털 장서각 제공.
가로×세로 184㎝ 실물 크기의 종이본이다. 문양은 이 무늬와 배열 그대로 사용한다. 바탕색은 남색이고, 무늬는 금색이다.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 면사보용 봉황문 목판(유물번호 창덕7715)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면사 가운데에 봉황무늬가 있다.
봉황무늬 금박을 찍기 위해 제작했던 목판과 탁본 사진이다. 봉황의 날개 주변 문양은 좌우가 다르다. 위/아래를 유의하여 제작한다.


네이버 > 블로그 ☞ [단국대학교박물관 복식 18] 덕온공주 원삼/1874년 혼례 때 입었던 원삼을 복원한 것.(2015.07.13.)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마네킹이 머리에 쓰고 있는 것을 참고한다. 원단 색상은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남색이고, 무늬는 원단에 금박을 찍은 것이므로 금색으로 한다.

문화유산채널 > 이야기 > 문화유산칼럼 ☞ 무형문화재이야기-국가무형문화재 제119호 금박장 김덕환(2018.05.02.)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원단은 약간 비침이 있는 얇고 힘이 있는 실크 소재다.
Google Arts & Culture ☞ 대수 복제품 정면-국립고궁박물관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3D 면사는 '대수' 위에 씌운 모습으로 제작한다.
Google Arts & Culture ☞ 대수 복제품 반측면-국립고궁박물관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대수의 반측면 모습
Pinterest ☞ 왕비 왕세자빈 대례복 재현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대수 착용 참고사진
Pinterest ☞ 왕세자빈 대례복 재현-대수 씌우는 모습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대수 착용 참고사진
Pinterest ☞ 2018 묘현례 포스터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대수 착용 참고사진
트위터 > @hansum918_91 ☞ 왕세자빈 적의 재현(2021.10.03.)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대수 착용 참고사진
Pinterest ☞ 왕세자빈 대례복 재현-옆모습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대수 착용 참고사진
Pinterest ☞ 왕세자빈 대례복 재현-뒷모습 3D-공주의_면사 references 대수 착용 참고사진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면사(面紗)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148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면사(面紗)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985
해설 두산백과 면사[面紗]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165
해설 위키실록사전 면사(面紗)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면사(面紗)
해설 AKS Encyves 면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면사
참고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면사보용 봉황문 목판 유물번호 창덕7715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cultureSeq=14LJE
참고 문화유산채널 > 이야기 > 문화유산칼럼 무형문화재이야기-국가무형문화재 제119호 금박장 김덕환(2018.05.02.) 면사 재현 사진 https://www.k-heritage.tv/brd/board/256/L/CATEGORY/614/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614&bbIdx=14028&brdType=R
참고 Google Arts & Culture 대수 복제품(정면) 2016년 제작. 국립고궁박물관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대수머리-복제품/0QE-8SO2f0rQ0w?hl=ko
참고 Google Arts & Culture 대수 복제품(반측면) 2016년 제작. 국립고궁박물관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대수머리-복제품2/JAFeABtW_4Gguw?hl=ko
참고 네이버 > 블로그 [단국대학교박물관 복식 18] 덕온공주 원삼/1874년 혼례 때 입었던 원삼을 복원한 것.(2015.07.13.) https://blog.naver.com/rbh54/220419276794
원문 디지털 장서각 면사보본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RD04378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8971055669 단행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실의 여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5.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viewKey=61267526&viewType=AH1
RISS:T13725922 논문 안혜민, 「조선후기 왕녀 가례복식의 제작 및 공급 체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RISS http://www.riss.kr/link?id=T13725922
KCI:ART001949221 논문 김규영·최연우, 「조선후기 왕녀 혼례복 물목과 그 시기별 변화 -『정례』와 『가례등록』의 비교를 통해-」, 『한복문화』 17-4, 한복문화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9221
RISS:T13242646 논문 김규영, 「조선후기 왕녀 혼례복 -『가례등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RISS http://www.riss.kr/link?id=T13242646
KCI:ART001934008 논문 김아람·최연우,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여자참여자를 중심으로-」, 『복식』 64-7, 한국복식학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4008
RISS:T13103733 논문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RISS http://www.riss.kr/link?id=T13103733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00쪽.
  2. "면사", 『AKS Encyves』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