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의 즉위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863년 12월 13일 고종이 즉위했다. 12월 8일 철종이 사망한지 5일 만이었다. 철종이 사망하자 마자 조대비 즉 신정왕후는 신하들의 요청에 기다렸다는 듯이 언문교지를 내놓는다. 흥선군의 둘째 아들 이명복[익성군(翼成君)]으로 익종[효명세자]의 뒤를 잇게 하겠다는 전교였다. 그리고 영의정 김좌근, 도승지 민치상등으로 하여금 바로 익성군을 모시고 오게 했다. 5일 후 익성군은 등극의식을 치렀고, 조대비는 대왕대비가 되어 수렴청정을 하게 됐다. 고종의 즉위에는 위에서 보는 것처럼 조대비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역할도 물론 중요했지만, 결정적으로 조대비의 뜻이 없었다면 고종의 왕위 계승은 불가능했다. 흥선대원군은 효명세자의 장례 때부터 조대비와 교류를 가지면서 훗날을 기약했고 그것이 둘의 긴밀한 협조 속에 고종 즉위로 현실화 된 것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고종의_즉위 Event 사건 고종의 즉위(高宗의 卽位 1863) 고종의 즉위 高宗의 卽位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고종의_즉위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조대비 고종의_즉위 creator
익종 고종의_즉위 hasAdoptedHeir
고종의_즉위 흥선대원군_이하응 isCreatorOf
고종의_즉위 민치상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939
해설 두산백과 고종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7214
해설 위키백과 고종 https://ko.wikipedia.org/wiki/대한제국_고종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임혜련, 19세기 神貞王后 趙氏의 생애와 垂簾聽政, 한국인물사연구 10, 200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80467
자료집 『고종실록』, 고종 즉위년 12월 8일 대왕대비가 국상 중에 정사를 대리할 사람을 정하였고 철종의 뒤를 흥선군의 두 번째 아들로 정하다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za_10012008_002
자료집 『고종실록』, 고종 즉위년 12월 13일 등극하는 의식을 거행하고 왕비를 왕대비로 올리는 의식도 거행하다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za_10012013_001
단행본 지두환, 『헌종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단행본 지두환, 『고종황제와 친인척』, 역사문화, 2009.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