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복신초례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전기 왕실에서 태어난 왕자녀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도교의례. 개복신초례의 헌관이 소격전에 있는 태상노군 앞에 상의원에서 정성껏 마련한 신생아의 의복을 펼쳐 놓고 3일 동안 초제를 행하고, 7일째 되는 날 궁궐 안 산실 근처 뜰에 가서 향불을 피워 재배하고 의복을 내전으로 들인다. 헌관은 출산 직후 문에 걸어두었던 새끼줄을 걷어 권초함에 넣는다. 왕자의 권초함은 내자시 소속 창고에 보관하고, 왕녀의 권초함은 내섬시 소속 창고에 보관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개복신초례 Event 행사 출생의례 개복신초례(開福神醮禮) 개복신초례 開福神醮禮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개복신초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개복신초례 소격전 isRelatedTo 개복신초례의 의례장소
용재총화: 권지이:궁중탄아 개복신초례 mentions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원문 조선왕조실록 태조 7년 윤5월 6일: 세자전 남문에서 왕손의 복을 내리는 신에게 초례를 베풀다 개복신초례 의례공간: 세자전 남문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705106_001
원문 조선왕조실록 태종 3년 2월 1일: 왕자가 탄생하니 개복신 초례를 궐내에서 행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302001_001
원문 조선왕조실록 세종 즉위년 9월 25일: 왕자가 탄생했으므로 소격전에서 개복신 초례를 행하게 하다 개복신초례 의례공간 : 소격전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009025_002
원문 조선왕조실록 세종 2년 1월 13일: 이원이 명을 받들어 개복신 초례를 궁정에서 행하다 개복신초례 의례공간 : 궁정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201013_002
원문 조선왕조실록 성종 7년 11월 14일: 대왕 대비가 정승과 약방 제조·승지 등에게 물품을 하사하여 기쁜 마음을 표하다 개복신초례 헌관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711014_006
원문 한국고전번역원>한국고전종합DB 용재총화:권지2:궁중탄아 https://db.itkc.or.kr/dir/item?itemId=GO#/dir/node?dataId=ITKC_GO_1306A_0020_000_001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김지영, 「조선시대 왕실 ‘권초례(捲草禮)’의 변화」, 『민속학연구』 30, 국립민속박물관, 2012.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579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