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명-形名

hanyang
이민기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1일 (월) 00:05 판 (Online Reference)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군대를 지휘하고 통신하기 위한 도구[形名]에서 유래한 의장물로 둑[纛], 교룡기交龍旗 , 고자기 鼓字旗 , 금자기 金字旗 , 영자기令字旗 , 금金 , 고鼓의 7종이 있다. 둑 [纛] , 교룡기交龍旗 조선 후기부터 의장에 포함되었다. 왕이 가지는 군 지휘권을 통해 절대적인 권위를 나타내는 의장물이며 왕의 의장(대가, 법가, 소가)에서 가장 선두에 배치되었다. 금과 고는 군의 진퇴를 명령하는 도구였으며, 금자기와 고자기의 이러한 기능을 깃발로 표현한 것이다. 왕의 의장에는 7종의 의장물이 모두 사용되었으며 왕세자의장에는 금, 고, 영자기 3종이 사용되었다. 여성 의장에는 사용되지 않았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형명 Concept 개념용어 형명(形名) 형명 形名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형명-形名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대표명칭 형명
한자표기 形名
영문명칭
이칭
유형 개념
관련개념 길례, 가례, 흉례, 의장, 노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d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형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8%95%EB%AA%85&ridx=0&tot=5
참고 위키실록사전 형명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D%98%95%EB%AA%85(%E5%BD%A2%E5%90%8D)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지영, 『길위의 조정 조선시대 국왕 행차와 정치적 문화』 민속원 , 2017.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이왕무, 「조선후기 국왕의 陵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신명호, 「朝鮮初期 국왕의 車駕變化와 象輅·輦」, 『동북아문화연구』30, 2012.
이민기, 「고려 전기 노부의 구성과 운용」,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Notes

  1. 국립고궁박물관,『왕실문화도감, 의장』, 2018, 20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