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鉶)은 조선시대 국가 제사를 지낼 때 화갱(和羹)을 담는 제기이다. 『예서(禮書)』에 ‘형정(鉶鼎)은 국[羹]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은 오미(五味)를 갖추어 끓인 국이다. 국을 일컬을 때는 형갱이라 하고, 그릇을 지칭할 때는 형정이라 한다.’고 하였다. 또 주희(朱熹)의 제자인 황간(黃幹)의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의 주(注)에 ‘화갱이란 형에 담은 국이니 오미가 조화되고, 날고기의 삶은 것이 적절함을 얻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형은 국을 담는 등(㽅)과 짝을 이루어 각각의 제사에서 동일 수량으로 진설되었고,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녀서 ‘등’과 함께 거론되었다. 형은 오미를 갖춘 화갱을 담았고, 등은 조미하지 않은 대갱(大羹)을 담았다.[1] 『국조오례의』 ◎ 형(鉶) : 『예서(禮書)』에서 말했다. “형정(鉶鼎)은 국[羹]을 담는 것이요, 형갱(鉶羹) 註 001은 오미(五味)를 갖춘 것이다. 국으로 말하면 형갱이라 하고, 그릇으로 말하면 형정이라 한다.”
註 001 형갱(鉶羹) : 형갱(鉶羹)은 소는 藿[콩잎]을 쓰고, 양은 苦[씀바귀]를 쓰며, 돼지는 薇[들완두]를 써서 다섯 가지 맛으로 조미한 것으로, 형기(鉶器)에 담으니 형갱(鉶羹)이라고 한다(『周禮』 「天官·亨人」. “祭祀,共大羹、鉶羹. 賓客亦如之鉶羹者,皆是陪鼎膷腫膮,牛用藿,羊用苦,豕用薇,調以五味,盛之於鉶器,即謂之鉶羹..”). ◎ 鉶 : 〈圖〉
『禮書』云。“鉶鼎, 所以實羹者, 鉶羹, 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 則曰鉶羹, 自器言之, 則曰鉶鼎。” 註 001
註 001 『禮書』 卷99, 「禮書圖·鉶」. “鉶鼎, 所以實羹者也,, 鉶羹, 所以具五味也. … 自羹言之, 曰鉶羹, 自器言之, 曰鉶鼎.”[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