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준

hanyang
박수정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9월 18일 (금) 10:55 판 (Contextual Relations)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착준(著尊)은 국가 제사 때 받침 없이 기물 바닥이 지면에 그대로 닿는 형태의 제기이다. 국가 제례에서 사용된 6종의 준(尊) 가운데 한 종류이다. 6준은 몸체의 외형이나 몸체 표면에 새겨 넣는 문양에 따라, 희생의 문양이 있는 희준(犧尊), 코끼리 문양의 상준(象尊), 몸체가 불룩한 호준(壺尊), 산에 구름이 낄 형세의 문양이 있는 산준(山尊)과 입구가 넓고 몸체가 불룩하며 문양이나 장식을 새기지 않은 밋밋한 모양의 대준(大尊)과 착준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에서 착준은 몸체를 4단으로 나누어 무늬를 새겨 넣었는데, 양(陽)의 기운이 위로부터 점점 아래로 내려와 땅에 닿은 것을 형상화하였다. [1]
세종실록오례 ◎ 착준(著尊) :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착준(著尊)은 무게가 4근 7냥, 높이가 8촌 4푼 5리(釐)이요, 아가리의 직경(直徑)이 4촌 3푼이요, 중복(中腹)의 직경이 6촌 2푼이요, 깊이가 8촌 3푼이다."고 하였다.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착준은 양(陽)이 내려와서 땅에 부착된 것은 형상(形象)하였으며, 호준(壺尊)은 음(陰)이 빙 둘러서 만물을 감싼 것을 형상하였으니, 이것이 선왕께서 상준(象尊)과 호준(壺尊)을 가을 제사[嘗]와 겨울 제사[烝]에 사용했던 까닭이다."고 하였다. ◎ 著尊 : 《釋奠儀》云: "著尊重四斤七兩, 高八寸四分五釐, 口徑四寸三分, 腹徑六寸二分, 深八寸三分。" 《禮書》云: "著以象陽降而著地, 壺以象陰周而藏物, 此先王所以用嘗烝也。" [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착준 Object 물품 제기 착준(著尊) 착준 著尊 ritual vessel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착준


국사편찬위원회[1]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착준
이칭/별칭
재질
색상
사용 신분 국가제사, 왕실제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세종실록오례』 착준 documents <세종실록오례 권128, 길례서례(吉禮序例), 제기도설(祭器圖說)>[3]
국사편찬위원회[2]
『국조오례의』 계이 documents <국조오례의서례 권1,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4]
『대한예전』 착준 documents <대한예전 권3, 길례(吉禮), 제기도설(祭器圖說)>『석전의(釋奠儀)』에 말하기를, “저준(著尊)의 무게는 4斤 7兩이요, 높이는 8寸 4分 5釐, 입지름은 4寸 3分, 배지름은 6寸 2分, 깊이는 8寸 3分이다.”라고 했다. ○『예서(禮書)』에 말하기를, “저(著)는 양(陽)이 내려가서 땅에 닿는 것을 나타낸 것이요, 호(壺)는 음(陰)이 둘러쳐 물건을 간직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므로 선왕(先王)이 상제(甞祭)와 증제(蒸祭)에 쓰는 것이다.”라고 했다. 釋奠儀云著尊重四斤七兩高八寸四分五釐口徑四寸三分腹徑六寸二分湥八寸三分○禮書云著以象陽降而著地壺以象陰周而藏物此先王 所以用嘗蒸也 [5]
『종묘의궤』 착준 documents <종묘의궤 권1,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석전의(釋尊儀)』에 이르기를, 저준(著尊)의 무게는 4斤 7兩이다. 높이는 8寸 4分 5釐, 입지름은 4寸 3分, 복판의 지름은 6寸 2分, 깊이는 8寸 3分이다.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착으로는 양(陽)이 내려와 땅에 붙는 것을 형상하고, 호(壺)로는 음(陰)이 주위를 둘러싸 만물을 간직하는 것을 형상하니, 이것이 선왕이 가을의 상(嘗)제사와 겨울의 증(烝)제사에 사용했던 까닭이다. 釋尊儀云著尊重四斤七兩高八寸四分五釐口徑四寸二分腹徑六寸二分深八寸三分〇禮書云著以象陽降而著地壺以象陰周而藏物此先王所以用嘗烝也 [6]
규장각한국학연구원[3]
『사직서의궤』 계이 documents <사직서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 항목 없음.[7]
『국조상례보편』 계이 documents <국조상례보편 도설(圖說), 반우(返虞)>[8]
『경모궁의궤』 계이 documents <경모궁의궤 권1, 제기도설(祭器圖說)>[9] 계이 경모궁의궤 규장각.jpg
규장각한국학연구원[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계이(鷄彝) 조이(鳥彛)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계이(鷄彝) 용작(龍勺)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계이(鷄彝) 멱(冪)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계이(鷄彝) 『종묘의궤(宗廟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계이(鷄彝)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계이(鷄彝)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계이(鷄彝)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계이(鷄彝)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계이(鷄彝) 제례(祭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도설 세종실록오례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착준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19
도설 국조오례의 착준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참고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착준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341&category=A&sWord=착준
참고 한국전통지식포탈 착준/저준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target=ALL&keyword=계이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착준(著尊)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5
참고 위키 실록사전 착준(著尊)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착준(著尊)
참고 위키 Encyves 한국 기록유산 착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착준
도해 세종실록 오례 착준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a03.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수정,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조선시대사학회, 2011.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최순권,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국립민속박물관, 2004.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