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bliography) |
|||
156번째 줄: | 156번째 줄: |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李賢求,|| | + | | 李賢求,|| 『(國譯)洪武禮制』,|| 回想社, 1986.|| || |
|- | |- | ||
− | | 馬端臨(元)·王圻(明) [共]著;盧宣旬(淸) 編 || | + | | 馬端臨(元)·王圻(明) [共]著;盧宣旬(淸) 編 || 『문헌통고정속합편(文獻通考正續合編)』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奎中5045-v.1-32, 간행년대 : 1805 사부분류 : 史部 政法類 通制 || || |
|- | |- | ||
− | | 王圻(明) 纂輯 || | + | | 王圻(明) 纂輯 ||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貴039.52-W1842s-v.4/7, 간행년대 : 1368 사부분류 : 史部 政法類 通制<br/>청구기호 : 奎中4026-v.1-100 편저자 : 王圻(明) 著/왕기(명) 저 간행년대 : 1603 |
|| || | || || | ||
|- | |- | ||
− | | 嵇璜(淸) 等受命撰 || | + | | 嵇璜(淸) 等受命撰 || 『황조문헌통고(皇朝文獻通考)』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039.51-H994hw 간행년대 : 1616<br/>청구기호 : 古039.51-H994h-v.1-20 편저자 : 嵇璜(淸) 等受命撰/혜황(청) 등수명찬 간행년대 : 1902<br/>청구기호 : 奎中3627-v.1-160 편저자 : 嵇璜(淸) 等受命撰/혜황(청) 등수명찬 간행년대 : 1747 || || |
|- | |- | ||
− | | 王圻(明) 著;嵇璜(淸) 等受命編 || | + | | 王圻(明) 著;嵇璜(淸) 等受命編 || 『흠정속문헌통고(欽定續文獻通考)ㅍ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039.51-H994hs-v.1-7, 간행년대 : 1902, <br/>청구기호 : 奎中2906-v.1-120, 간행년대 : 1887 || || |
|- | |- | ||
|} | |} |
2020년 11월 20일 (금) 17:44 판
Definition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를 일컬어 3통이라 불렀다.
『문헌통고(文獻通考)』는 송말 원초(宋末 元初)에 마단림(馬端臨, 1254~1323)이 편찬하였다. 『사직서의궤』의 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국조오례의』 편찬에 참고가 된 당(唐)나라 두우(杜佑,735~812)의 『통전(通典)』, 그리고 남송(南宋)의 정초(鄭樵, 1104~1162)가 편찬한 『통지(通志)』와 와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릴 정도로 중국 역대 제도문물사(制度文物史) 연구에 핵심이 되는 자료이다.[1]
『두씨통전(杜氏通典)』은 중국 당(唐)나라의 재상(宰相) 두우(杜佑,735~812)가 편찬했다. 중국 상고대(上古代)부터 당 현종(唐 玄宗)에 이르기까지의 식화(食貨)․선거(選擧)․직관(職官)․예(禮)․악(樂)․형(刑: 兵을 포괄)․주군(州郡)․변방(邊防)등 중국 역대 제도를 8典으로 분류한 책으로서 통전(通典)이라고도 한다. 남송(南宋)때 편찬된 정초(鄭樵)의 『통지(通志)』와 송말 원초(宋末 元初)에 편찬된 마단임(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와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릴 정도로 중국 역대 제도문물사(制度文物史) 연구에 핵심이 되는 자료이다.[2]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鄭樵)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다. 단대사(斷代史)를 비판하며, 통사 형식인 『사기』의 체제를 본따, 삼황(三皇)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나라, 당나라에 이르는 전장(典章), 제도를 기록한 정서(政書)이다. 십통의 하나이며, 『통전』, 『문헌통고』와 함께 삼통(三通)으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청나라의 장학성에 의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전체 200권이고, 고증 3권이 붙어있으며, 기전체로서 본기, 연보, 세가, 열전, 재기와 이십략(二十略) 등이 포함되어 있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문헌통고 | Record | 문헌 | 예서(禮書) | 문헌통고(文獻通考) | 문헌통고 | 文獻通考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문헌통고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3통 |
한자표기 | 3通 |
이칭/별칭 | |
유형 | 예서(禮書) |
저자 | 두우(杜佑)(당), 정초(鄭樵)(남송), 마단림(馬端臨)(원) |
간행시기 | 당, 송, 원 |
수량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사직서의궤 | 3통 | references | |
3통 | 문헌통고 | hasPart |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 |
3통 | 두씨통전 | hasPart |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 |
3통 | 통지 | hasPart |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를 '3통(三通)'이라 함. |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李賢求, | 『(國譯)洪武禮制』, | 回想社, 1986. | ||
馬端臨(元)·王圻(明) [共]著;盧宣旬(淸) 編 | 『문헌통고정속합편(文獻通考正續合編)』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奎中5045-v.1-32, 간행년대 : 1805 사부분류 : 史部 政法類 通制 | ||
王圻(明) 纂輯 |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貴039.52-W1842s-v.4/7, 간행년대 : 1368 사부분류 : 史部 政法類 通制 청구기호 : 奎中4026-v.1-100 편저자 : 王圻(明) 著/왕기(명) 저 간행년대 : 1603 |
||
嵇璜(淸) 等受命撰 | 『황조문헌통고(皇朝文獻通考)』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039.51-H994hw 간행년대 : 1616 청구기호 : 古039.51-H994h-v.1-20 편저자 : 嵇璜(淸) 等受命撰/혜황(청) 등수명찬 간행년대 : 1902 청구기호 : 奎中3627-v.1-160 편저자 : 嵇璜(淸) 等受命撰/혜황(청) 등수명찬 간행년대 : 1747 |
||
王圻(明) 著;嵇璜(淸) 等受命編 | 『흠정속문헌통고(欽定續文獻通考)ㅍ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039.51-H994hs-v.1-7, 간행년대 : 1902, 청구기호 : 奎中2906-v.1-120, 간행년대 : 1887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