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통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를 일컬어 3통이라 불렀다.
『문헌통고(文獻通考)』는 송말 원초(宋末 元初)에 마단림(馬端臨, 1254~1323)이 편찬하였다. 『사직서의궤』의 도설에서 전거로 삼은 문헌이다. 『국조오례의』 편찬에 참고가 된 당(唐)나라 두우(杜佑,735~812)『통전(通典)』, 그리고 남송(南宋)의 정초(鄭樵, 1104~1162)가 편찬한 『통지(通志)』와 와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릴 정도로 중국 역대 제도문물사(制度文物史) 연구에 핵심이 되는 자료이다.[1]
『두씨통전(杜氏通典)』은 중국 당(唐)나라의 재상(宰相) 두우(杜佑,735~812)가 편찬했다. 중국 상고대(上古代)부터 당 현종(唐 玄宗)에 이르기까지의 식화(食貨)․선거(選擧)․직관(職官)․예(禮)․악(樂)․형(刑: 兵을 포괄)․주군(州郡)․변방(邊防)등 중국 역대 제도를 8典으로 분류한 책으로서 통전(通典)이라고도 한다. 남송(南宋)때 편찬된 정초(鄭樵)『통지(通志)』와 송말 원초(宋末 元初)에 편찬된 마단임(馬端臨)『문헌통고(文獻通考)』와 함께 '3통(三通)'이라 불릴 정도로 중국 역대 제도문물사(制度文物史) 연구에 핵심이 되는 자료이다.[2]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鄭樵)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다. 단대사(斷代史)를 비판하며, 통사 형식인 『사기』의 체제를 본따, 삼황(三皇)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나라, 당나라에 이르는 전장(典章), 제도를 기록한 정서(政書)이다. 십통의 하나이며, 『통전』, 『문헌통고』와 함께 삼통(三通)으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청나라의 장학성에 의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전체 200권이고, 고증 3권이 붙어있으며, 기전체로서 본기, 연보, 세가, 열전, 재기와 이십략(二十略) 등이 포함되어 있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3통 Concept 개념용어 예서(禮書) 3통(3通) 3통 3通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3통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3통
한자표기 3通
이칭/별칭
유형 예서(禮書)
저자 두우(杜佑)(당), 정초(鄭樵)(남송), 마단림(馬端臨)(원)
간행시기 당, 송, 원
수량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사직서의궤 3통 references
3통 문헌통고 hasPart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
3통 두씨통전 hasPart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
3통 통지 hasPart 『문헌통고(文獻通考)』, 『통전(通典)』, 『통지(通志)』를 '3통(三通)'이라 함.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두산백과 문헌통고(文獻通考)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5613&cid=40942&categoryId=33395
참고 두산백과 두씨통전(杜氏通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45114&cid=40942&categoryId=33600
참고 두산백과 통지(通志)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3435&cid=40942&categoryId=33395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河元洙, 「『文獻通考』에 실린 ‘唐登科記總目’의 사료적 가치」, 『중국고중세사연구』44, 중국고중세사학회 2017.
최경옥, 「정초《통지》의 성격과 회통사관」, 『역사와경계』16, 부산경남사학회, 1989.
馬端臨(元)·王圻(明) [共]著;盧宣旬(淸) 編 『문헌통고정속합편(文獻通考正續合編)』 간행년대 : 180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奎中5045-v.1-32, 사부분류 : 史部 政法類 通制
王圻(明) 纂輯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 간행년대 : 1368 / 160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貴039.52-W1842s-v.4/7, 사부분류 : 史部 政法類 通制/ 청구기호 : 奎中4026-v.1-100
嵇璜(淸) 等受命撰 『황조문헌통고(皇朝文獻通考)』 간행년대 : 1616 / 1902 / 174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039.51-H994hw / 古039.51-H994h-v.1-20 / 奎中3627-v.1-160
王圻(明) 著;嵇璜(淸) 等受命編 『흠정속문헌통고(欽定續文獻通考)』 간행년대 : 1902/ 188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 古039.51-H994hs-v.1-7 / 奎中2906-v.1-120

Notes

  1. "문헌통고",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2. "두씨통전", 『국가문화유산포털』online, 문화재청.
  3. "통지_(책)",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Semantic Network Graph